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제1군단의 전신(前身), rd1=시흥지구전투사령부, other2=상징명칭(광개토)이 같은 부대, rd2=광개토부대, other3=조선인민군 육군의 군단, rd3=제1군단(북한), other4=가디언 테일즈의 등장 캐릭터, rd4=제1군단장(가디언 테일즈))] [include(틀:군단)] ||<-7><#004ea2><:> '''{{{#fff100 {{{+1 제1군단}}}}}}'''[br]'''{{{#fff100 第一軍團}}}'''[br]'''{{{#fff100 I Corps}}}''' || ||<#ffffff,#191919><-7><:>[[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width=200]] || ||<-7><#004ea2> '''{{{#fff100 조국통일의 선봉 천하제일 광개토부대}}}''' || ||<#004ea2><:> '''{{{#fff 창설일}}}''' ||<-6><(> [[1950년]] [[6월 28일]]([[시흥지구전투사령부]])[br][[1950년]] [[7월 5일]]'''(제1군단)''' || ||<#004ea2><:>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 '''광개토부대(廣開土部隊)[* 원래는 천하제일부대였으나 2000년 1월 1일부로 광개토부대로 상징명칭을 바꾸었다. 다만 천하제일이라는 명칭을 아예 버린 것은 아니어서 여전히 병행해서 쓴다.]''' || ||<#004ea2><:> '''{{{#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004ea2><:> '''{{{#fff 상급부대}}}''' ||<-6><(> [[지상작전사령부]] || ||<#004ea2><:> '''{{{#fff 규모}}}''' ||<-6><(> [[군단]] || ||<#004ea2><:> '''{{{#fff 역할}}}''' ||<-6><(> 경기도 서부전선 방어 || ||<#004ea2><:> '''{{{#fff 군단장}}}''' ||<-6><(> 중장 [[주성운]](육사 48기) || ||<#004ea2><:> '''{{{#fff 부군단장}}}''' ||<-6><(> 준장 권영우 || ||<#004ea2><:> '''{{{#fff 참모장}}}''' ||<-6><(> 준장 이종현(학군 34기)[*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 ||<#004ea2><:> '''{{{#fff 위치}}}''' ||<-6><(>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군단사령부령]] ''' '''제1조(설치)''' ① 육군에 군단을 두며, 그 관할구역의 작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단사령부를 둔다. ② 군단의 명칭은 대통령이 정하고, 군단의 예속(隸屬)은 육군참모총장이, 군단의 배속(配屬)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하며, 군단 관할구역은 직속상관이 정한다.|| || [[파일:YA_PG_20151218_01000177700002121_99_20151217174904.jpg|width=100%]] || || '''육군 제1군단 사령부 본청[* 다만 이건 옛 모습이고 지금은 신축되어서 다른 모습이다.]''' || > '''조국통일의 선봉 천하제일 광개토부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를 근거지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소속 [[군단]]. 별칭은 '''광개토부대'''와 '''천하제일군단'''.[* 군단 사령부 옆 공원에 한자로 크게 '''광개토부대'''라고 적힌 표지석이 있다. 대연병장 시상대에는 한자로 '''천하제일군단'''이라고 적혀있다. 1이라는 숫자에 군단이 애착이 강한데, 최초로 38선을 돌파한 군단이자 [[6.25 전쟁]] 당시에도 군단 중에 제일 큰 활약을 해서인지 1을 상당히 강조한다. 군단에서도 이 점을 이용하여 군단 교환대로 전화를 걸면 [[통신병#s-3.1.6.2|교환병]]이 '[[통신보안]]을 준수합시다! 천하제일군단 교환대입니다. 무엇을 도와드립니까?'라고 안내멘트를 전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군단 구호로 '천하제일 광개토 전사의 다짐'을 명시하고 있고, 광개토부대라는 애칭 외에도 2000년까지 쓰이던 애칭인 천하제일1군단(천하제일군단)도 꽤 쓰이는 편이다.] 3개의 [[사단(군대)|사단]]과 5개의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다. 현재 [[군단장]]은 제57대 [[주성운]] [[중장]](육사 48기)이다. == 상세 == 한국전쟁 당시인 [[1950년]] [[6월 28일]]에 당시 [[경기도]] [[시흥군]] 동면 독산리[* 현재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에서 [[김홍일(군인)|김홍일]] 소장에 의해 '[[시흥지구전투사령부]]'로 창설되었다. 시흥사는 국군 최초의 [[군단]]급 제대였다. 창설 당시 부대 임무는 서울 방어전에서 패퇴하여 흩어진 병력을 재편하고 [[영등포]][* 지금의 [[영등포구]], [[동작구]]([[사당동]] 제외), [[구로구]] [[구로동]], [[신도림동]] 일대. 6.25 당시에도 서울특별시 행정구역에 속했으나 당시만 해도 서울의 온전한 일부라는 인식보다는 독자적인 지역정체성이 남아있었다.], 시흥군[* 지금의 금천구, [[관악구]](동작구 사당동 포함), [[광명시]], [[서초구]], [[안양시]], [[과천시]], [[군포시]], [[안산시]], 시흥시 남부. 현재의 시흥시 북부는 당시 [[부천군]] 소래면, [[의왕시]]는 [[화성시|화성군]] 일왕면.] 지역에 형성된 전선을 방어하는 이중임무가 하달되었다. [[발터 모델|병력을 수습하고 동시에 방어까지 해야 하는 것]]. 물론 이는 초대 사령관 [[김홍일(군인)|김홍일]] 장군의 탁월한 지휘능력으로 가능했다. 이후 동년 7월 5일에 평택 성동초등학교[* 당시 성동국민학교. 그래서 교내에 1군단 창설비가 있다.]에서 제1군단으로 재편되었으며, 여러 지역을 전전하며 편제가 지속적으로 바뀌었다가[* 그 때문에 6.25 전시 상황에는 연관성이 전혀 없어보이는 現 3군단 예하사단들이 1군단 휘하에 있기도 했었다.] 1972년부로 미국 1군단의 철수 등이 겹치면서 현 위치([[고양시]], [[파주시]])로 이전하고 서부지역 작전의 중축이 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제1군단은 2022년 9월 30일까지 '''육군 최대 규모의 군단'''이었다. [[제1보병사단|상비]][[제9보병사단|보병]][[제25보병사단|사단]] 3개뿐 아니라 [[제1포병여단|그 규모가 사단급에 필적하는]] [[포병]][[여단]] 1개, [[제2기갑여단|기갑 위주의 편제로 일반 보병사단 이상의]] [[제30기갑여단|전투력을 갖고 있는]] [[기갑여단]] 2개를 거느리고 있어, '''사실상 6개 사단 이상의 전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육군 전체 병력의 '''12%'''에 달할 정도라고 할 정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2년 10월 1일부로 제5군단이 해체된 제6군단의 편제를 흡수하며, 제5군단은 [[메이커 사단]] 3개에 28사단까지 총 4개의 전방 상비사단을 갖추게 되며 최대 편제의 군단이라는 타이틀은 내려놓게 되었다.