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fff {{{+1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br]'''[[우크라이나어|{{{#fff Бої за Донецький аеропорт}}}]][br][[러시아어|{{{#fff Бои за Донецкий аэропорт}}}]][br]Second Battle of Donetsk Airport'''}}} || ||<-2> {{{#fff [[돈바스 전쟁|{{{#fff 돈바스 전쟁}}}]]의 일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svg|width=100%]]}}} || ||<-2> '''{{{#fff 기간}}}''' || ||<-2> [[2014년]] [[9월 28일]] ~ [[2015년]] [[1월 21일]] || ||<-2> '''{{{#fff 장소}}}''' || ||<-2>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도네츠크 국제공항]] || ||<-2> '''{{{#fff 교전국 및 교전 세력}}}''' || ||<^|1>[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include(틀:국기, 국명=도네츠크 인민공화국)] || ||<-2> '''{{{#fff 지휘관}}}'''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빅토르 무젠코[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올렉산드르 트레팍[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이반 줍코프† ||<^|1>[[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3]] 알렉산드르 호다콥스키[br][[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3]] [[미하일 톨스티흐]][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아르센 파블로프]] || ||<-2> '''{{{#fff 전력}}}''' || ||'''[[우크라이나군]]''' * 제79공수여단 * 제93기계화여단 * 제95공수여단 우크라이나 의용군단 ||<^|1>'''[[도네츠크 인민 민병대]]''' * 보스토크 대대 * [[소말리 대대]] * [[스파르타 대대]] || ||<-2> '''{{{#fff 피해규모}}}''' || ||'''우크라이나 주장'''[br]100명 전사[br]440명 부상[br]9명 실종 ||<^|1>'''우크라이나 주장'''[br]800명 전사[br]2000명 부상 || ||<-2> '''{{{#fff 결과}}}''' || ||<-2>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승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돈바스 전쟁 당시 우크라이나군과 도네츠크 반군 사이에 발생한 전투이다. == 배경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당시 반군은 공항 터미널에서 철수했다. 도네츠크 국제공항은 반군이 점령한 도네츠크시에서 북서쪽 5km 떨어진 우크라이나군이 통제하는 지역이었다. == 전개 == 반군은 1차 전투 이후에도 공항 부근에서 꾸준히 우크라이나군을 공격했으며, 러시아로부터 대규모 지원을 받은 뒤 2014년 9월 공항 점령을 위한 공격을 개시했다. 반군은 러시아군의 지원을 받아 BM-21, BM-27 등으로 우크라이나군을 포격했다. 러시아군과 반군의 포격으로 공항이 초토화되었다. 공항을 방어하던 우크라이나군은 폐허 속에서 버텼으나 2015년 1월 15일 반군이 신 터미널을 점령해 다수가 사망 혹은 부상을 입거나 반군에 생포되었다. 반군들은 끝까지 남아 저항하는 우크라이나군에 '[[사이보그|키보르히]]'라는 별칭을 붙였으며 이 별칭은 SNS에 퍼져 우크라이나인들이 공항 수비수를 칭하는데에 쓰였다.2020년에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키보르히를 기리는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 도네츠크 국제공항 신터미널이 반군에 함락된 지 1일 후인 1월 16일은 도네츠크 국제공항 수비수들을 기리는 현충일로 지정되어 있다. [[분류:돈바스 전쟁]][[분류:지상전]][[분류:2014년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