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상징명칭(천둥)이 같은 부대, rd1=천둥부대, other2=다른 28여단, rd2=제28여단)] [include(틀:여단)] [include(틀:포병여단)] [include(틀:제28보병사단 예하부대)] ||<-7><:> '''{{{#fff {{{+1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br]'''{{{#fff 第28步兵師團 砲兵旅團}}}'''[br]'''{{{#fff The 28th Infantry Division Artillery Brigade}}}''' || ||<-7><:>[[파일: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png|width=300]] || ||<-7><:> '''{{{#0207f6 }}}''' || ||<:> '''{{{#fff 창설일}}}''' ||<-6><(> [[년|0000년]] [[월|00월]] [[일|00일]](제28보병사단 포병연대)[br][[2020년]] [[12월 1일]]('''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 ||<:>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 '''천둥부대''' || ||<:> '''{{{#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 '''{{{#fff 상급부대}}}''' ||<-6><(> [[제28보병사단]] || ||<:> '''{{{#fff 규모}}}''' ||<-6><(> [[여단]] || ||<:> '''{{{#fff 역할}}}''' ||<-6><(> 28사단 예하 여단 화력지원 || ||<:> '''[[여단장|{{{#fff 여단장}}}]]''' ||<-6>[[대령]] 신동열 || ||<:> '''{{{#fff 위치}}}''' ||<-6><(> [[경기도]] [[연천군]]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 [[제28보병사단]] 예하 '''포병여단'''. 별칭은 '''천둥'''. [[경기도]] [[연천군]] 일대에서 화력([[포격]])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 상세 == 옛 부대 비표색은 빨강색. 보병사단의 포병여단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급품이 좋지 않으며, 신막사 대대라 할지라도 타 보병대대와 비교하는 것이 부끄러울 정도로 시설이 미흡하다. 그나마 민통선 부대와 독립포대는 과거 [[격오지]] 판정이었지만 2007-08년쯤 심사 기준이 바뀌어서 겨우겨우 나오던 추가보급도 끊겼다. 운용 화기로는 [[KH179 155mm 견인곡사포|KH-179 견인곡사포]], [[K55A1#s-2.1|K-55A1 자주곡사포]], [[K-9 자주곡사포]]를 운용한다. 모 대대에는 군단급 규모의 병기본 훈련장이 있는데, 대한민국 육군 내에서도 손가락 안에 꼽히는 규모다. 원래는 사단 하나가 도맡아서 훈련장을 만들 계획이었지만, 그곳의 대대장이 '저희가 한번 해보겠습니다'라는 패기 넘치는 발언으로 대공사를 맡게 되었고,[* 그 대대장은 그 덕인지 이후 사단 참모부로 발령갔다.] 2002년 춘계진지공사를 겸해서 3개월간 전 최소인원을 제외한 전 대대원을 동원, 삽과 곡괭이로만 산 하나를 평지로 만들어 버리는 대업을 달성했다. 그리고 완공식 때는 군단장 예하 사단장, 연대장, 대대장까지 전부 구경을 하러와서 잔치를 벌였다. 참고로 완공식날 부대 앞 도로에 미싱을 땡겼단 얘기도 있으며, 3개월간 고생한 병사들에게 대대장은 부대원 전체에게 포상휴가와 함께 완공식날 저녁 돼지 6마리를 기부했는데, 몇 달간 삽질로 거지몰골이었던 대대원들은 돼지 6마리를 흔적도 없이 해치워버리는 패기도 보여줬다. 여단본부는 다른 보병여단 본부들보다는 전곡과 가깝고 가장 남쪽에 있다. 참고로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이 연대 역시 2020년부로 여단급으로 격상되었다. 