[* 제3사단, 제5사단, 제6사단, 제28사단. 단 28사단은 2025년 해체되므로 이후론 1군단과 5군단의 규모가 동일해진다. 그리고 '전투력'으로 따지면 당연히 [[제7기동군단]]이 육군 최강의 군단이다. 주로 보병여단을 전력의 주축으로 삼고 전쟁 발발 시 방어를 우선시하는 타 군단들과 달리, 7군단은 기계화보병 및 기갑전력이 주력이며, 비축해둔 막대한 기갑전력을 앞세워 북진, 반격하기 위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부대이기 때문에 아예 7군단 vs 나머지 모든 육군 전체와 대결 구도가 성립된다고 해도 말이 될 정도로 대한민국 육군이 보유한 최신예, 최강의 장비들이 모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1군단에 이토록 막강한 전력이 집중된 이유는 전방 군단들 중 [[서울]]에서 가장 가깝다는 막중한 임무를 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북한군]]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1군단이 지키는 [[고양시]], [[파주시]] 방면은 [[임진강]]이라는 거대한 천연 방벽이 있어 주공이 되기 어렵다. 그래서 [[철원군]]-[[연천군]]-[[의정부시]]로 이어지는 축선이 지상군 주력의 주공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정설. 이 때문에 [[포천시]] 일대에는 [[제5군단]] 등, [[우주방어]] 수준의 병력을 배치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주-고양은 '''서울까지의 종심이 워낙 가까운 탓에 (최단 40km 이하)''' 이만한 수준의 전력집중은 불가피하다.] 거기에 [[고양시]], [[파주시]] 지역[* 이 중 군단 직할부대인 101정보통신단 712통신대대는 군단 직할부대 중 유일하게 [[의정부시]]에 위치해서 의정부도 포함되기도 한다. 또한 25사단의 일부 부대는 양주시와 연천군에 주둔한다.] 향방예비군훈련을 담당하는 부대이기도 하다. [[제7기동군단]]이 지상공격의 최강 [[군단]]이라면 지상방어의 최강 군단은 [[제5군단]]과 제1군단이다. 군단 예하 [[기갑여단]]도 2개씩이나 있고 각기의 기갑여단도 여타 (군단)기갑여단보다 규모가 크다. 군단 예하 (1, 5)[[포병여단]]은 명실공히 질이든 양이든 세계최강의 야전포병 부대이다. 사실상의 포병사단인 포병여단이며 [[대한민국 국방부]]가 [[포방부]]라 불리게 되는 제1이유이다. [[https://gall.dcinside.com/dcbest/16892|민간급식업체 시범선정 부대]]로 지정되어 [[한국군 병영식|병영식]]의 질이 무척 좋아졌다. == 편제 == === 직할부대 === * [[본부근무대]] *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제801군사경찰단]] * [[제11항공단]][* 항공단 야전 군단 직할 배치 계획에 따라, 육군항공작전사령부에서 예속전환. 군단 직할부대로 편성.]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횃불부대) * [[제301경비연대]] * [[제701특공연대]](흑표범부대) * 제11화생방대대(혜성부대) * 제141정보대대 * [[보충중대]][* 군단 그린캠프, 병역심사대, 보충병들이 지내는 중대] * '''[[지원부대]]''' * [[국군고양병원]]([[국군의무사령부]]) === 예하부대 === * [[제1보병사단]](전진부대) * [[제9보병사단]](백마부대) * [[제25보병사단]](비룡부대) * [[제1포병여단]](비호부대) * [[제1공병여단]](독립문부대) * [[제1군수지원여단]](삼마부대) * [[제2기갑여단]](충성부대) * [[제30기갑여단]](필승부대)[* 舊 [[제30기계화보병사단]] 中 舊 제90기계화보병여단을 거점으로 하여 재창설된 기갑여단.] == 과거부대 == * ~~[[제28보병사단]](무적태풍부대)[*A (구)제6군단의 기동군단 개편을 염두에 두고 28, 65사단을 (구)제6군단에서 받고 30사단을 (구)제6군단으로 넘겨주는 개편이 1993년에 있었으나 (구)제6군단의 기동군단 개편이 무산되자 2000년 1월 1일부로 다시 28, 65사단이 (구)제6군단으로 복귀, 30사단이 제1군단으로 복귀하는 개편이 단행되었다.]~~ * ~~[[제30기계화보병사단]](필승부대)~~[* 2020년 해체 후 [[제30기갑여단]]으로 전환. 원래는 [[제6군관구사령부]] 예하의 향토사단이었으나 1970, 1980년대의 수도군단, 수도방위사령부의 개편을 거치면서 지금과 같이 제1군단 예하 전방사단으로 예속되었다. 기보사단 감축 계획에 따라 2020년에 제90기계화보병여단만 남아 [[제30기갑여단]]으로 개편되고 나머지 2개 여단은 해체가 확정되었다. 이미 예하 92여단이 해체되었다.] * ~~[[제65보병사단]](밀물부대)[*A]~~ * [[제72보병사단]](올림픽부대)[* 2018년 [[육군동원전력사령부]] 귀속] * ~~[[제101보병여단(제1군단)]](무적부대)~~[* 2007년 부대 해체. 작전계획지역은 [[제9보병사단]]이 인수했다.] * ~~제511방공대대~~[* 단급 부대인 [[제11방공단]]으로 승격] * ~~[[국군고양병원]]~~[* [[국군의무사령부]]로 이관] == 출신인물 == === [[군단장]] === [include(틀:대한민국 국군의 현직 중장)] [include(틀:제1군단장)]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ffffff 역대 제1군단장}}}''' || || '''{{{#ffffff 역대}}}''' || '''{{{#ffffff 이름}}}''' || '''{{{#ffffff 계급}}}''' || '''{{{#ffffff 임관}}}''' || '''{{{#ffffff 비고}}}''' || '''{{{#ffffff 기타}}}''' || || 초대 || [[김홍일(군인)|김홍일]] || 예) [[소장(계급)|소장]][* 예비군으로 예편된 이후 이승만이 직접 중장으로 승진시킴. 1군단장으로 이끌었을때는 소장이었다.] || 각주참고[* 일제강점기 시기인 1920년 이전에 중화민국으로 망명 이후 구이저우의 육군군관학교를 졸업, 국민혁명군 소위로 임관, 이후 독립운동을 계속하여 지속하다가 광복 이후 1948년 12월 10일 이승만 대통령의 특별 지시로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임관했다.] ||前 [[시흥지구전투사령부|시흥지구전투사령관]] ||前 [[한국광복군]] 참장[br][[국민혁명군]] 중장[br]중화민국 대사[br][[외교부장관|외무부장관]] || || 02대 || [[김백일]] || 예) [[중장]] || [[군사영어학교|군사영어]] 00기 || ||각주참고[* 군단장 임기 중인 1951년 3월에 항공기 사고로 인한 순직. 