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군단)] ||<-7><#0c0e85><:> '''{{{#fff {{{+1 제1군단}}}}}}'''[br]'''{{{#fff 第一軍團}}}'''[br]'''{{{#fff I Corps}}}''' || ||<#ffffff><-7><:>[[파일:1군단 마크.jpg|width=300]] || ||<-7><#0c0e85><:> '''{{{#fff 조국통일의 선봉 천하제일 광개토부대}}}''' || ||<#0c0e85><:> '''{{{#fff 창설일}}}''' ||<-6><(> [[1950년]] [[6월 28일]]([[시흥지구전투사령부]])[br][[1950년]] [[7월 5일]]'''(제1군단)''' || ||<#0c0e85><:>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 '''광개토부대(廣開土部隊)''' || ||<#0c0e85><:> '''{{{#fff 소속}}}''' ||<-6><(> [[파일:대한민국 육군기.png|width=30]] [[대한민국 육군]] || ||<#0c0e85><:> '''{{{#fff 상급부대}}}''' ||<-6><(> [[파일:제1야전군사령부_2.png|width=30]] [[지상작전사령부]] || ||<#0c0e85><:> '''{{{#fff 규모}}}''' ||<-6><(> [[군단]] || ||<#0c0e85><:> '''{{{#fff 역할}}}''' ||<-6><(> 경기도 서부전선 방어 || ||<#0c0e85><:> '''{{{#fff 군단장}}}''' ||<-6><(>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width=30]] 중장 [[안병석]](육사 45기) || ||<#0c0e85><:> '''{{{#fff 부군단장}}}''' ||<-6><(>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2.gif|width=30]] 소장 [[김경수(군인)|김경수]](육사 43기) || ||<#0c0e85><:> '''{{{#fff 참모장}}}''' ||<-6><(>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1.gif|width=30]] 준장 [[우성제]](3사 27기) || ||<#0c0e85><:> '''{{{#fff 위치}}}''' ||<-6><(>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제1군단, 너비=100%, 높이=100%)]}}} || [목차] ||'''[[군단사령부령]] ''' '''제1조(설치)''' ① 육군에 군단을 두며, 그 관할구역의 작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단사령부를 둔다. ② 군단의 명칭은 대통령이 정하고, 군단의 예속(隸屬)은 육군참모총장이, 군단의 배속(配屬)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하며, 군단 관할구역은 직속상관이 정한다.|| || [[파일:YA_PG_20151218_01000177700002121_99_20151217174904.jpg|width=100%]] || || '''육군 제1군단 사령부 본청[* 다만 이건 옛 모습이고 지금은 신축되어서 다른 모습이다.]''' || [clearfix] == 개요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를 근거지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소속 [[군단]]. 별칭은 '''광개토부대'''와 '''천하제일군단'''.[* 군단 사령부 정문에 들어가면 한자로 크게 '''광개토부대'''라고 적힌 표지석이 있다. 대연병장 시상대에는 한자로 '''천하제일군단'''이라고 적혀있다. 1이라는 숫자에 군단이 애칭이 강한데, 최초로 38선을 돌파한 군단이자 [[6.25 전쟁]] 당시에도 군단 중에 제일 큰 활약을 해서인지 1을 상당히 강조한다. 군단에서도 이 점을 이용하여 군단 교환대로 전화를 걸면 [[통신병#s-3.1.6.2|교환병]]이 '[[통신보안]]을 준수합시다! 천하제일군단 교환대입니다. 무엇을 도와드립니까?'라고 안내멘트를 전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군단 구호로 '천하제일 광개토 전사의 다짐'을 명시하고 있고, 광개토부대라는 애칭 외에도 2000년까지 쓰이던 애칭인 천하제일1군단(천하제일군단)도 꽤 쓰이는 편이다.] 3개의 [[사단(군대)|사단]]과 5개의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다. 2021년 현재 [[군단장]]은 [[안병석]] 중장(육사 45기)이다. == 상세 == [[1950년]] [[7월 5일]]에 당시 [[경기도]] [[시흥군]] 동면 독산리[* 현재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에서 '[[시흥지구전투사령부]]'로 창설되었다. 