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전제 군주)] |||||| '''{{{#ece5b6 전제 초대 국군[br]{{{+1 태공}}}[br]太公}}}''' |||||||||| |||| '''[[성씨|{{{#ece5b6 성}}}]]''' |||| 규(嬀)[* 조상 [[진완|진완(陳完)]]이 [[진(규성)|진(陳)나라]]의 공족이므로 규성이다.] || |||| '''[[본관|{{{#ece5b6 씨}}}]]''' |||| 전(田)[* 원래는 전씨가 아니라 진(陳)씨다. 조상 진완(선술한 인물과 동일 인물)의 이름이 발음이 변하여 전완(田完)이 되었다고 한다.] || |||| '''[[휘|{{{#ece5b6 휘}}}]]''' |||| 화(和) || |||| '''{{{#ece5b6 아버지}}}''' |||| 전장자(田莊子) 혹은 전도자(田悼子)[* 전도자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384년||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391년 ~ 기원전 384년[* 제 강공을 몰아낸 때를 기준으로 했을 시] [br] 기원전 386년 ~ 기원전 384년[* 주나라로부터 인정받은 때를 기준으로 할 시.]|| [목차] [clearfix] == 개요 == 전씨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田齊)의 초대 [[군주]]. 전장자(田莊子) 혹은 전도자(田悼子)의 아들. 그는 고조부 [[전항]], 증조부 전반, 조부 전백, 아버지 전도자의 기반을 바탕으로 제나라의 상국이 되었다.[* 당시 전씨의 세력이 커서 상국 자리를 사실상 전씨가 물려받았다.] 그것을 바탕으로 [[제강공]]을 몰아내고 강제를 차지해 전제의 초대 군주가 되었다. == 즉위 전 == 제 선공 51년(기원전 405년), 전화는 아버지 혹은 형 전도자의 자리를 물려받았다. 제 강공 원년(기원전 404년), 삼진(한•위•조)이 제나라의 장성을 쳤다. 제나라의 장성은 서쪽에는 방문(현재의 산동성 비성), 동으로는 바다에 이르렀다. 그 장성은 산맥을 따라 지어졌다. 장성을 쌓는 일은 전화가 주도하였으므로 [[제선공]]은 허수아비였다. 제 선공이 죽고 제 강공이 즉위했는데, 전씨가 남긴 기록에 의하면 [[제강공]]은 주색을 즐기고 품행이 좋지 않았다고 되어 있다.[* 즉 전씨가 강제를 멸하고 전제를 세운 것을 정당화하기 위한 [[프로파간다]]이므로 필터링해서 봐야 한다는 말이다.] 아무튼 그것을 이유로 전화는 제 강공 19년(기원전 391년)에 [[제강공]]을 바닷가로 몰아내고, 식읍으로 성 1개를 딸려 주었다. 그리고 강성 제나라(姜齊)의 제사를 잇게 하고 자신이 전씨 제나라의 군주가 되어 제 태공이라고 불렸다.[* 다만 강제가 형식적으로는 남아있었기 때문에 형식상으로는 전제는 강제의 신하국이다.] == 즉위 후 == 제 태공 2년(기원전 390년)[* 이 문서에서는 제 강공을 몰아낸 때를 기준으로 표기한다.], 제나라는 위나라를 쳐서 양양을 취했다.[* 형주의 양양이 아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위문후]], [[초도왕]]과 충택 땅에서 회맹해 군주로 인정받았고, 위 문후가 [[주안왕]]의 허락을 구했다. 제 태공 6년(기원전 386년), [[안왕(주)|주 안왕]]은 제 태공을 정식으로 제나라 군주로 인정했다. 제 태공 8년(기원전 384년), 전화가 죽고 아들인 전섬(田剡)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제후섬|제후 섬]](齊侯剡)이다. [각주] [[분류:제나라의 군주]][[분류:춘추전국시대의 재상]][[분류:기원전 38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