사망 당시에는 소장이었으나 중장으로 추서되었다.] || || '''03대''' || '''[[백선엽]]''' || '''예) [[대장(계급)|대장]]''' || [[군사영어학교|군사영어]] 00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前 [[국토교통부장관|교통부장관]] || || '''04대''' || '''[[이형근]]''' || '''예) [[대장(계급)|대장]]''' || [[군사영어학교|군사영어]] 1기[* 일본 육군사관학교 56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 || || '''05대''' || '''[[김종오]]''' || '''예) [[대장(계급)|대장]]''' || [[군사영어학교|군사영어]] 1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 || || 06대 || ~~[[최덕신]]~~ || 예) [[중장]] || ||前 외무부 장관, 서독대사 ||1986년 북한으로 망명 || || 07대 || [[백인엽]] || 예) [[중장]] || ||前 제6군단장 ||선인재단 설립자 || || '''08대''' || '''[[장창국]]''' || '''예) [[대장(계급)|대장]]''' || [[군사영어학교|군사영어]] 1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제2작전사령관]], [[제1야전군사령관]] ||주 브라질대사[br]제8대 국회의원(유신정우회) || || 13대 || [[임부택]]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기 || || || || 21대 || [[최우근]]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기 || || || || '''22대''' || '''박희동'''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기 ||前 [[제3야전군사령관]] || || || 23대 || [[양봉직]]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기 || || || || '''24대''' || '''[[이희성]]'''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8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前 [[국가정보원장|중앙정보부장]][* [[12.12 군사반란|12.12 군사반란에 가담.]]] || || '''25대''' || '''[[황영시]]'''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0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3야전군사령관]] ||前 [[감사원장]][* [[12.12 군사반란|12.12 군사반란에 가담.]]] || || '''26대''' || '''[[김윤호(군인)|김윤호]]'''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0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 || || '''27대''' || '''[[이기백(군인)|이기백]]'''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1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 || || 28대 || [[백운택]]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1기 || 군단장 임기 중 사망 || || || ''' 29대''' || '''[[박희도]]'''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2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 || || '''30대''' || '''[[최세창]]'''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3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 || || 31대 || 류승국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3기 ||前 [[병무청장]] || || || 32대 || 문영일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4기 ||前 국가비상기획위원회 부위원장 || || || '''33대''' || '''[[이필섭]]''' || '''[[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6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 || || 34대 || [[이병태(군인)|이병태]]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7기 ||前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 || || || 35대 || 김상준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9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 || '''36대''' || '''[[조성태]]'''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0기 ||前 [[제2작전사령관|제2야전군사령관]] || || || 37대 || [[김척]]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1기 ||前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군단장 재직기간 1993.10 ~ 1995.10, 3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보직이동 후 1997.11전역] || [[김훈(군인)|김훈]] 중위 사건의 유족,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 || 38대 || 박영익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2기 ||前 [[육군참모차장]] || || || 39대 || [[강신육]]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4기 ||前 [[병무청장]] || || || 40대 || 정중민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5기 ||前 [[육군군수사령관]] || || || 41대 || 오현구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6기 ||前 [[육군항공작전사령관]] || || || 42대 || 김선홍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8기 ||前 [[육군사관학교장]] || || || '''43대''' || '''[[임충빈]]'''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9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 [* 2004.10 ~ 2006.12] || || 44대 || 장광일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1기 ||前 국방부 정책실장 || [* 2006.12~2008.4] || || 45대 || [[황중선]]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2기 ||前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 2008.4~2009.11] || || '''46대''' || '''[[권오성]]'''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4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군단장 역임 이후 합참 작전본부장을 지내고 2011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거쳐 2013년에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2009.11 ~ 2010.12] || || 47대 || [[최종일(군인)|최종일]]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4기 ||前 [[국방정보본부|국방정보본부장]] || [* 2010.12~2012.05.02] || || 48대 || [[모종화]]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6기 ||前 [[육군인사사령부|육군인사사령관]] ||前 [[병무청장]][* 2012.05.03 ~ 2013.10.31] || || '''49대''' || ''' [[엄기학]]'''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7기 ||前 [[제3야전군사령관]] || [* 2013.10.31 ~ 2015.04.13.] || || '''50대''' || ''' [[김용우(1961)|김용우]]'''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9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 [* 군단장 역임 이후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을 하다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자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 및 [[대장(계급)|대장]]으로 진급 후 전역.][* 2015.04.13 ~ 2016.10.17.] || || '''51대''' || ''' [[서욱]]'''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1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前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군단장 역임 이후 합참 작전본부장을 지내고 2019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으며 2020년 8월 국방부장관에 임명되었다.][* 2016.10.17 ~ 2017.09.29] || || 52대 || [[안영호]]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2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 2017.09.29 ~ 2019.05.10][* 대령 시절 군단 작전참모와 준장 시절에 참모장을 역임했다.] || || 53대 || [[황대일]]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3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 [* 2019.05.10 ~ 2020.12.07] || || '''54대''' || '''[[안병석]]''' || '''예) [[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2020.12.07 ~ 2021.12.16] || || 55대 || [[이두희(군인)|이두희]]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6기 ||前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 [* 2021.12.16 ~ 2022.12.07] || || '''56대''' || '''[[강호필]]''' || '''[[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7기 ||現 [[합동참모차장]][* 대령 시절 군단 작전참모 역임.] || [* 2022.12.07~2023.11.08] || || 57대 || [[주성운]] ||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8기 ||現 군단장 || [* 2023.11.08~ ] ||}}} 1군단은 군사분계선을 끼고 있는 최전방 부대이기도 한데다 [[의정부시]], [[양주시]], [[파주시]], [[고양시]] 등 경기 북부의 주요 대도시들을 끼고 있고 이들 지역은 북한의 남침 시 서울로 들어올 수 있는 주요 관문들이기도 하다. [[제5군단]]도 [[포천시]], [[철원군]] 등 전면전 발발시 1군단처럼 서울로 향하는 관문이자 중요 축선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우주방어]]급으로 부대를 배치했다. 1군단장은 창군 시절부터 요직이었으며 1군단장을 역임한 이들 중에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은 물론이고 [[육군참모총장]]이나 [[합동참모의장]]까지 직행했던 케이스도 상당히 많고 1980년대에는 아예 [[하나회]] 전용보직으로 통할 정도였다. 제1군단장, 제5군단장 보직은 군단장 중 최요직으로 꼽히며 비육사 출신도 가끔씩 군단장을 맡는 타 군단과 달리 육사 출신만 보임하고 있다. 군단장 재임 후 2차 보직의 중요도에 따라 대장 진급 가능성을 볼수있는데 1군단장을 역임 후 합참 작전본부장으로 진출한 인원이 상당히 많다는 것이 1군단장이 얼마만큼의 요직인지를 반증한다.(장광일, 황중선, 권오성, 엄기학, 서욱, 안영호, 강호필) 제1군단장은 제21대 군단장 최우근 중장(육사 3기)부터 현임 군단장인 주성운 중장까지 모두 육군사관학교 출신이다. 제5군단도 육사 출신이 계속 군단장을 맡고 있다. 군단장 중 최요직 둘을 육사가 독점하는 셈이다. 