창설 당시 부대 임무는 서울 방어전에서 패퇴하여 흩어진 병력을 재편하고 [[영등포]][* 지금의 [[영등포구]], [[동작구]]([[사당동]] 제외), [[구로구]] [[구로동]], [[신도림동]] 일대. 6.25 당시에도 서울특별시 행정구역에 속했으나 당시만 해도 서울의 온전한 일부라는 인식보다는 독자적인 지역정체성이 남아있었다.], 시흥군[* 지금의 금천구, [[관악구]](동작구 사당동 포함), [[광명시]], [[서초구]], [[안양시]], [[과천시]], [[군포시]], [[안산시]], 시흥시 남부. 현재의 시흥시 북부는 당시 [[부천군]] 소래면, [[의왕시]]는 [[화성군]] 일왕면.] 지역에 형성된 전선을 방어하는 이중임무가 하달되었다. [[발터 모델|병력을 수습하고 동시에 방어까지 해야되는 것]]. 물론 이는 초대 사령관 [[김홍일]] 장군의 탁월한 지휘능력으로 가능했다. 이후 1군단으로 재편되었으며, 여러 지역을 전전하며 편제가 지속적으로 바뀌었다가 1972년 현 위치([[고양시]], [[파주시]])로 이전하고 서부지역 작전의 중축이 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현재 제1군단은 '''육군 최대 규모의 군단'''이다. 상비보병[[사단]] 3개 뿐 아니라 [[제1포병여단|사단급에 준하는]] [[포병]][[여단]] 1개, 보병사단급 이상의 전투력을 갖고 있는 [[기갑]]여단 2개를 거느리고 있어, '''6개 사단''' 이상의 전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육군 전체 병력의 '''12퍼센트'''에 달할 정도라고 할 정도이기 때문이다. 2016년 말 [[제7기동군단]]의 확대개편[* 상비사단이 5개, 그것도 전부 기계화보병사단이어서 ~~[[미군]] 빼고~~ 세계 최강의 군단이라는 별명까지 얻은 바 있다.]으로 잠시 최대 규모라는 타이틀을 7군단에 내주기도 했지만 이는 [[20사단]], [[26사단]]의 해체 및 [[국방개혁 2.0]]의 내용에 근거한 향후 6군단과의 통폐합으로 인한 과도기적인 현상에 불과했던 터라, '육군 최대 군단=제1군단'이라는 명함은 조만간 다시 찾아올 예정이다. 1군단에 이토록 막강한 전력이 집중되어 있는 것은, 전방 군단들 중 [[서울]]에서 가장 가깝다는 막중한 임무를 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북한군]]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1군단이 지키는 [[고양시]], [[파주시]] 방면은 [[임진강]]이라는 거대한 천연방벽이 있어 주공이 되기 어렵다. 그래서 [[철원군]]-[[연천군]]-[[의정부시]]로 이어지는 축선이 지상군 주력의 주공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라는 것이 정설. 그래도 파주-고양은 서울까지의 종심이 워낙 가까워(최단 40km 이하) 이만한 전력집중은 불가피하다.] 거기에 [[고양시]], [[파주시]] 지역[* 이 중 군단 직할부대인 통신단의 1921부대는 군단 직할부대 중 유일하게 [[의정부시]]에 위치해서 의정부도 포함되기도 한다.] 향방예비군훈련을 담당하는 부대이기도 하다. == 편제 == === 직할부대 === * [[본부근무대]] * 군사경찰단 * [[제11항공단]][* 항공단 야전 군단 직할 배치 계획에 따라, 군단 직할부대로 편성.] * [[제11방공단]][* 5군단과 더불어 유일하게 방공단이 있는 군단임] * [[제101정보통신단]](횃불부대) * [[제301경비연대]] * [[제701특공연대]](흑표범부대) * 제11화생방대대(혜성부대) * 제141정보대대 * [[보충중대]][* 군단 그린캠프, 병역심사대, 보충병들이 지내는 중대] * '''[[지원부대]]''' * [[국군고양병원]]([[국군의무사령부]]) === 예하부대 === * [[제1보병사단]](전진부대) * [[제9보병사단]](백마부대) * [[제25보병사단]](비룡부대) * [[제1포병여단]](비호부대) * [[제1공병여단]](독립문부대) * [[제1군수지원여단]](삼마부대) * [[제2기갑여단]](충성부대) * [[제30기갑여단]](필승부대)[* 舊 [[제30기계화보병사단]].] == 과거부대 == * ~~[[제30기계화보병사단]](필승부대)~~ - [* 2020년 해체 후 [[제30기갑여단]]으로 전환][* 원래는 [[제6군관구사령부]] 예하의 향토사단이었으나 1970, 80년대의 수도군단, 수방사의 개편을 거치면서 지금과 같이 1군단 예하 전방사단으로 예속되었다. 기보사단 감축 계획에 따라 2020년에 1개 여단만 남아 [[제30기갑여단]]으로 개편되고 나머지 2개 여단은 타 부대로 이전될 예정이다. 