[[분류:제주시의 초등학교]][[분류:제주대학교]][[분류:1974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대한민국의 국립초등학교]] [include(틀:제주대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초등학교)]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NUE.jpg|width=100%]]}}} || || 학교 전경 || ||<-2> {{{#white,#191919 {{{+2 '''제주대학교교육대학부설초등학교'''}}} [br] Jeju National University Elementary School [br] 濟州大學校敎育大學附設初等學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주부설로고.gif|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제주대학교교육대학부설초등학교, 너비=420px)]}}} || || {{{#white '''개교''' }}} || [[1974년]] [[3월 7일]] || || {{{#white '''운영''' }}} || [[초등학교]] || || {{{#white '''성별''' }}} || [[남녀공학]] || || {{{#white,#191919 '''운영형태''' }}} || [[국립]] || || {{{#white,#191919 '''교장''' }}} || 박희순 || || {{{#white,#191919 '''교훈''' }}} || 모두가 즐겁고 행복한 무지개학교 || || {{{#white '''학생 수''' }}} || 390명[br](2023/03 기준) || || {{{#white '''교원 수''' }}} || 27명[br](2023/03 기준) || || {{{#white '''소재지'''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화북동 일주동로 61 || ||<-2> [[http://jejubuseol.jje.es.kr|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제주도 '''유일'''의 국립초등학교. 제주대학교 사라캠퍼스 안에 위치하고 있다. == 비전 == ||{{{#red,#ff0000 '''{{{+1 R}}}espect''' }}} || 예절바른 부초미 || ||{{{#orange '''{{{+1 A}}}chievement''' }}} || 꿈이있는 부초미 || ||{{{#yellow '''{{{+1 I}}}dea''' }}} || 창의적인 부초미 || ||{{{#green,#7fff7f '''{{{+1 N}}}ice''' }}} || 건강한 부초미 || ||{{{#blue,#00bbff '''{{{+1 B}}}elief''' }}} || 학교와 교사를 신뢰하는 학부모 || ||{{{#274b6d,#blue '''{{{+1 O}}}ne''' }}} || 배려와 협력으로 하나되는 교사 || ||{{{#purple,#ff7ffe '''{{{+1 W}}}onderful''' }}} || 모두가 즐겁고 행복한 무지개학교 || == 교가 == [[파일:Buchogyoga.jpg]] == 연혁 == || {{{#white,#191919 '''1973''' }}} || 12.31 || 제주교육대학부속국민학교 설치인가 || || {{{#white,#191919 '''1974''' }}} || 03.07 || 제주교육대학부속국민학교 개교 3학급 편성(4,5,6학년) || || {{{#white,#191919 '''1975''' }}} || 02.13 || 제 1회 졸업 || || {{{#white,#191919 '''1977''' }}} || 04.12 || 12학급 편성 || || {{{#white,#191919 '''1980''' }}} || 01.15 || 도시형 급식학교 인가 || || {{{#white,#191919 '''1983''' }}} || 03.01 || 교육부 지정 학습지도 상설연구학교 || || {{{#white,#191919 '''1984''' }}} || 03.01 || 18학급 편성 || || {{{#white,#191919 '''1990''' }}} || 10.24 ||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 전국공개 보고회 개최 || ||<|2> {{{#white,#191919 '''1993''' }}} || 03.01 || 제주교육대학교 부속국민학교로 개명 || || 03.01 || 교육부 지정 과학교육 상설연구학교 || || {{{#white,#191919 '''1994''' }}} || 03.01 || 교육부 지정 제6차 교육과정 실험 연구학교 || ||<|2> {{{#white,#191919 '''1996''' }}} || 03.01 || 제주교육대학교 부속초등학교로 개명 || || 11.14 || 교육부 지정 상설 연구학교 전국 공개 보고회 || || {{{#white,#191919 '''1997''' }}} || 03.01 || 교육부 지정 통합교과 상설연구학교 || || {{{#white,#191919 '''1999''' }}} || 03.01 || 교육부 지정 제7차 교과용도서 실험 연구학교 || ||<|2> {{{#white,#191919 '''2001''' }}} || 03.01 || 교육부 지정 특별활동 상설연구학교 || || 03.02 || 제주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로 