또한 제50대 군단장부터 제54대 군단장에 이르기까지 5연속으로 1군단 예하 사단장 출신 장군들이 보임하고 있었으나[* 김용우, 황대일, 안병석 군단장은 9사단장 역임. 서욱, 안영호 군단장은 25사단장 역임.] [[제6군단]] 예하 [[제28보병사단]]장을 역임한 제55대 이두희 군단장이 부임하면서 이 콤보는 깨졌다[* 단 사단장이 아닌 1군단 예하 지휘관 출신으로 확장한다면 이 연속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두희 군단장이 준장시절 1포병여단장을 역임했기 때문이다.]. === 장교/부사관 ===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이광노]]: 육종 13기, 예)중장. 군단장 직무대리 역임.[* 수도군단장직을 끝내고 전역을 앞두고 있었으나 [[백운택]] 군단장의 급사로 인해 후임 군단장 인선 전까지 군단장 대행을 맡아 수행했다.] * [[유재흥]]: 일본육사 55기, 예)대장. 부군단장 역임. * [[최홍희]]: 예)중장, 군단 참모장과 부군단장 역임 * [[박시창]]: 예)소장, 광복군, 부군단장직을 끝으로 예편.[* 독립운동가 [[박은식]] 선생의 양자였음.] * 배두용: 육사 4기, 예)준장. 부군단장 역임. * [[정승화]]: 육사 5기, 예)대장. 부군단장 역임. * [[이준식(군인)|이준식]]: 육사 8기, 예)중장. 부군단장 역임. * 한태일: 육사 9기, 예)준장. 부군단장 역임. * 박동원: 육사 14기, 예)소장. 부군단장을 끝으로 예편.[* 육사 14기 대표화랑이었으나 하나회의 견제를 받아 한직만 돌았고 사단장 보직도 방위사단인 [[제66보병사단]]장 직에 그치며 1987년에 조용히 예편했다.] * 이진모: 3사 12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준장 시절에 부군단장 역임. 특이하게도 소장 마지막 보직도 부군단장이었는데, 이 때는 6군단에서 맡았었다.] * 박대섭: 육사 35기. 예)소장, 부군단장직을 끝으로 예편.[* 57사단장과 국군복지단장을 거쳐 부군단장으로 이동.] * [[김길영]]: 3사 14기. 예)소장, 부군단장직을 끝으로 예편.[* 55사단장과 3사교장을 거쳐 부임.] * [[금용백]]: 3사 18기. 예)소장, 부군단장직을 끝으로 예편.[* 23사단장과 3사교장을 거쳐 부임.] * [[최창규]]: 3사 19기, 예)소장, 부군단장직을 끝으로 예편.[* 35사단장, 포병학교장, 합참 민군작전참모부장 역임] * [[권혁신]]: 학군 23기. 예)소장, 부군단장직을 끝으로 예편.[* 기수는 권혁신 소장이 더 높으나 실제로는 인성환 소장을 거쳐 권혁신 소장으로 교체되었다.] * [[인성환]]: 육사 43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특이하게도 소장 마지막 보직도 부군단장이었는데 이 때는 합동군사대학 총장을 끝내고 2군단에서 맡았었다.] * [[황유성]]: 육사 46기. 예)중장, 부군단장 역임[* [[제20기계화보병사단]] 해체와 동시에 1군단 부군단장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으로 전보되었다. 이후 군수참모부장을 거쳐 임기제 진급 후, 국군방첩사령관으로 이동했다.] * [[장광선]]: 3사 25기. 예)중장, 부군단장 역임[* [[제2보병사단]]장으로 재임했으나 해체 후 [[제2신속대응사단]] 창설준비단장을 거쳐 부임. 7개월간의 임기를 수행하고 물러났으며 안병석 군단장이 이전에 수행하던 보직인 육본 정보작전참모부장으로 이동했다가 모교인 [[육군3사관학교]]장으로 이동하였고 거기서 중장으로 진급해 제2군단장에 취임했다. 육본 정보작전참모부장은 많은 중장을 배출한 요직인 만큼 중장 진급 가능성이 크다.] * [[김경수(군인)|김경수]]: 육사 43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제35보병사단]]장을 지낸 인물로, 직능은 인사. 이후 [[국군의 날]] 행사단장과 [[국군복지단]]장을 거쳐 최종보직인 1군단 부군단장으로 전보되었다. 전임 군단장인 [[황대일]] 중장이 육사 동기이며, 2020년 11월에 취임한 지상작전사령관인 [[안준석]] 대장 역시 육사 동기여서 사실상 말년 소장라고 보면 되었다.][* 2009~2011년에는 대령 계급으로 군단 인사참모를 역임했다.] * [[김섭]]: 학군 26기, 예)준장, 부군단장 역임.[* 75사단장을 끝내고 부임했으며, 안병석, 이두희 군단장보다 기수가 더 높기 때문에 전역을 앞둔 말년 준장이라 볼 수 있다.] * [[유기종]]: 육사 45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과거 2기갑여단장을 지냈고, 소장 진급 이후에는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과 기계화학교장을 거쳐 부군단장으로 이동. 군단장인보다 선배인데다가 동기인 [[안병석]] 전 군단장이 대장 진급을 하면서 전역하였다.] * [[배현국]]: 3사 25기. 소장, 부군단장 역임.[* [[제55보병사단]]장을 마치고 부임. 3사 동기인 장광선 중장과 달리 진급에 있어 후발주자였고 소장 1차 보직을 상당히 길게 하다가 2차 보직으로 부군단장을 받았다. 3차 보직으로 육군3사관학교장을 받아 군단을 떠났다. 이후 정책 연수를 거쳐, 4차 보직으로 제5군단 부군단장으로 이동했다.] * [[김권(군인)|김권]]: 육사 47기. 소장, 부군단장 역임.[* 이 쪽은 4차 보직으로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되어 떠났다. 한직에서 한직으로 수평 이동한 셈. 단, 저 쪽은 중장 보직이어서 의전 수준도 중장에 맞춰졌다.] * [[임기훈]]: 육사 47기. 중장, 부군단장 역임.[* 소장 2차 보직으로, 여기서 전역할 것이라고 예상되었으나, 중장 3차 진급(임기제)과 함께 국방대학교 총장에 임명되었다.] * [[김홍석]]: 육사 46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소장 5차 보직으로, 여기서 전역했다. 과거 1사단장을 역임했고, 합참 작전부장, 작전기획부장을 맡았으나 진급에 비선되고 한직인 국방대학교 총장으로 갔다가 1기수 후배인 임기훈 소장과 보직을 맞바꿨다.] * 김병휘: 군사영어 1기. 예)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김종갑(1922)|김종갑]]: 군사영어 1기. 예)중장, 군단 참모장 역임. * 안광영: 육사 3기. 예)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이원장]]: 예)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장호강]]: 육사 8기[* 1937년 중국군관학교를 졸업했으나 후에 왕정위군 장교로 임관했기에 국민혁명군 소속 중국중앙군관학교인지 불분명하다.],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광복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시인] * 이정랑: 육사 10기. 예)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박성욱: 육종 1기.