이미 예하 92여단이 해체되었다.] * [[제72보병사단]](올림픽부대) [* [[육군동원전력사령부]] 귀속] * ~~[[제101보병여단(제1군단)]](무적부대)~~ [* 2007년 부대해체 및 [[제9보병사단]]과 통폐합] * ~~제511방공대대~~ [* 단급 부대인 [[제11방공단]]으로 승격] * ~~[[국군고양병원]]~~[* [[국군의무사령부]]로 이관] == 출신인물 == === [[군단장]] === [include(틀:제1군단장)]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6><#0c0e85><:> '''{{{#ffffff 역대 제1군단장}}}''' || ||<#0c0e85> '''{{{#ffffff 역대}}}''' ||<#0c0e85> '''{{{#ffffff 이름}}}''' ||<#0c0e85> '''{{{#ffffff 계급}}}''' ||<#0c0e85> '''{{{#ffffff 임관}}}''' ||<#0c0e85> '''{{{#ffffff 비고}}}''' ||<#0c0e85> '''{{{#ffffff 기타}}}''' || || 초대 || [[김홍일]] || 예) [[중장]] || 각주참고[* 일제강점기 시기인 1920년 이전에 중화민국으로 망명 이후 구이저우의 육군군관학교를 졸업, 국민혁명군 소위로 임관, 이후 독립운동을 계속하여 지속하다가 광복 이후 1948년 12월 10일 이승만 대통령의 특별 지시로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임관.] ||前 [[시흥지구전투사령부|시흥지구전투사령관]] ||前 중화민국 대사, [[외교부장관|외무부장관]] || || '''00대''' || '''[[백선엽]]''' || '''예) [[대장(계급)|대장]]''' || [[군사영어학교|군사영어]] 00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前 [[국토교통부장관|교통부장관]] || || '''00대''' || '''[[김종오]]''' || '''예) [[대장(계급)|대장]]''' || [[군사영어학교|군사영어]] 1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 || ||00대 || [[임부택]] || 예) [[중장]] || || || || '''25대''' || '''[[황영시]]'''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0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3야전군사령관]] ||前 [[감사원장]] [* [[12.12 군사반란|12.12 군사반란에 가담]]] || || '''43대''' || '''[[임충빈]]'''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9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 [* 2004.10 ~ 2006.12] || || '''46대''' || '''[[권오성]]'''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4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군단장 역임 이후 합참 작전본부장을 지내고 2011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거쳐 2013년에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2009.11 ~ 2010.12] || || 48대 || [[모종화]]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6기 ||前 [[육군인사사령부|육군인사사령관]] ||現 [[병무청장]] [* 2012.05.03 ~ 2013.10.31] || || '''49대''' || ''' [[엄기학]]'''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7기 ||前 [[제3야전군사령관]] || [* 2013.10.31 ~ 2015.04.13.] || || '''50대''' || ''' [[김용우(1961)|김용우]]'''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9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 [* 군단장 역임 이후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을 하다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자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 및 [[대장(계급)|대장]]으로 진급 후 전역.][* 