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17년]] 개최되는 [[하림]]배 프로 여자국수전. == 상세 == [[2016년]]에 후원했던 [[BnBK]]가 후원을 철회하면서 대회 개최가 무산될 뻔 했지만 하림을 후원사로 맞아서 다행히도 개최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일정이 상당히 밀렸다. 본선 일정은 [[11월]]에 시작하여 결승은 [[1월]]에 진행될 예정.[* 이전 기록에 결승이 2월로 기재되었으나 본선 대진표가 나온 바, 1월로 예정되어 있다.] == 대회 진행 == * [[바둑TV]] 해설: [[장혜연]] 캐스터 - [[김영삼(1974)|김영삼]] 九단 === 예선 === [[파일:Femaleguksu22.jpg]] 최종 결과 * 프로여자국수전의 자매기전인 아마여자국수전 4강이 같이 예선을 치른다. 선수는 단 기준으로 배열했다. * 1일차 진출: [[채현지]], [[박지영]] 아마 / [[권주리(1997)|권주리]], [[김신영(1991)|김신영]], [[정연우]] 初단 / [[송혜령]] 二단 / [[박소현]], [[김채영]], [[김미리]] 三단 / [[박지연(1991)|박지연]] 五단 / [[김혜민]] 八단 / [[조혜연]] 九단 * 2일차 본선진출: [[김경은]], [[강다정]], [[강지수(1998)|강지수]], [[이유진(바둑)|이유진]], [[권주리(1997)|권주리]] 初단 / [[김혜림(1992)|김혜림]],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二단 / [[김채영]], [[김미리]] 三단 / [[김수진(1987)|김수진]] 五단 / [[조혜연]], [[박지은(바둑)|박지은]] 九단 * [[도은교]], [[채현지]], [[박지영]], [[한유정]] 4명의 아마추어는 단 한명도 본선에 올라오지 못했다. * [[강지수(1998)|강지수]]와 같이 입단했던 [[김경은]] 初단은 입단 이후 처음으로 대회 본선에 진출했다. * [[김채영]] -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자매는 나란히 본선에 올랐다. === 본선 === 선수는 단 기준으로 배열했다.(단, 본선시드의 경우는 전기 4강만 해당) * 본선 시드: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五단(전기우승), [[오정아]] 三단(전기준우승), [[이슬아(바둑)|이슬아]] 四단, [[최정(바둑기사)|최정]] 七단(이상 전기 4강) * 예선 통과자 12인: [[김경은]], [[강다정]], [[강지수(1998)|강지수]], [[이유진(바둑)|이유진]], [[권주리(1997)|권주리]] 初단 /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김혜림(1992)|김혜림]] 二단 / [[김채영]], [[김미리]] 三단 / [[김수진(1987)|김수진]] 五단 / [[조혜연]], [[박지은(바둑)|박지은]] 九단 [[파일:femaleguksu2017.jpg]] 대진표 ==== 16강 ==== * 일정: [[2017년]] [[11월 22일]] 10:00, 8판 동시 대국[* 장소는 한국기원 4층 대회장이다.] * '''[[박지은(바둑)|박지은]] 九단''' vs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二단 * '''[[최정(바둑기사)|최 정]] 八단''' vs [[권주리(1997)|권주리]] 初단: 131수 끝 흑불계승 * [[이슬아(바둑)|이슬아]] 四단 vs '''[[김경은]] 初단''' * [[김수진(1987)|김수진]] 五단 vs '''[[강지수(1998)|강지수]] 初단''' * [[김혜림(1992)|김혜림]] 二단 vs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五단''': 303수 끝 백 7집반승 * [[강다정]] 初단 vs '''[[김채영]] 三단''' * [[조혜연]] 九단 vs '''[[김미리]] 三단''' * [[이유진(바둑)|이유진]] 初단 vs '''[[오정아]] 三단''' ==== 8강 ==== 11월 30일 / 12월 8일, 20~21일 - [[바둑TV]] 스튜디오 * 1국: [[2017년]] [[11월 30일]] 14:00 [[https://www.youtube.com/watch?v=TorDIdLePPk|1부]] [[https://www.youtube.com/watch?v=ECQvdWLCsAg|2부]] [[https://www.youtube.com/watch?v=Wn_jVlOrRpk|3부]] * '''[[김미리]] 三단''' vs [[오정아]] 三단 - 330수 끝 흑2집반승 * 김미리가 초반부터 망해서 계속해서 버티기로 일관했는데 오정아가 하변 처리를 이상하게 한 덕분에 역전에 성공했다가 오정아가 우상귀에서 수를 내면서 다시 오정아가 우세해졌다. 하지만 오정아의 우상귀 패싸움 실수를 김미리가 잘 캐치해서 승리를 다시 낚아챘다. * 김미리는 이 대국 승리로 [[2018년]] 23기 여자국수전 본선 시드를 확정했다. * [[네이버TV]] 댓글에서는 [[바둑 비타민]] 효과라며 댓글이 나왔다. * 2국: [[2017년]] [[12월 8일]] 14:00 [[https://www.youtube.com/watch?v=6d5cDxZsr9M|1부]] [[https://www.youtube.com/watch?v=etkzvdiWKiA|2부]] * [[김경은]] 初단 vs '''[[강지수(1998)|강지수]]''' 初단 - 222수 흑 14.5집 승 * 입단 동기끼리의 대결, 강 초단이 승리하며 신예 바람을 이어나갔다. * 3국: [[2017년]] [[12월 20일]] 14:00 [[https://www.youtube.com/watch?v=u3A-eh-DCYg|1부]] [[https://www.youtube.com/watch?v=_xXNQ0pKXpA|2부]] [[https://www.youtube.com/watch?v=TCtW-1OQniI|3부]] * [[박지은(바둑)|박지은]] 九단 vs '''[[최정(바둑기사)|최 정]] 八단''' - 188수 백 불계승 이변 없이 최정 八단이 4강에 올라갔다. * 4국: [[2017년]] [[12월 21일]] 14:00 [[https://www.youtube.com/watch?v=oHgNcBOh3Ec|1부]] [[https://www.youtube.com/watch?v=2q8f33Av_BA|2부]] [[https://www.youtube.com/watch?v=mei1ABf1tLI|3부]] *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五단 vs '''[[김채영]] 三단''' - 180수 백 불계승 치열한 대국 끝에 김채영 三단이 라이벌 대결에서 승리하며 4강에 올라갔다. ==== 4강 ==== * 1국: [[2018년]] [[1월 8일]] 14:00 * [[김미리]] 三단 vs [[김채영]] 三단 * 결과는 [[김채영]] 三단의 187수 / 흑 불계승. * 2국: [[2018년]] [[1월 9일]] 14:00 * [[최정(바둑기사)|최 정]] 八단 vs [[강지수(1998)|강지수]] 初단 - [[여자기성전]] 개막전의 [[리벤지]] 매치 * 결과는 [[최정(바둑기사)|최 정]] 八단의 166수 / 백 불계승. ==== 결승 3번기 ==== * 결승 대진: 김채영 0 vs '''2 최정''' * 1국: [[2018년]] [[1월 22일]] 14:00 결과는 최정의 184수 백 불계승 * 2국: [[2018년]] [[1월 23일]] 14:00 최정 195수 끝 흑 불계승: '''2:0으로 우승''' == 대회 결과 == * 우승: [[최정(바둑기사)|최정]] * 준우승: [[김채영]] * 4강 : [[강지수(1998)|강지수]] / [[김미리]] 이상 4명은 차회 대회에 본선 시드로 직행한다. 또한, 최정은 특별승단 규칙에 따라 한국 여류 기사로썬 3번째로 九단에 등극하였다. [[분류:여자국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