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분류:1983년 선거]] [[분류:쇼와 시대]] [include(틀:일본의 주요선거)] ||<-4><:>{{{#FFFFFF,#DDDDDD {{{+1 '''일본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br]{{{#FFFFFF,#DDDDDD {{{+1 '''第37回衆議院総選挙'''}}}}}}[br]{{{#FFFFFF,#DDDDDD (田中判決解散)}}}|| ||<-4> {{{#!wiki style="margin: -7px -12px" ||<:>{{{-2 [[1980년]] [[6월 22일]]}}}[br][[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6회 중원선[br]{{{-5 (해프닝선거)}}}]]||<:>→||<:>{{{-2 [[1983년]] [[11월 28일]]}}}[br]'''37회 중원선[br]{{{-5 (다나카 판결 선거)}}}'''||<:>→||<:>{{{-2 [[1986년]] [[7월 6일]]}}}[br][[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8회 중원선[br]{{{-5 (제2차 중참동일선거)}}}]]||}}}|| ||<:>{{{#2D3865,#CFA547 '''투표율'''}}}||<-3>67.94%|| ||<-4><:>{{{#FFFFFF,#DDDDDD '''선거 결과'''}}}|| ||<-4><:>{{{#!wiki style="margin: -5px 0px" [[파일:1983중의원.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CA324 45.7%, #173283 19.3%, #173283 80.3%, #F67E27 19.4%, #F67E27 89.1%,#FE0000 89.1%, #FE0000 92.2%, #DB001C 92.2%, #DB001C 94.9%, #FF4500 94.9%, #FF4500 95.7%, #FF0000 95.7%, #FF0000 95.9%, #808080 89.1%)" }}}|| || '''정당''' || {{{#!wiki style="margin: 0 -10px;" '''중선거구'''}}} || '''총합''' || '''비율'''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50석''' || '''250석''' || '''45.7%''' || || [include(틀:일본사회당(1945년))] || '''112석''' || '''112석''' || '''19.4%''' || ||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 '''58석''' || '''58석''' || '''10.1%''' || || [include(틀:민사당)] || '''38석''' || '''38석''' || '''7.2%'''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6석''' || '''26석''' || '''9.3%''' || || [include(틀:신자유클럽)] || '''8석''' || '''8석''' || '''2.3%''' || || [include(틀:사회민주연합)] || '''3석''' || '''3석''' || '''0.6%''' || || [include(틀:무소속)] || '''16석''' || '''16석''' || '''4.8%'''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3년 11월 28일에 치러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선거 전 == 본래는 여론조사에서 자민당이 유리할 것으로 나왔었지만, [[록히드 사건]]의 영향 및 너무 많은 수의 자민당 후보들의 출마로 선거 전망이 자민당에게 점점 불리해지기 시작한다. == 선거 결과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이 250석, [[사회당(일본)|사회당]]이 112석, [[공명당]]이 58석, [[민사당]]이 38석, [[일본 공산당]]이 26석, [[신자유클럽]]이 12석, [[사회민주연합]]이 3석을 차지하면서 자유민주당은 과반확보에 실패했다. 자유민주당이 원내1당의 자리는 유지 하였다. == 개표 결과 == || 선거일 || [[1983년]] [[11월 28일]] || || 선거 내용 || [[지역구]]([[중선거구제]]) 511명 || || 선출 인원 || 511명 || || 투표율 || 67.94% || ||<-480><:>'''{{{#ffffff 의석 구성}}}'''|| ||<-223><(>{{{#ffffff '''여당[* 자유민주당] - 250석 (45.7%)'''}}}||<-45>||<-243><)>{{{#ffffff '''야당[* 일본사회당, 공명당, 일본 공산당, 민사당, 사회민주연합, 신자유클럽] - 261석 (54.2%)'''}}}|| ||<-480><:>{{{#ffffff 정수 : 511석}}}|| ||||||||||||||||||||||||||||||<:> '''선거결과''' || |||||| [[정당]] ||||||<:> [[지역구]]([[중선거구제]]) |||| 획득[br]의석 || 선거이전의석 || 증감 || ||<:> [[여당]]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 '''25,982,785''' || '''45.76%''' ||<:> '''250''' ||||<:> '''250''' ||<:> '''286''' || {{{#blue ▼36}}} || ||<|10><:> [[야당]] ||||<:> [[일본사회당(1945년)|일본사회당]] ||<:> 11,065,082 || 19.49% ||<:> 112 ||||<:> 112 ||<:> 101 ||<:> {{{#red ▲11}}} || ||||<:> [[공명당]] ||<:> 5,745,751 || 10.15% ||<:> 58 ||||<:> 58 ||<:> 33 || '''{{{#red ▲25}}}''' || ||||<:> [[민사당]] ||<:> 4,129,908 || 7.27% ||<:> 38 ||||<:> 38 ||<:> 30 || {{{#red ▲8}}} || ||||<:> [[일본 공산당]] ||<:> 5,302,485 || 9.34% ||<:> 26 ||||<:> 26 ||<:> 29 || {{{#blue ▼3}}} || ||||<:> [[신자유클럽]] ||<:> 1,341,584 || 2.36% ||<:> 8 ||||<:> 8 ||<:> 10 ||<:> {{{#blue ▼2}}} || ||||<:> [[사회민주연합]] ||<:> 381,045 || 0.67% ||<:> 3 ||||<:> 3 ||<:> 3 ||<:> - || ||||<:> 제파 ||<:> 62,324 || 0.11% ||<:> 0 ||||<:> 0 ||<:> 0 ||<:> - || ||||<:> [[무소속]] ||<:> 2,768,736 || 4.88% ||<:>16 ||||<:> 16 ||<:> 6 || {{{#red ▲10}}} || === 중선거구 === ||<-10>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지역 || [[자유민주당(일본)|{{{#white 자유민주당}}}]] || [[일본사회당|{{{#white 일본 사회당}}}]] || [[공명당|{{{#white 공명당}}}]] || [[일본 공산당|{{{#white 일본 공산당}}}]] || [[민사당|{{{#white 민사당}}}]] || [[신자유클럽|{{{#white 신자유클럽}}}]] || [[사회민주연합|{{{#white 사회민주연합}}}]] || {{{#white 무소속}}} || 합계 || || {{{#white 홋카이도}}} || 7 || '''8''' || 1 || 0 || 1 || 0 || 0 || 3[* 당선 후 사회당 입당 (1구 다케무라 야스코)][* 당선 후 자민당 입당 (3구 사토 타카유키, 5구 [[스즈키 무네오]])] || 20 || || {{{#white 아오모리}}} || '''5''' || 1 || 0 || 1 || 0 || 0 || 0 || 0 || 7 || || {{{#white 이와테}}} || '''6''' || 1 || 0 || 0 || 1 || 0 || 0 || 0 || 8 || || {{{#white 미야기}}} || '''6''' || 2 || 1 || 0 || 0 || 0 || 0 || 0 || 9 || || {{{#white 아키타}}} || '''4''' || 3 || 0 || 1 || 0 || 0 || 0 || 0 || 8 || || {{{#white 야마가타}}} || '''5''' || 2 || 0 || 0 || 0 || 0 || 1 || 0 || 8 || || {{{#white 후쿠시마}}} || '''7''' || 3 || 0 || 0 || 1 || 1 || 0 || 0 || 12 || || {{{#white 이바라키}}} || '''6''' || 3 || 1 || 0 || 1 || 0 || 0 || 0 || 11 || || {{{#white 도치기}}} || '''5''' || 3 || 1 || 0 || 1 || 0 || 0 || 0 || 10 || || {{{#white 군마}}} || '''6''' || 3 || 0 || 0 || 0 || 0 || 0 || 1[* 당선 후 자민당 입당 (1구 오미 코지)] || 10 || || {{{#white 사이타마}}} || '''7''' || 2 || 3 || 0 || 1 || 1 || 0 || 0 || 16 || || {{{#white 치바}}} || '''9''' || 3 || 3 || 1 || 0 || 0 || 0 || 0 || 16 || || {{{#white 가나가와}}} || 3 || '''5''' || 4 || 0 || 4 || 3 || 0 || 0 || 19 || || {{{#white 야마나시}}} || '''3''' || 2 || 0 || 0 || 0 || 0 || 0 || 0 || 5 || || {{{#white 도쿄}}} || '''14''' || 6 || 11 || 6 || 3 || 0 || 1 || 0 || 41 || || {{{#white 니가타}}} || '''10''' || 4 || 0 || 0 || 0 || 0 || 0 || 1[* [[다나카 가쿠에이]]] || 15 || || {{{#white 도야마}}} || '''4''' || 2 || 0 || 0 || 0 || 0 || 0 || 0 || 6 || || {{{#white 이시카와}}} || '''5''' || 1 || 0 || 0 || 0 || 0 || 0 || 0 || 6 || || {{{#white 후쿠이}}} || '''2''' || 0 || 0 || 0 || 1 || 0 || 0 || 1 || 4 || || {{{#white 나가노}}} || '''8''' || 3 || 0 || 1 || 1 || 0 || 0 || 0 || 13 || || {{{#white 기후}}} || '''5''' || 2 || 1 || 1 || 0 || 0 || 0 || 0 || 9 || || {{{#white 시즈오카}}} || '''6''' || 3 || 1 || 0 || 2 || 0 || 0 || 2[* 당선 후 자민당 입당 (1구 토츠카 신야, 3구 구마가야 히로시)] || 14 || || {{{#white 아이치}}} || '''9''' || 4 || 2 || 0 || 4 || 0 || 0 || 3[* 공산당 추천 (1구 와타나베 미치코) / 공명당 추천 (2구 하야카와 쇼조)][* 사회당·공명당·사민련 추천 (5구 곤도 유타카)] || 22 || || {{{#white 미에}}} || '''5''' || 2 || 1 || 0 || 1 || 0 || 0 || 0 || 9 || || {{{#white 시가}}} || '''2''' || 1 || 1 || 1 || 0 || 0 || 0 || 0 || 5 || || {{{#white 교토}}} || '''4''' || 1 || 2 || 1 || 1 || 0 || 0 || 0 || 10 || || {{{#white 오사카}}} || 6 || 6 || '''7''' || 4 || 4 || 1 || 0 || 0 || 28 || || 효고 || '''5''' || '''5''' || 4 || 2 || 3 || 0 || 0 || 0 || 19 || || 나라 || 1 || 0 || 1 || 1 || 1 || 0 || 0 || 1[* 당선 후 자민당 입당 (무소속 카기다 슈자부로)] || 5 || || {{{#white 와카야마}}} || '''3''' || 0 || 1 || 1 || 0 || 0 || 0 || 1[* 자민당 추가공인 (2구 히가시 치카라)] || 6 || || {{{#white 돗토리}}} || '''3''' || 1 || 0 || 0 || 0 || 0 || 0 || 0 || 4 || || {{{#white 시마네}}} || '''3''' || 1 || 0 || 1 || 0 || 0 || 0 || 0 || 5 || || {{{#white 오카야마}}} || '''5''' || 2 || 2 || 0 || 0 || 0 || 1 || 0 || 10 || || {{{#white 히로시마}}} || '''7''' || 2 || 2 || 0 || 1 || 0 || 0 || 0 || 12 || || {{{#white 야마구치}}} || '''6''' || 2 || 1 || 0 || 0 || 0 || 0 || 0 || 9 || || {{{#white 도쿠시마}}} || '''3''' || 1 || 1 || 0 || 0 || 0 || 0 || 0 || 5 || || {{{#white 카가와}}} || '''5''' || 1 || 0 || 0 || 0 || 0 || 0 || 0 || 6 || || {{{#white 에히메}}} || '''6''' || 3 || 0 || 0 || 0 || 0 || 0 || 0 || 9 || || {{{#white 고치}}} || '''2''' || 1 || 1 || 1 || 0 || 0 || 0 || 0 || 5 || || {{{#white 후쿠오카}}} || '''8''' || 4 || 3 || 2 || 2 || 0 || 0 || 0 || 19 || || {{{#white 사가}}} || '''4''' || 1 || 0 || 0 || 0 || 0 || 0 || 0 || 5 || || {{{#white 나가사키}}} || '''5''' || 2 || 1 || 0 || 1 || 0 || 0 || 0 || 9 || || {{{#white 구마모토}}} || '''7''' || 2 || 1 || 0 || 0 || 0 || 0 || 0 || 10 || || {{{#white 오이타}}} || '''3''' || 2 || 0 || 0 || 1 || 0 || 0 || 1[* 당선 후 자민당 입당 (1구 [[에토 세이시로]])] || 7 || || {{{#white 미야자키}}} || '''3''' || 2 || 0 || 0 || 1 || 0 || 0 || 0 || 6 || || {{{#white 가고시마}}} || '''7''' || 3 || 0 || 0 || 0 || 0 || 0 || 0 || 10 || || {{{#white 아마미 군도}}} || '''1''' || 0 || 0 || 0 || 0 || 0 || 0 || 0 || 1 || || {{{#white 오키나와}}} || '''2''' || 1 || 1 || 1 || 0 || 0 || 0 || 0 || 5 || || 중선거구 || {{{#3ca324 '''250'''}}} || {{{#173283 112}}} || {{{#F67E27 58}}} || {{{#DB001C 26}}} || {{{#FF5050 36}}} || {{{#FF4300 8}}} || {{{#FF0000 3}}} || {{{#808080 16}}} || '''511''' || == 선거 이후 == 이 선거의 최대의 주목 인물이었던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는 실형 판결과 주위의 견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22만표, 46.6%'''라는 압도적인 지지를 보여주며 당당히 재선에 성공했다. 한편 중의원 과반 확보실패로 타격을 입은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는 다나카의 모든 정치적 영향을 배제한다고 선언하였고, 이후 신자유클럽과 연정하여 정권을 이어나가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