2015.04.13 ~ 2016.10.17.] || || '''51대''' || ''' [[서욱]]'''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1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現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 군단장 역임 이후 합참 작전본부장을 지내고 2019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으며 2020년 8월 국방부장관에 임명되었다.][* 2016.10.17 ~ 2017.09.29] || || 52대 || [[안영호]]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2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 2017.09.29 ~ 2019.05.10][* 대령시절 군단 작전참모를 역임했으며, 준장 진급 후 군단 참모장으로 영전했다.] || || 53대 || [[황대일]] ||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3기 ||現 [[육군군수사령관]] || [* 2019.05.10 ~ 2020.12.07] || || 54대 || [[안병석]] ||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現 [[군단장]] || [* 2020.12.07 ~ ] || 육군 중장의 [[T/O]]가 25명 내외이고 대장은 전 군을 통틀어 7명 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1군단장은 상당한 [[요직]]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타 군단은 육사와 비육사 출신이 골고루 군단장을 맡는 것과 달리 제1군단장 보직은 제21대 군단장 최우근 중장(육사 3기)부터 현임 군단장인 안병석 중장까지 모두 육군사관학교 출신이다. 제5군단도 육사 출신이 계속 군단장을 맡고 있다. 50대 군단장부터 현임 군단장에 이르기까지 5연속으로 1군단 예하 사단장 출신 장군들이 보임하고 있다. [* 김용우, 황대일, 안병석 군단장은 9사단장 역임. 서욱, 안영호 군단장은 25사단장 역임.] === 장교/부사관 ===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권혁신]]: 학군 23기. 예)소장, 부군단장직을 끝으로 예편. * [[황유성]]: 육사 46기. 소장, 現 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 부군단장 역임[* [[제20기계화보병사단]] 해체와 동시에 부군단장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육본으로 전보되었다.] * [[장광선]]: 3사 25기. 소장, 現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부군단장 역임[* [[제2보병사단]]장으로 재임했으나 해체 후 [[제2신속대응사단]] 창설준비단장을 거쳐 부임. 7개월간의 임기를 수행하고 물러났다.] * [[조남풍]]: 육사 18기. 예)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박한기]]: 학군 21기. 예)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박삼득]]: 육사 36기. 예)중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김홍만(군인)|김홍만]]: 학군 25기. 예)준장, 군단 참모장 역임 * [[김민호(군인)|김민호]]: 학군 26기. 소장, 군단 참모장 역임 * [[표창수]]: 육사 47기. 소장, 군단 참모장을 역임[* 이후 소장진급과 동시에 [[제22보병사단]]장으로 이동.] * 이승오: 육사 49기. 준장, 군단 참모장을 역임[* 現 합참 작전 1과장.]. * [[김요환]]: 육사 34기. 예)대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이석구]]: 육사 41기. 예)중장, 군단 작전참모 역임. * 이영규: 육사 48기. 준장, 군단 작전처장 역임.[* 現 제2군단 참모장.] * 박정환: 육사 49기. 준장, 군단 작전처장 역임.[* 現 수도군단 참모장.] * 김진철: 학군 30기. 준장, 군단 군수처장 역임.[* 現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물자차장] * 유희동: 민간 000기. 예)원사, 군단 주임원사 역임.