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21년]] 개최하는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이번 대회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중국 선수끼리 대국은 푸저우 대국장에서, 그외 선수들은 소속 기원에서 온라인 대국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 국내 예선 == || 5월 24일 ||<|2> 조승아 || 박지연 || 김다영 || 강다정 || 김혜민 ||<|2> 오정아 || || 5월 25일 ||<-2> 김다영 ||<-2> 김혜민 || || 5월 26일 ||<-3> 조승아 ||<-3> 오정아 || || 진출자 ||<-6> '''조승아'''[br]결승 결과 : 215수 흑 불계승 || == 본선 == * 진출자 * 한국 (4) : [[최정(바둑기사)|최정]] /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이상 랭킹시드) / [[김채영]](국대시드) / [[조승아]](선발전 통과) * 중국 (9) : [[저우홍위]] (전기 우승) / [[위즈잉]] (전기 준우승) / 탕자원 / [[루이나이웨이]] / 리허 / [[왕천싱]] / 루민취안 / 팡뤄시 / 리신이 * 일본 (5) : [[후지사와 리나]] / [[우에노 아사미]] / 스즈키 아유미 / [[셰이민]] / [[나카무라 스미레]] (와일드카드) * 대만 (2) : 루위화 / [[헤이자자]] (와일드카드) * 미국 (2) : 펑윈 / 인밍밍 * 러시아 (1) : 나탈리아 코발레바 * 독일 (1) : 마뉴엘라 마르츠 === 24강 === 날짜 : 7월 18일 장소 : 중국 푸저우, 온라인 ||<:> '''{{{#000 방송대국 여부}}}''' ||<:><-2> '''{{{#000 대진}}}'''(방송대국 해당시 흑번-백번 순) ||<:> '''{{{#000 결과}}}''' || || 미해당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팡뤄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인밍밍 || 흑 불계승 || || 미해당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나탈리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오유진''' || 백 불계승 || || 해당(공통)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0]] 헤이자자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조승아''' || 백 불계승 || || 미해당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리신이'''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마뉴엘라 || 백 불계승 || || 미해당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셰이민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루민취안''' || 흑 반집승 || || 미해당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U.아사미'''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0]] 루위화 || 백 1집반승 || || 미해당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S.아유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펑윈 || 백 불계승 || || 해당(공통)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채영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N.스미레''' || 백 1집반승 || === 16강 === 날짜 : 7월 19일 장소 : 중국 푸저우(루이나이웨이-팡뤄시 대국 한정), 온라인 * 이 라운드부터 참가하는 국가별 바둑기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최정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 저우홍위, 위즈잉, 루이나이웨이, 왕천싱, 리허, 탕자원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후지사와 리나 ||<:> '''{{{#000 방송대국 여부}}}''' ||<:><-2> '''{{{#000 대진}}}'''(방송대국 해당시 흑번-백번 순) ||<:> '''{{{#000 결과}}}''' || || 해당(공통)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루민취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정''' || 백 불계승 || || 해당(K바둑)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리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오유진''' || 백 2집반승 || || 해당(바둑TV)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조승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탕자원 || 흑 1집반승 || || 미해당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N.스미레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저우홍위''' || 백 불계승 || || 미해당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위즈잉'''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U.아사미 || 백 불계승 || || 미해당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왕천싱'''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S.아유미 || 백 불계승 || || 미해당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리신이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F.