2025년에 28사단 해체가 예정된 상황인만큼 해당 여단의 존속여부도 불투명하다. == 예하부대 == === 여단 직할대 === * '''[[본부포대]]''' === 제262포병대대 방패 ===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내부에 위치해 있다.[* 민통선이 부대를 관통한다. 정확히 말하면 민통선의 기준이 되는 도로가 부대를 관통한다.] 현재 전방 사단 포병부대 중 유일하게 남은 105mm견인곡사포 운용 부대이며 시설은 매우 열악한 편이다.[* 다른 부대를 올 일이 없는 신병교육대대 조교들까지 이 부대 어떠냐고 하면 좆됐네 라고 할 정도로 사단 내에서 시설로는 유명하며 사단에서 버림받은 부대이다.] 사단장 방문 시 '저기 저 창고는 무슨 창고인가?' 라고 질문하자 '대대장이 아 저긴 [[주임원사]]실입니다', '아..그렇구만 그럼 저기 창고는?''저기는 인사과입니다;;;'라고 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심지어 전기가 모자라 [[냉동식품]]도 돌려먹지 못했지만 이후 상황이 나아졌다. 폭우가 오는 경우, 대대 전체가 정전이 날 확률이 높아지며 폭우의 여파로 가끔 데이터가 안 터질 때도 있다. 특이하게도 포병부대임에도 민통선 경계를 맡고 있다. 민통 6초소와 7초소를 맡고 있고 특이하게도 7초소는 간부없이 운용한다.[* 과거 5사단 민통6초소의 존재로 효율성을 이유로 꽤 오랜 기간 민통 7초소는 폐쇄된 적이 있다.] 이 민통 6초소는 매우 특이하게도 타 민통 초소와 달리 방문객이 너무나도 많다. 영농민, 공사차량, 성묘객, 부동산 매매업자들, 근처 출퇴근하는 수색대대 간부들까지 민통 6초소 근무 인원들은 하루하루가 매우 바쁘다.[* 사단장의 방문도 매우 잦다. 사단장의 경우 '왜 이렇게 자주 오는 거야' 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타 사단 간부들의 출입도 종종 있는 편이다.] 민통 6초소 용사들에게 영농민은 답이 없다.[* 민간인 출입시간이 계절마다 시간이 다른데 어느날 하다보면 몇몇 영농민들은 출입시간보다 빨리 온적이 있다. 출입시간 : 05 : 44 이면 영농민은 05 : 30 에 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15년 봄부터는 부대 내 교회를 신축하였다. 그냥저냥 쓸만한 걸 새로 지었는데 바깥 돈으로 지은 건지 이전에는 내부에서 교육훈련이나 정신교육등을 했으나 사용금지가 되었으며, 여름부터는 승압공사와[* 하고서도 문제가 발생하여 2일 정도 재공사가 있었다.] 통합시설[* 체력단련실, 도서관, 사지방, 상담실 등을 통합] 공사가 있었다. (22년 현재 체력단련실과 도서관은 분리되었다.) 이용은 겨울부터 했고 샤워시설도 있다. 가을엔 각 포대 생활관의 보일러 공사를 했다. 다만 거지 같은 파이프 라인에 담당 공병장교가 학을 뗐으며 공사중인 곡사포대는 연병장에 텐트를 치고 생활하거나 포대, 대대전술훈련을 갔고 공사가 밀려 11월에 일정이 잡힌 본부포대는 공사기간동안 1포대 뒤에 신축한 통합시설에서 생활했었다. 각 곡사포대에 컨테이너 생활관이 1개씩, 본부포대에 3개를 설치하여 생활한다.[* 곡사포대는 기존 생활관에도 자리가 남는다. 실거주 50명대와 100명대의 차이...] 지금 현재는 생활관 공사가 끝나 예전 구막사에서 신막사가 되어있다.[* 우리가 알던 신막사는 2층 이상 건물에 침대형으로 알고 있으나 여기 신막사는 그냥 구막사 건물에서 안에 온수 보일러랑 침상을 부수고 깔끔하게 처리 한 다음 2층침대를 갖다 놓은 것이다.] 다만 재건축이 아니라 보일러 교체 및 실내 구조변경, 즉 리모델링을 통해서 탈바꿈 한 것이다. === 제273포병대대 강철 === [youtube(JgyqYqlvjj4)] KH-179견인곡사포를 운용한다. 본부포대와 붙어있는 1개 포대 외에 2개의 독립포대를 운영하고 있다. 포병여단 예하 타 대대에 비해 독립포대들이 전방에 없는 대신 조금 떨어진 주변에 흩어져있다는 게 특징. 2000년대 초엔 A(알파)포대에 큰 목욕탕이 있어서 인근 부대가 빌려쓰기도 했다. 부대 인근에 82여단 본부와 1대대, 2대대, 태풍사격장이 위치해있다. === 제818포병대대 충호 === [youtube(HwEBEuspYd4)] 전군 최초로 K56 탄약운반장갑차가 도입된 부대이다. K55A1 자주포를 사용 중인 부대다. 사단 포병부대 중에 유일하게 신막사로 사단 내에서도 매우 좋은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2010년에는 대대 식당도 새로 만들었다. 