[* 2020년을 끝으로 전역. [[황대일]] 前 [[군단장]]과는 이미 [[제9보병사단]]에서 사단장과 사단 [[주임원사]]로 같이 일한 이력이 있다.] === 병 ===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강서우]](프로게이머): [[제101정보통신단]] 복무 * [[조강현]](프로게이머): [[제101정보통신단]] 복무 중. * [[GRAY]](래퍼) * [[민병규]](유명한사람):[[제101정보통신단]] 복무 == 기타 == === 근무환경 === === 광개토제일회관 === ||<-7><#0c0e85><:> '''{{{#fff {{{+1 광개토제일회관}}}}}}'''[br]'''{{{#fff 廣開土第一會館}}}'''[br]'''{{{#fff Kwanggaeto First Hall}}}'''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고양시 광개토제일회관, 너비=100%, 높이=100%)]}}} || ||<#0c0e85><:> '''{{{#fff 위치}}}''' ||<-6><(>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https://map.naver.com/v5/search/광개토제일회관|[[파일:홈페이지 아이콘.png|width=25]]]]|| [[고양동]]사거리 근방에 위치한 회관. 특이하게 군단 내 면회객을 위한 시설이 없고, 부대 밖에 위치해있다. === 군단가 === >'''조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최초로 횃불 든 호국의 군단''' >'''최강의 전사들 용맹한 기상 전승의 역사를 이어가리라''' >'''불굴의 투지로 승리하자 새 역사 창조의 제1군단''' >'''통일의 선봉엔 우리가 있다 자유 평화 번영 위하여 전진하리라''' > >'''─ 1군단가 1절''' > >'''최초로 38선 돌파한 우린 눈부신 전공에 빛나는 군단''' >'''무적의 용사들 혼을 이어서 대한의 조국 강토 굳게 지키자''' >'''불굴의 투지로 승리하자 새 역사 창조의 제1군단''' >'''통일의 선봉엔 우리가 있다 자유 평화 번영 위하여 전진하리라''' > >'''─ 1군단가 2절''' == 사건사고 == * == 여담 == * [[파주시]], [[양주시]], [[의정부시]]를 제외한 [[서울]] 포함 타 지역으로 나가려는 사령부와 사령부 근처에 위치한 직할부대에 속한 장병들은 [[서울 버스 774]]와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을 많이 애용하는 편이다. * [[시외버스 3700]]이 군단 쪽을 지나가기 때문에 의정부나 [[인천]], [[부평]] 쪽에 가려는 장병들이 많이 이용한다. 하지만 배차 간격이 극악이기 때문에 시간표에 맞춰서 타야된다는 단점이 있다. * '''사령부와 사령부 옆에 바로 위치한 직할부대의 [[위수지역]]이 서로 다르다.''' 사령부와 사령부 옆에 위치한 통신단 같은 경우는 직계 가족이 [[파주시]],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에 살고 있지 않으면 [[고양시]], [[의정부시]]에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사령부와 바로 옆 통신단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 [[제1포병여단]] 사령부는 위수지역이 [[서울]] 전체다. 게다가 연신내 쪽으로 시내버스를 타고 가다 보면 삼송 근처에 있는 [[제1공병여단]] 사령부 같은 경우도 위수지역이 서울 전체다. 이 문제로 인해 일부 용사들의 불만이 나오고 있지만, 위수지역은 지휘관 재량이기 때문에 지휘관이 마음 먹지 않는 이상 함부로 바꿀 수가 없다. * 광개토 전사의 길이라는 구호가 있다. '우리는 조국 통일의 선봉 천하제일 XX 전사다.'[* 부대에 따라 조금 다르다. 공병여단에서는 광개토 공병의 길이라고 부르고, "천하제일 공병전사다"라고 한다.]로 시작하여 5가지 구호를 외치는 것이다. 구호는 다음과 같다. "하나 나는 임무를 완수한다./둘 나는 포기하지 않는다./셋 나는 약자를 보호한다./넷 나는 전우를 져버리지 않는다./다섯 나는 행동으로 앞장선다.". 이 구호는 대대 식당 같은 곳에 현수막 등으로 눈에 잘 띄게 걸려있는 경우도 있다. 보통은 점호 같은 행사에서 [[복무신조]]에 이어서 제창한다. * 교회를 제외한 사령부 직할 군종시설이 모두 영외에 있다.[* 법당(호국일승사)는 영내에서 영외로 이전. 장기적으로는 교회(천하제일교회)와 성당(성요셉성당)도 법당 근처로 이전할 예정이며 교회 건물은 남겨서 다른 용도로 쓰일 예정이다.]그 중 [[군종교구]] 성요셉 성당은 [[6.25전쟁]] 당시 [[미군]]의 군인극장이었던 것을 성당으로 개조했다고 한다. 시설은 꽤나 낡은 편, --성당에 사는 짬타이거가 매우 귀엽다.-- [[분류:제1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