개명 || || {{{#white,#191919 '''2004''' }}} || 03.01 || 교육부 지정 체험학습 상설연구학교 || || {{{#white,#191919 '''2005''' }}} || 09.01 || 서관 3층 특별교실 증축 || ||<|2> {{{#white,#191919 '''2006''' }}} || 03.01 ||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방과후학교 시범 운영 || || 07.25 ||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상설연구학교 전부련 공개 보고회 || || {{{#white,#191919 '''2007''' }}} || 03.01 || 특수학급 인가, 19학급 편성 || || {{{#white,#191919 '''2008''' }}} || 03.01 || 제주대학교교육대학부설초등학교로 개명 || || {{{#white,#191919 '''2009''' }}} || 03.01 ||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양성평등교육 상설연구학교 || || {{{#white,#191919 '''2010''' }}} || 03.01 ||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교원능력평가 상설연구학교 || ||<|2> {{{#white,#191919 '''2011''' }}} || 03.01 ||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수업공개활성화방안 상설연구학교 || || 03.01 || 3층 13개 교실 외 7개 특별실 개축 || ||<|2> {{{#white,#191919 '''2014''' }}} || 03.01 ||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상설연구학교 || || 11.01 || 푸른 운동장 준공식 || || {{{#white,#191919 '''2015''' }}} || 03.01 || 교육부 지정 융합인재교육(STEAM) 상설연구학교 || ||<|4> {{{#white,#191919 '''2016''' }}} || 02.11 || 제 42회 졸업 || || 03.01 || 제13대 문애선 교장 부임 || || 07.01 || 본관 및 서관 교육환경개선 사업 || || 08.01 || 전자게시판 설치 및 정보 인프라 확충 || ||<|4> {{{#white,#191919 '''2017''' }}} || 01.01 || 교육부지정 2015 개정 3-4학년용 교과서 적합성 검토 상설연구학교 || || 02.03 || 제 43회 졸업 || || 03.01 || 다목적강당 신축 공사 착공 || || 12.27 || 다목적강당 꿈빛나래 준공 || ||<|2> {{{#white,#191919 '''2018''' }}} || 01.01 || 교육부지정 2015 개정 35-6학년용 교과서 적합성 검토 상설연구학교 || || 01.26 || 제 44회 졸업 || ||<|2> {{{#white,#191919 '''2023''' }}} || 02.21 || 서관 2~3층 화장실 리모델링 || || 03.01 || 교육부지정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군 교과용 도서 현장 적합성 검토 상설연구학교 || == 교훈 및 상징 == === 교훈 === >'''모두가 즐겁고 행복한 무지개학교''' === 캐릭터 === [[파일:제주대교육대학부설초교 캐릭터.gif]] 부초미(Buchomi)는 심볼에 어린이를 형상화 하였고 최고를 향한 의지와 자부심을 표현했다. === 교목/교화 === * 담팔수(천연기념물 제163호) * 문주란(천연기념물 제19호) == 주요 행사 == 항목을 적을때는 '''(행사 이름): 개최시기'''로 작성해주시길 바랍니다. * 해달별축제/과학축제: 5월 중 * 부초미 예술축제: 12월 말 == 생활 및 시설 == === 시설안내 === '''별관''' ---- '''1층''' * 1학년 1반 * 1학년 2반 * 1학년 3반 * 2학년 1반 * 2학년 2반 * 2학년 3반 * 1~2학년 협의실 * Wee Class ---- '''2층''' * 과학실 * 과학준비실 * 종합실(스마트교실) * 컴퓨터실 * 미술실 * 보건실 ---- '''3층''' * 음악실 * 연주실 * 국악실 * 교생휴게실 * 교생연구실 * 동아리실(?) * 영어실 '''본관''' ---- '''1층''' * 방송실 * 은하수반 * 교무실 * 교장실 * 휴게실 * 행정실 * 세탁실 ---- '''2층''' * 3학년 1반 * 3학년 2반 * 3학년 3반 * 4학년 1반 * 4학년 2반 * 4학년 3반 * 3~4학년 협의실 * 도서관 ---- '''3층''' * 5학년 1반 * 5학년 2반 * 5학년 3반 * 6학년 1반 * 6학년 2반 * 6학년 3반 * 5~6학년 협의실 * 탈의실 * 하늘정원 ---- '''건물 밖''' * 1~3학년 놀이터 * 4~6학년 놀이터 * 푸른운동장 * 다목적강당[* 현재 공사중] === 방과후 === * 고전무용 * 과학레고 * 바이올린 * 클라리넷 * 오카리나 * 보드게임 * 큐보로봇 * 플루트 * 한자 * 칼라클레이 * 미술 * 창의역사 * 댄스스포츠 * 색소폰 * 트럼펫/호른 * 트럼본/유포늄/튜바 * 건반/타악기 * 컴퓨터 == 오케스트라 == >'''포르티시모''' 본 학교의 윈드오케스트라이다. === 오케스트라 활동역사 === ||<|2> {{{#white,#191919 '''2017''' }}} || 02.02 || 창단연주회 || || 11.04 || 2회 연주회 || == 교복/체육복 == ||동복[*A 2015년 리뉴얼]|| * 마이는 감귤색이며 재질이 부드럽다. * 조끼는 남색이다. * 와이셔츠는~~거의 입진 않지만~~하얀색이다. * 바지도 남색이다. ||하복|| * 하늘색과 하얀색의 체크무늬이다. * 바지도 남색이다. ||체육복[*A 2015년 리뉴얼]|| * 검은색 바탕에 주황색 선 2줄이 그어져있다. * 바지도 그렇다 ||해달별티|| * 해님반은 빨강 * 달님반은 노랑 * 별님반은 파란색이다. ~~사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복입는 비율이 줄어든다~~ ~~체육복도 잘 안입는다~~ ~~간혹 귀찮은 학생은 1년 내내 체육복만 입는다~~ 교복이 생기기 이전에는 해님반 달님반 별님반 색갈 티셔츠에 체육복 바지를 입는 경우가 많았다. 해님반 달님반 별님반은 2000년에 생긴 개념. 1반이 해님반(빨간색), 2반이 달님반(노란색), 3반이 별님반(파란색) 이다. == 이동수단 == '''삼양, 조천방향''' '''간선''' : [[제주 버스 201|201번]], [[제주 버스 311, 312|311번, 312번]], [[제주 버스 316|316번]], [[제주 버스 325, 326|325번, 326번]], [[제주 버스 331, 332|331번, 332번]], [[제주 버스 335, 336|335번, 336번]], [[제주 버스 341, 342, 348, 349|341번, 342번]], [[제주 버스 345, 346, 347|346번]], [[제주 버스 341, 342, 348, 349|348번, 349번]], [[제주 버스 351, 352|351번, 352번]], [[제주 버스 380|380번]] '''지선''' : [[제주 버스 411, 412|411번]], [[제주 버스 421, 422|422번]], [[제주 버스 423, 424|423번]] '''삼양, 조천방향''' '''간선''' : [[제주 버스 201|201번]], [[제주 버스 311, 312|311번, 312번]], [[제주 버스 316|316번]], [[제주 버스 325, 326|325번, 326번]], [[제주 버스 331, 332|331번, 332번]], [[제주 버스 335, 336|335번, 336번]], [[제주 버스 341, 342, 348, 349|341번, 342번]], [[제주 버스 345, 346, 347|346번]], [[제주 버스 341, 342, 348, 349|348번, 349번]], [[제주 버스 351, 352|351번, 352번]], [[제주 버스 380|380번]] '''지선''' : [[제주 버스 411, 412|412번]], [[제주 버스 421, 422|421번]], [[제주 버스 423, 424|424번]] == 여담 == * 2014년에 인조잔디를 형성했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의 운동장도 이용 가능하므로 사실상 운동장 두 개를 쓸 수 있는 학교다. 교대에서는 운동장 쓸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교대 운동장에서 운동회를 하기도 하고 체육 수업을 하기도 했었다. 한 학년에 3학급이라 운동장 이용이 상당히 널널하다.] * 한 학기에 2번 정도 교생선생님들이 오셔서 수업을 한다.[* 애초에 '''교육대학 부설'''이니....] 교육대학 저학년은 참관을 하고 3~4학년은 수업 실습을 한다. * 신입생을 뽑는 방식은 뽑기이다. * 제주도내 초등학교 중에서 유일하게 교복을 입고[* 2000년대 초반까지는 교복이 없었다.] 국립이다. * 대한민국에서 국립초등학교중 첫 번째로 나무위키 문서가 작성되었다. * 이 학교도 다른 국립학교와 마찬가지로 전부련{{{-1 (전국국립대학교부설초등학교연합회)}}}을 간다.~~그래서 1년중 한번은 꼭 쉰다~~ * 젊은 선생님이 많이 안 계신다. 이 학교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준비될 때 해당 과정을 미리 테스트하는 등[* 그럴 경우 타교와 교과서 과정 자체가 달라서 교습학원 등에서 진도가 안 맞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연구학교이기도 하기 때문에 모든 선생님들이 상당한 경력이 있는 분들이고[* 연구 학교이기 때문에 본교에서 근무하면 선생님들이 각종 가산점을 받는다.] 초임 선생님이 발령받을 일이 없다. 더욱이 본교의 선생님들은 교사인 동시에 실습나온 교생선생님들을 지도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경력이 짧은 선생님을 발령낼 수가 없다. 그래서 이 학교 졸업생이 고등학교 혹은 대학교에 다닐 무렵에 이 학교에서 수업 받았던 분들이 다른학교 교감 혹은 교장선생님으로 부임한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 교생선생님들이 매우 많이 실습 오고[* 한 반에 10분이상 오시는 경우도 종종 있다.] 오는 횟수도 잦은 편이다. 주로 교육대학 저학년 때에는 참관을 하고 고학년들은 실습을 한다. 본교에 다니다보면 본교 저학년 때 교생실습 오셨던 선생님들을 고학년돼서 청소년단체 야영행사 등에 갔을 때 타 학교 인솔교사로 오셔서 재회하는 경우가 흔하다. == 관련 문서 == * [[제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