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전제 군주)] ||<-3> '''{{{#ece5b6 전제 제3대 국군[br]{{{+1 환공}}}[br]桓公}}}''' || ||<-2> '''[[성씨|{{{#ece5b6 성}}}]]''' ||<-2> 규(嬀) || ||<-2> '''[[본관|{{{#ece5b6 씨}}}]]''' ||<-2> 전(田) || ||<-2> '''[[휘|{{{#ece5b6 휘}}}]]''' ||<-2> 오(午) || ||<-2> '''{{{#ece5b6 아버지}}}''' ||<-2> [[제태공]](齊太公) 전화(田和)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357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374년 ~ 기원전 357년(《[[죽서기년]]》)[br]기원전 384년 ~ 기원전 379년(《[[사기(역사책)|사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씨 [[제나라]](田齊)의 제3대 [[군주]]. 강제(姜齊)의 군주인 [[제환공]]과는 다른 사람이다. [[제태공]]의 아들. [[제후섬]](齊侯剡)의 동생. [[제위왕]](齊威王)의 아버지. 시호는 효무환공(孝武桓公). 《[[사기(역사책)|사기]]》의 기록이 꼬여있는 관계로 [[제민왕]](齊湣王) 때까지 연도는 《[[죽서기년]]》을 기준으로 기록되었음을 미리 밝힌다. == 치세 == 제 환공 원년(기원전 374년), 제후 섬을 시해하고, 그 아들 유자 희(孺子喜)마저 죽이고, 정변을 통해서 제나라의 군주가 되었다. 이때는 [[전국시대]]가 한창 시작되어 전란이 들끓었다. 그리하여 제 환공은 전쟁에 대비했다. 제 환공 5년(기원전 370년), [[진(통일왕조)|진(秦)나라]]와 [[위(전국시대)|위(魏)나라]]에게 [[한(전국시대)|한(韓)나라]]가 공격당하자 제 환공은 한나라를 구하려 했으나 전신사(田臣思)가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와 조나라가 도울 것이니, 대신 [[연(춘추전국시대)|연나라]]를 치자고 해 연나라를 습격, 상구 땅을 차지했다. 제 환공 6년(기원전 369년), [[위나라|위(衛)나라]]를 구원했다. 제 환공 18년(기원전 357년), 제 환공이 병이 들어서 신의(神醫) [[진월인|편작]](扁鵲)에게 치료하게 했으나, 편작이 제 환공에게 3차례나 치료해도 차도가 없자 결국 사망했다. 그 이유는 제 환공이 병에 대해 말하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다. 이래서 '휘질기의'(諱疾忌醫)라는 고사성어가 나왔다. 그 뒤는 아들인 전인제(田因齊)가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제위왕|제위왕(齊威王)]]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환공, version=37)] [[분류:제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35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