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조남풍]]: 육사 18기. 예)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고용복]]: 육사 18기. 예)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이태우: 갑종 157기. 예)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39사단]]장, [[육군훈련소|육군 제2훈련소]]장 역임.] * [[김인종]]: 육사 24기. 예)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김종환(1946)|김종환]]: 육사 25기. 예)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권영기]]: 갑종 222기. 예)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박한기]]: 학군 21기. 예)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박삼득]]: 육사 36기. 예)중장, 군단 참모장 역임 * [[임호영]]: 육사 38기, 예)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김종철(군인)|김종철]]: 육사 44기, 예)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백자성]]: 육사 45기.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김홍만(군인)|김홍만]]: 학군 25기.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김민호(군인)|김민호]]: 학군 26기. 예)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표창수]]: 육사 47기. 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이후 102기갑여단장을 거쳤으며 소장진급과 동시에 [[제22보병사단]]장으로 이동했으나 경질되어 제2군단 부군단장으로 이동했다. 참모장 재임 당시 내부 평가는 상당히 좋았던 인물인지라 많은 이들이 안타까워 했다. 이후 [[제2신속대응사단]]장을 겨쳐 한직인 육군보병학교장으로 다시 이동했다.] * [[이승오]]: 육사 49기. 중장, 군단 참모장 역임[* 現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前 [[제22보병사단]]장. 前 합참 작전본부 작전부 작전1처장. 준장(진)때 부임해서 준장을 여기서 달고 합참으로 영전했다.]. * [[박수(군인)|박수]]: 육사 47기. 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前 [[제5기갑여단]]장, [[부사관 성전환 사건]] 당시 5기갑여단장이었다. 여기에 기갑병과라는 점까지 겹쳐 다음 보직으로 한직을 받았고, 결국 준장 5차 보직으로 육군기계화학교장을 역임하고 있다.] * [[우성제]]: 3사 27기, 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前 [[제1공수특전여단]]장, [[제3기갑여단]]장. 現 [[제72보병사단]]장] * [[박진희(육사51기)|박진희]]: 육사 51기, 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박성훈(군인)|박성훈]]: 3사 29기, 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김진성: 육사 51기, 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소준열]]: 육사 10기. 예)대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이상훈(육군)|이상훈]]: 육사 11기. 예)대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김기택: 육사 11기, 예)소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장기하]]: 육사 14기. 예)소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22사단장 시절 조준희 일병 월북사건이 터지면서 전역했다. [[청보식품]] 사장 역임.] * [[구창회]]: 육사 18기. 예)대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김재창]]: 육사 18기. 예)대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이재달: 육사 20기. 예)중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원래 인사참모를 맡다가 보직 이동. 군단에서 인사참모와 작전참모를 둘 다 맡는 것은 보기 어려운데 그 중 하나이다.] * [[이상의]]: 육사 30기. 예)대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김요환]]: 육사 34기. 예)대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원래 교훈참모를 맡다가 2001년 12월 대령 인사에서 보직이동. 이후 1년의 작전참모를 끝내고 준장으로 진급.] * [[이석구]]: 육사 41기. 예)중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김만기(군인)|김만기]]: 육사 43기, 예)소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손광제]]: 육사 48기. 소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現 [[국가위기관리센터]]장] * 이영규: 육사 48기. 준장, 군단 작전처장 역임.[* 25사단 70연대장을 거친 인물로, 교육사로 이동하여 준장 진급 후 2군단 참모장을 지내고 현재는 소장 진급에 실패하여 1기갑여단장을 거쳐 지금은 30기갑여단장을 지내고 있다.][* 이영규 작전참모부터 작전참모가 작전처장으로 바뀌었다. 특이하게도 육사 48기에서 2연속으로 작전참모가 나왔다. 다만 이 중에서 이영규 장군의 진급이 가장 늦었는데, 군단 작전처장을 찍고 교육사에 가서 준장을 달았다.] * [[박정환(1970)|박정환]]: 육사 49기. 준장, 군단 작전처장 역임.[* 22사단 56연대장을 거친 인물로 여기서 준장 2차 진급 후 수도군단 참모장으로 이동했다. 이후 제2작전사령부 작전계획처장, 제11공수특전여단장을 거쳐 지금은 육군특수전사령부 참모장이다.] * [[박중동]]: 육사 50기. 준장, 군단 작전처장 역임.[* 35사단 106연대장을 거친 인물로 여기서 준장 2차 진급 후 8군단 참모장으로 이동했다. 이후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 차장을 했으나, 진급에서 비선되어 한직인 욱군항공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이동했다.] * [[안찬명]]: 육사 51기. 