앞서 내용과 같이 신교대 훈련병 시절 기록사격을 하러 갈 때 이 부대 수송부를 지나가게 되며 부대 전경을 보면서 매우 부러워하는 웃기지 않는 모습을 보게 된다. 여담이지만 작년인 2022년, 올해 2023년까지 2년 연속으로 KCTC 훈련에 참가해서 힘들다는 인식이 강하다. 원래 818포병대대는 [[제1포병여단]] 예하부대였고, 현재 818포병대대의 위치와 임무는 268포병대대가 맡고 있었다. 그러나 2021년 11월 1일부로 268대대가 해체되고 1포병여단에서 넘어온 818대대가 그 포지션을 이어받게 된 것이다. === 제977포병대대 광명 === [youtube(LhezF7aP9Os)] [youtube(z7ro7Ln7ZFc)] [youtube(gdLS8yKb7qI)] 현재는 [[K-9 자주곡사포]]를 운용한다. 1개 포대가 민통선 내부에[* 격오지 혜택(보급, 휴가 등)은 없다.] 전방독립포대로 주둔하고 있었다. 2011년 초 주둔지에 중대급 신막사를 짓고 주둔지로 이사를 갔다고 한다. 2014년 4월 6일,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이 벌어진 그 부대이기도 하다. K-9 자주곡사포로 전환하면서 연대 예하대대들의 인원들을 차출하여 포상공사를 진행한 바가 있다. == 과거부대 == === ~~제268포병대대~~ === 2016년 12월 혹한기 전술훈련간에 그 악명높은 [[윤의철]] 사단장에게 "훈련은 268처럼"이라는 언급이 되었던 부대. 1개 포대[* 1포대(알파)]가 독립포대로 있으며, 독립포대도 신막사이다. 심지어 포대원 수가 5~80명 정도밖에 안 되는데 북카페를 신설했고 세탁기나 건조기수가 대대와 비슷하게 배치되어있다. 시설은 본부포대가 제일 좋다. 2020년 후반기 본부포대 화장실과 세면장, 샤워실을 완전히 갈아 엎어서 시설이 매우 깔끔하다. [[262포병대대]]의 시설보다 압도적으로 좋다. 제268포병대대는 2021년 11월 1일 임무를 해제하고 [[1포병여단]] 산하 818대대와 통/폐합 되었으며 제818포병대대는 2021년 11월 1일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지휘관계 전환됨. 제818포병대대로 통/폐합 된 후 독립포대가 없어지고 본부포대, 곡사포대(1포대, 2포대, 3포대)가 대대지역으로 막사 통합을 하였다. 전 한미연합사령관 및 현 정치인인 [[김병주]] 예비역 대장이 대대장을 역임한 부대(제268포병대대)였다.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6><:> '''{{{#fff 역대 제28보병사단 포병연대장}}}''' || || '''{{{#fff 역대}}}''' || '''{{{#fff 이름}}}''' || '''{{{#fff 계급}}}''' || '''{{{#fff 임관}}}''' || '''{{{#fff 비고}}}''' || '''{{{#fff 기타}}}''' ||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現 [[연대장]] || || || 00대 || 강천수 || 예)[[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1기 ||前 [[제9보병사단]]장 || || || 00대 || 이동식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연대장]] || || || 00대 || 배귀근 || [[대령]] || [[육군사관학교|학사]] 00기 ||現 [[여단장]] || || || 00대 || 이상만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現 [[여단장]] || || === 장교/부사관 === == 사건 사고 == * 2014년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 == 기타 == 2025년에 28사단이 해체되고 나면, 자주포를 운용하는 두 대대만 존속하고 나머지 둘은 해체될 것으로 보인다.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28보병사단]][[분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