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전제 군주)] |||||| '''{{{#ece5b6 전제 제2대 국군 {{{+1 제후 섬}}} 齊侯 剡}}}''' |||||||||| |||| '''[[성씨|{{{#ece5b6 성}}}]]''' |||| 규(嬀) || |||| '''[[본관|{{{#ece5b6 씨}}}]]''' |||| 전(田) || |||| '''[[휘|{{{#ece5b6 휘}}}]]''' |||| 섬(剡) || |||| '''{{{#ece5b6 아버지}}}''' |||| [[제태공]](齊太公) 전화(田和)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375년||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383년 ~ 기원전 375년|| [목차] [clearfix] == 개요 == 전씨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田齊)의 제2대 [[군주]]. 혹은 다른 명칭인 전후 섬(田侯剡)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태공]]의 아들. [[제환공(전제)|제환공]]의 형. 제후 섬의 기록이 《[[사기(역사책)|사기]]》(史記)에서는 누락되었으나, 《[[죽서기년]]》(竹書紀年)에는 등장한다. 그런 관계로 《사기》에서의 전제의 역사 기록이 꼬여버렸고, 그것이 훗날 《사기》, 《[[한서]]》, 《[[후한서]]》, 《[[정사 삼국지|삼국지]]》 등을 편년체로 편집한 역사서인 [[사마광]]의 《[[자치통감]]》에서도 《사기》의 오류를 그대로 따랐기 때문에 똑같은 현상이 일어났다.[* 권중달 교수가 번역한 《자치통감》에서는 본문에는 그대로 뒀지만 주석을 통해 제후 섬의 존재를 꾸준히 언급하여 그 현상을 어느 정도 해결했다.] 그는 전화의 뒤를 이었는데, 이때 [[제강공]]이 병으로 죽었다. == 재위 기간에 일어난 일 == 제후 섬 5년(기원전 379년), [[제강공]]이 죽었는데, 그 자식이 없어 강제(姜齊)는 명맥이 끊어져서 본격적인 전씨 제나라의 시대가 되었다. 제후 섬 9년(기원전 375년), 그는 아들 유자 희(孺子喜)와 함께 아우인 [[제환공(전제)|전오]](田午)에게 [[살해]]당했다. 그리고 전오가 그 뒤를 이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전제의 환공이다. [각주] [[분류:제나라의 군주]] [[분류:기원전 375년 사망]][[분류: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