소장, 군단 작전처장 역임.[* 31사단 93연대장과 합참 작전본부 합동작전과장을 지냈으나 준장 진급에 실패하고 이 보직으로 왔다. 여기서 준장 2차 진급 후 다른 준장 자리로 이동했다.] * [[곽합]]: 육사 42기. 예)준장, 군단 인사참모 역임.[* 前 [[국군체육부대]]장(1급 계약직 군무원)] * [[정진경]]: 육사 42기. 예)중장, 군단 인사참모 역임. * 최원석: 육사 52기. 준장, 군단 인사처장 역임. * [[조영진(군인)|조영진]]: 육사 40기. 예)소장, 군단 화력참모 역임 * [[김종문(군인)|김종문]]: 육사 42기. 예)소장, 군단 화력참모 역임 * [[방성대]]: 3사 24기. 예)소장, 군단 화력참모 역임[* 現 육군3사관학교장, 육군포병학교장 역임][* 이후 [[제30기계화보병사단]]장, [[육군포병학교]]장, [[육군3사관학교]]장, [[제5군단]] 부군단장 역임.] * [[김규하(육사47기)|김규하]]: 육사 47기. 중장, 군단 화력참모 역임[* 現 [[수도방위사령관]],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부장. [[제52보병사단]]장 역임.] * 윤현식: 육사 52기. 준장, 군단 화력처장 역임 * [[신말업]]: 육사 16기. 예)대장, 군단 정보참모 역임 * [[안현태]]: 육사 17기. 예)소장, 군단 정보참모 역임 * [[한철용]]: 육사 26기. 예)소장, 군단 정보참모 역임 * [[허평환]]: 육사 30기. 예)중장, 군단 정보참모 역임 * [[장세준(군인)|장세준]]: 육사 45기. 예)중장, 군단 정보참모 역임 * [[이우재(1934)|이우재]]: 육사 13기. 예)준장, 군단 지휘통신참모 역임[* 제101정보통신단장이 겸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 [[서정천(군인)|서정천]]: 육사 42기. 예)소장, 군단 군수참모 역임 * [[김성도(군인)|김성도]]: 육사 44기. 예)소장, 군단 군수참모 역임[* 이후 [[제30기계화보병사단]]장 역임. 최종보직 육군종합군수학교장] * [[김진철(군인)|김진철]]: 학군 30기. 소장, 군단 군수처장 역임[* [[제9보병사단]]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을 거쳐 지금은 육군종합군수학교장이다.] * 김진평: 학군 33기. 준장. 군단 군수처장 역임. * 정육진: 갑종 57기. 예)준장, 군단 공보정훈참모 역임. * [[안상욱]]: 학사 19기. 예)준장, 군단 재정참모 역임. * [[이종협]]: 육사 42기. 예)소장, 헌병대장 역임.[* 현재는 군사경찰단장으로 바뀌었다.] * [[정승조]]: 육사 32기. 예)대장, 작전참모처 연구관 역임[* 대령 진급을 앞둔 상태에서 잠깐 쉬어가라고 맡은 자리이다.] * [[전인범]]: 육사 37기. 예) 중장, 지휘부 군단장 전속부관 역임 * 정홍: 민간 000기. 예)원사, 군단 주임원사를 1985년부터 1995년까지 무려 10년씩이나 역임한 인물이다. * 양홍률: 민간 000기. 예)원사, 군단 주임원사를 1995년부터 2002년까지 7년이나 지낸 인물. * 유희동: 민간 000기. 예)원사, 군단 주임원사 역임.[* 2020년을 끝으로 전역. [[황대일]] 前 [[군단장]]과는 이미 [[제9보병사단]]에서 사단장과 사단 [[주임원사]]로 같이 일한 이력이 있다.] 이 외에도 군단에서 참모나 실무자로 일한 인물이 고위직으로 승진하여 복귀하는 일이 종종 있는데 [[안영호]], [[강호필]] 군단장은 대령 시절에 작전참모를 지낸 이력이 있으며, 김경수 前 부군단장은 대령 시절에 인사참모를 지낸 이력이 있다. === 병 ===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강서우]]: [[제101정보통신단]] 복무 * 윤영[* [[A-JAX]] 출신]: [[제101정보통신단]] 복무 * [[이다윗]]: [[본부근무대]] 군악대 복무 * [[조강현]]: [[제101정보통신단]] 복무 중 현역복무부적합 전역 * [[홍석]]: [[본부근무대]] 군악대 복무중 의병 전역 == 기타 == === 근무환경 === 사령부 영내에는 직할부대들이 여럿 주둔하고 있다. 부대 경비 및 환경 정비, 차량 운행, 군악 및 의전을 담당하는 [[본부근무대]]가 있으며, 통신 업무를 담당하는 [[제101정보통신단]] 통신운용대대가 주둔하고 있다. 또한 제1군단 [[군사경찰]]단과 제141정보대대 본부가 자리한다.[* 정확히 영내에는 본부중대 밖에 없다. 인력이 가끔씩 크게 늘어나는데 이건 신교대 수료 인원들이 어느 중대로 갈 지가 확정되지 않았을 때의 일이고, 주말을 보낸 이병들은 다시 소속 부대로 떠난다. 정보대대 특성상 실질적인 근무는 예하부대에서 이뤄지기 때문.] 또한 [[공군]] [[공군항공지원작전단]] 예하부대도 주둔하고 있다.[* 이 외에도 상급부대 특성상 다른 부대에서 파견 온 인력들이 있다. [[제1공병여단]]에서 파견 온 영선대, [[국군수송사령부]]에서 일하는 전장이동통제대 인원, [[제11방공단]]에서 파견 온 방공인원들. 이 들은 사령부에 파견 온 인원들이며 본부근무대에서 숙식을 해결한다.] 본래 직할대들은 각각 자신들의 막사를 가지고 있었고[* 본부대는 다 쓰러져가는 허름한 건물이었고, 운용대대 역시 마찬가지였으나, 새 막사 건설을 위해 정보대대 근처에 컨테이너 막사를 지어 이전했다. 정보대대 막사는 평범한 수준이었고, 군사경찰단은 영내 골프장 철거 후 후적지에 지은 막사여서 그런지 새삥이었다. 정작 군사경찰단은 본부근무대 컨테이너가 설치되면서 자기네 연병장을 빼앗기지만.], 병영식당만 공유하고 있었으나, [[황대일]] 군단장 시절부터 영내 직할대 통합막사를 공사하였고, 마침내 [[이두희(군인)|이두희]] 군단장 임기 중에 완공이 이뤄졌다. 그래서 군사경찰단만 독립된 막사를 사용하고[* 영내 골프장을 없애고 그 자리에 헌병단 막사를 지었다.], 나머지 직할대들이 통합 막사를 사용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부대가 산에 세워져 있는 탓에 영 좋지 않은데 사령부 입구에서부터 각 직할대 막사까지는 계속 언덕을 올라가야 한다. 구)정보대대 본부와 운용대대가 가장 심각한 입지였으며, 현재는 군사경찰단이 가장 입지가 나쁘다. 사령부급 부대이기 때문에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기본적인 PX와 우체국은 물론 은행 ATM, 이디아 카페[* 점심시간대가 압권인데, 카페 앞에서 대령과 중령들도 주문한 커피를 기다리는 그런 장면도 볼 수 있었다. 장성들이야 다 부관이나 담당병에게 시키니.]와 간부 전용 목욕탕[* 사실 둘로 나뉘어 있다. 테니스장에 있는 곳은 장군과 대령들만 들어갈 수 있고 다른 곳은 하사부터 중령까지 이용 가능하다.], 간부 전용 식당, 이발소, 테니스장, 공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젊은 간부들의 거주를 위해 세워진 BOQ가 있으며[* 다만 시설이 노후된 편이다.], 군단 사령부 간부들의 편의를 위해 출/퇴근버스를 운행하며[* 영내 직할대 인원들의 평일 외출도 이 버스를 타고 이뤄진다.] 영외에는 아예 아파트 및 영외 PX까지 있다. 