리나''' || 백 3집반승 || || 미해당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루이나이웨이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팡뤄시''' || 흑 불계승 || 공통 중계가 아닌 대국의 경우 K바둑측 중계대국인 리허-오유진 대국은 바둑TV에서 하이라이트로, 바둑TV측 중계대국인 조승아-탕자원 대국은 K바둑에서 하이라이트[* 다이제스트 라고 표기하였으나, 실제로는 하이라이트 편성이다.]로 대신하였다. === 8강 === 날짜 : 7월 20일 장소 : 중국 푸저우, 온라인 * 이 라운드에 안착한 국가별 바둑기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최정, 오유진, 조승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 저우홍위, 위즈잉, 왕천싱, 팡뤄시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후지사와 리나 ||<:> '''{{{#000 방송대국 여부}}}''' ||<:><-2> '''{{{#000 대진}}}'''(방송대국 해당시 흑번-백번 순) ||<:> '''{{{#000 결과}}}''' || || 미해당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조승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팡뤄시''' || 백 불계승 || || 미해당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위즈잉'''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F.리나 || 백 불계승 || || 해당(공통)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오유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왕천싱''' || 백 불계승 || || 해당(공통)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정'''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저우홍위 || 흑 불계승 || === 준결승 === 날짜 : 11월 30일 장소 : 중국 푸저우 * 이 라운드에 안착한 국가별 바둑기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최정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 위즈잉, 왕천싱, 팡뤄시 ||<:> '''{{{#000 방송대국 여부}}}''' ||<:><-2> '''{{{#000 대진}}}'''(방송대국 해당시 흑번-백번 순) ||<:> '''{{{#000 결과}}}''' || || 해당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정'''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팡뤄시 || 흑 불계승 || || 미해당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위즈잉'''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왕천싱 || 흑 불계승 || === 결승 === * 날짜 : 12월 2일~ * 장소 : 중국 푸저우 * 중계 : [[바둑TV]](이유민, [[송태곤]] 九단), [[K바둑]]([[김미리]] 四단, [[안형준(바둑)|안형준]] 五단[* K바둑 중계진은 공교롭게도 [[한국바둑리그/2021-22시즌|21-22 바둑리그]]에서 [[최정(바둑기사)|최정]]과 같은 팀에 소속되어있다.([[타이젬 바둑|컴투스 타이젬]] - 안형준 감독, 최정 3지명, 김미리 퓨처스 3지명)]) ||<-5> '''제4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결승 3번기'''[br]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정(바둑기사)|최 정]] 九단''' 2 : 1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위즈잉]] 七단 || ||<:> '''{{{#000 대국}}}''' ||<:> '''{{{#000 일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000 결과}}}''' || || 1국 || 2021년 12월 2일 || '''위즈잉''' || 최정 || 231수 흑 불계승 || || 2국 || 2021년 12월 3일 || '''최정''' || 위즈잉 || 175수 흑 불계승 || || 3국 || 2021년 12월 4일 || 위즈잉 || '''최정''' || 244수 백 불계승 || || '''우승'''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 (두 번째 오청원배 우승, 6번째 여자 세계대회 우승) || 결승 3번기는 대한민국의 최정과 중국의 위즈잉의 라이벌 대결로 펼쳐지게 됐다. 최정 九단은 2년 만의 오청원배 우승에 도전하며 위즈잉 七단[* 준결승전 승리로 七단으로 승단.]은 첫 우승에 도전한다. 참고로 이번이 두 선수간의 첫 번기 승부다. 또한 최정 입장에서는 [[2021 센코배 월드 바둑 여류 최강전]]에서의 설욕전의 의미가 있는 대결이기도 하다. 결과는 최정 九단이 위즈잉 七단을 상대로 1패 후 내리 2연승을 거두며 '''통산 6번째 여자 세계대회 우승이자 오청원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유리했던 바둑에서 역전패를 당해 첫 판을 내준 최정은 2국은 좌상귀 패와 바꿔치기에서 우세를 잡으며 승리를 했고 최종 3국에서 후반에서 집중력을 보여주며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봄에 열렸던 센코배에서 위즈잉에게 결승에서 패해 준우승에 머무른 것도 설욕했다. == 최종 결과 == || 우승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정(바둑기사)|최 정]] 九단''' || || 준우승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위즈잉]] 七단 || == 이야깃거리 == * 2021 푸젠 세계 AI대회 결승 7번기가 결승1번국이 진행되는 날에 진행된다. 이번 AI 대회는 중국의 절예가 불참했는데 그 대신 결승 대진은 [[골락시]]와 천구위기(AI)의 대진으로 확정되었다. * 결승 3국에서 초읽기 상황에서 최정이 승기를 잡아가던 시점에서 최정이 화장실에 가려고 일시 정지를 눌렀는데 바둑TV에서 이것을 위즈잉이 돌을 거둔 것으로 착각해 방송을 마무리 할뻔한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분류: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