이 외에도 고양동에서 출근하는 간부들도 많다. 제1군단 예하 사단 신병교육대대에서는 매 기수마다 일정 인원들을 1군단에 자대배치시킨다. 단, 이 때는 세부적인 자대가 나오는게 아니라 1군단이라고 뭉뚱그려서 전속부대가 나온다. 아무 것도 모르는 훈련병들이 군단 사령부에 간다고 기뻐할지도 모르지만, 배치 범위는 상비사단 3개를 제외한 전 부대이다. 사령부 내에서 근무하는 본부근무대는 극소수의 인원들이 배치되며, 그나마 운이 좋아야 정보대대[* 물론 이 쪽도 다시 중대별로 재배치를 하기 때문에 대대본부에 와도 금방 나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운용대대, 군사경찰단에 남고 나머지는 다시 인솔간부를 따라서 다른 부대로 간다.[* 물론 이 중에서 정보대대는 상당수가 TOD 인력이며, 101통신단은 단 본부도 코 앞이어서 나쁘지 않다. 다만 1공병이 걸린다면....] 서울과 수도권에 사는 병사라면 휴가 나가기에 용이하다. 택시 타고 10분이면[* 3700번 시외버스가 크게 감편된 이후에는 접근성이 많이 악화되었다. 그래서 휴가자들은 왠만해서 택시가 필수가 되었다.] 고양동 시내에 도착하는데 여기서 774번 버스로 갈아타면 서울시내까지 나갈 수 있으며 85번 버스로 갈아타면 김포공항까지 갈 수 있다. 그래서 지방 접근성이 우수한 편이다. === 광개토제일회관 === ||<-7><#0c0e85><:> '''{{{#fff {{{+1 광개토제일회관}}}}}}'''[br]'''{{{#fff 廣開土第一會館}}}'''[br]'''{{{#fff Kwanggaeto First Hall}}}'''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고양시 광개토제일회관, 너비=100%, 높이=100%)]}}} || ||<#0c0e85><:> '''{{{#fff 위치}}}''' ||<-6><(>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고양동]]사거리 근방에 위치한 회관. 특이하게 군단 내 면회객을 위한 시설이 없고, 부대 밖에 위치해있다. 1989년에 현 위치에서 영업을 시작했으며 2층에 객실, 1층에 고깃집, 목욕탕이 있다. === 군단가 === || [youtube(7QNhUU64s6A)] || || '''조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최초로 횃불 든 호국의 군단''' '''최강의 전사들 용맹한 기상''' '''전승의 역사를 이어가리라''' '''불굴의 투지로 승리하자''' '''새 역사 창조의 제1군단''' '''통일의 선봉엔 우리가 있다''' '''자유 평화 번영 위하여 전진하리라''' '''최초로 38선 돌파한 우린''' '''눈부신 전공에 빛나는 군단''' '''무적의 용사들 혼을 이어서''' '''대한의 조국 강토 굳게 지키자''' '''불굴의 투지로 승리하자''' '''새 역사 창조의 제1군단''' '''통일의 선봉엔 우리가 있다''' '''자유 평화 번영 위하여 전진하리라'''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width=60]] || 원래는 1973년에 [[이은상(시인)|이은상 시인]]이 작사한 가사를 사용하였으나 2012년에 군단가의 가사를 공보정훈부에서 [[나태주(시인)|나태주]] 시인의 도움을 받아 새로 바꾸면서 현 가사가 되었다. >'''조국의 강토와 겨례를 위해 피로써 지키는 자유의 군대''' >'''멸공의 깃발을 높이 들어라 우리들 가는 곳에 승리가 있다''' >'''여기는 벽제관 서부전선 날래고 슬기로운 제1군단''' >'''오늘 또 한번 맹세를 짓자 통일 통일 번영 그 목적 이룰때까지''' > >'''─ (구) 1군단가 1절''' > >'''청춘의 피끓는 화랑의 후예 나라에 몸바친 정의의 군대''' >'''믿어라 뭉쳐라 큰 힘이 되라 우리들 가는 곳에 평화가 있다''' >'''여기는 벽제관 서부전선 날래고 슬기로운 제1군단''' >'''오늘 또 한번 맹세를 짓자 통일 통일 번영 그 목적 이룰때까지''' > >'''─ (구) 1군단가 2절''' [[이은상(시인)|이은상 시인]]이 작사한 1군단가 (1973~2012) == 사건사고 == * [[제9보병사단 지휘부 복지회관 특혜 의혹]]에 이어 군인권센터에서 폭로를 하였다. 2023년 8월 1일, 예하 사단인 [[제9보병사단 지휘부 복지회관 특혜 의혹]]이 폭로될 시점인 7월 26일 ~ 7월 27일 1군단 복지회관인 광개토 제일회관에 군단 인사처장과 육군본부 감찰 인력이 나가 회관병들을 상대로 설문조사와 상담을 진행했는데 이들이 도착하기 1시간 전 회관 관리관이 회관병을 집합시킨 뒤 “우리는 걸릴 것이 없고 이번 사건에 연루될 만한 것은 없다”며 압박성 발언을 했다는 것이 [[https://mhrk.org/notice/press-view?id=4632|군인권센터의 주장이다.]] [youtube(xU4SZXbakew)] == 여담 == * [[파주시]], [[양주시]], [[의정부시]]를 제외한 [[서울]] 포함 타 지역으로 나가려는 사령부와 사령부 근처에 위치한 직할부대에 속한 장병들은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을 많이 애용하는 편이다. * '''사령부와 사령부 근방에 위치한 직할부대의 [[위수지역]]이 서로 다르다.''' 고양동에 주둔한 101정보통신단 같은 경우는 직계 가족이 [[파주시]],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에 살고 있지 않으면 [[고양시]], [[의정부시]]에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사령부에서 산 하나만 넘으면 있는 [[제1포병여단]] 사령부는 위수지역이 [[서울]] 강북까지이다. 게다가 연신내 쪽으로 시내버스를 타고 가다 보면 삼송 근처에 있는 [[제1공병여단]] 사령부 같은 경우도 위수지역이 서울 전체다. 이 문제로 인해 일부 용사들의 불만이 나오고 있지만, 위수지역은 지휘관 재량이기 때문에 지휘관이 마음 먹지 않는 이상 함부로 바꿀 수가 없다. * 사령부 직할 종교시설이 모두 영외에 있다. 원래 141정보대대 본부 막사 인근에 호국일승사가 있었고, 병사식당 앞에 천하제일교회가 있었다. 성당 혼자 영외인 고양동에 있었는데 이 [[군종교구]] 성요셉성당은 [[6.25 전쟁]] 당시 [[미군]]의 군인극장이었던 것을 성당으로 개조했다고 한다. 이후 2020년 1월에 호국일승사가 먼저 통합종교시설 부지로 이전했고, 2021년 11월에 천하제일교회와 성요셉성당이 각각 영내, 고양동에서 통합종교시설 부지로 이전했다.[* 교회 건물과 식당건물은 기록물관리실과 군악대 연습실로 개조되었다. 종교시설을 영외로 보내고 영내 직할대 통합막사와 더불어 영내 편의시설도 대대적으로 재배치하는 계획이 진행중이기 때문.] * 제1군단 관내 사단에 있는 제1보병사단, 제9보병사단, 제25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가 2024년에 폐지된다. [[https://youtu.be/GBELBR8CcYU?feature=shared|#]] [[분류:제1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