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50]] || ||<-5> || || ''' [[제46회 칸 영화제|제46회]][br]([[1993년]]) ''' || {{{+1 → }}} || ''' 제47회[br]([[1994년]]) ''' || {{{+1 → }}} || ''' [[제48회 칸 영화제|제48회]][br]([[1995년]]) ''' || ||<-5> || [include(틀:칸 영화제)] ||<-2>
[[파일:47cannes.jpg|width=100%]] || ||<-2> '''{{{#dfca4e ▲ 공식 포스터[*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그림을 가져왔다.]}}}''' || || '''{{{#dfca4e 개최기간}}}''' ||[[1994년]] [[5월 12일]] ~ [[5월 23일]]|| || '''{{{#dfca4e 개최장소}}}'''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칸(프랑스)|칸]] || || '''{{{#dfca4e 호스트}}}''' ||[[잔느 모로]]|| || '''{{{#dfca4e 심사위원장}}}''' ||[[클린트 이스트우드]] || || '''{{{#dfca4e 개막작}}}''' ||<[[허드서커 대리인]]> || || '''{{{#dfca4e 폐막작}}}''' ||<시리얼 맘>|| || '''{{{#dfca4e 황금종려상}}}''' ||<[[펄프 픽션(영화)|펄프 픽션]]> || || '''{{{#dfca4e 홈페이지}}}''' ||[[https://www.festival-cannes.com/en/|공식홈페이지]] / [[https://www.quinzaine-realisateurs.com/en/|감독주간]] / [[https://www.semainedelacritique.com/en|비평가주간]]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4년]] '''제47회 칸 영화제'''는 1994년 5월 12일부터 5월 23일까지 개최되었다. 미국의 배우 겸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경쟁 부문, [[스위스]]의 배우 마르트 켈러가 황금카메라 부문의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개막작은 [[코엔 형제|조엘 코엔, 에단 코엔]] 감독의 《[[허드서커 대리인]]》, 폐막작은 [[존 워터스]] 감독의 《시리얼 맘》이 선정 되었다. == 심사위원 == === 경쟁부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lintEastwoodCannesProfil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94cannesJuries.jpg|width=100%]]}}} || || '''{{{#yellow 1994년 제47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br]클린트 이스트우드}}}''' || '''{{{#yellow 1994년 제47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 전원}}}''' || * '''[[클린트 이스트우드]]''' - '''심사위원장''', [[미국]]의 배우, 감독 * [[카트린 드뇌브]] - '''심사부위원장''', [[프랑스]]의 배우 * 푸피 아바티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 길예르모 카브레라 인펀트 - [[쿠바]]의 작가 * [[가즈오 이시구로]] - [[영국]]의 작가 * 알렉산드르 카이다노프스키 - [[소련]]의 배우 * 마리 프랑수아즈 르클레르 - [[프랑스]]의 작가 * [[신상옥]]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랄로 쉬프린 - [[아르헨티나]]의 작곡가 * 알랭 테르지앙 - [[프랑스]]의 제작자 === 황금카메라 === * '''마르트 켈러''' - '''심사위원장''', [[스위스]]의 배우 * 한스 비어캠프 - [[네덜란드]]의 저널리스트 * 호세 브로사드 - [[프랑스]]의 비평가 * 마리오 도르민스키 - [[포르투갈]]의 건축가 * 임안자 - [[미국]]의 영화 평론가 * 프랑수아 오데 -[[프랑스]]의 영화 감독 * 조르주 판수 - [[프랑스]]의 영화 제작자 * 자크 짐머 - [[프랑스]]의 영화 감독 == 공식부문 상영작 == ||
[[파일:cannesselectionofficielle.jpg|width=100%]] || === 경쟁부문 === ||
[[파일:cannescompetition.jpg|width=100%]]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리아바 나의 암탉 || ''Курочка Ряба'' || 안드레이 콘찰롭스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산악순찰대원 바르나보 || ''Barnabo delle montagne'' || 마리오 브렌타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브라우닝 버전 || ''The Browning Version'' || [[마이크 피기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위선의 태양 || ''Утомлённые солнцем'' || [[니키타 미할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독립시대 || ''獨立時代'' || [[에드워드 양]]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대만]] || || 죽도록 피곤한 || ''Grosse Fatigue'' || 미셀 블랑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나의 즐거운 일기]] || ''Caro diario'' || [[난니 모레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엑조티카 || ''Exotica'' || [[아톰 에고이안]]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 [[허드서커 대리인]][*개막작] || ''The Hudsucker Proxy'' || [[코엔 형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인생(영화)|인생]] || ''人生'' || [[장이머우]]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 미세스 파커 || ''Mrs. Parker and the Vicious Circle'' || 앨런 루돌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스와함 || ''Swaham'' || 사지 카룬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 || 패트리어트 || ''Les patriotes'' || 에릭 로샹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펄프 픽션(영화)|펄프 픽션]] || ''Pulp Fiction '' || [[쿠엔틴 타란티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단순한 형식 || ''Una pura formalità'' || [[주세페 토르나토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여왕 마고]] || ''La Reine Margot'' || 파트리스 셰로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밤의 여왕 || ''La reina de la noche'' || 아르투로 립스테인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라이스 피플 || ''Neak sre'' || 리티 판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25]] [[캄보디아]] || || [[세 가지 색: 레드]] || ''Trois couleurs: Rouge''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 || [[올리브 나무 사이로]] || ''Zire darakhatan zeyton''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이란]] || || 어느 잊을 수 없는 여름 || ''Un été inoubliable'' || 루시앙 핀틸리에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루마니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바이올린 플레이어 || ''Le joueur de violon'' || 찰스 반 담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 부테인 || ''Le buttane'' || 아우렐리오 그리말디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주목할 만한 시선 === ||
[[파일:cannesuncertainregard.jpg|width=100%]]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프리실라]] || ''The Adventures of Priscilla, Queen of the Desert'' || 스테판 엘리엇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밥 엘우데드 시티 || ''Bab El-Oued City'' || 메르작 알루아슈 ||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5]] [[알제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보스나! || ''Bosna!'' || 베르나르-앙리 레비, 알랭 페라리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무너진 여정 || ''Uttoran'' || 산딥 레이[* [[사티야지트 레이]] 감독의 아들.]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 || 나비의 꿈 || ''Il sogno della farfalla'' || [[마르코 벨로키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클린, 셰이븐[*Cdo] || ''Clean, Shaven'' || 로지 케리건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차가운 물 || ''L'eau froide'' || [[올리비에 아사야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용암의 집 || ''Casa de Lava'' || [[페드로 코스타]]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 || 꿈연극 || ''Drømspel'' || 우니 스트라우메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 || 파우스트 || ''Faust'' || 얀 슈반크마예르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 || || 잠이 오질 않아 || ''J'ai pas sommeil'' || [[클레르 드니]]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이대로가 좋다[*Cdo] || ''I Like It Like That'' || 다넬 마틴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조니 워터맨 || ''Jańcio Wodnik'' || 얀 야쿱 콜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 || 픽처 브라이드 || ''Picture Bride'' || 카요 하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난파선 || ''Los náufragos'' || 미구엘 리틴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칠레]] || || 슬립 위드 미 || ''Sleep with Me'' || 로리 켈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행화삼월천 || ''杏花三月天'' || 윤력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 봉합사 || ''Suture'' || 데이빗 시겔, 스코트 맥기히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야생 갈대 || ''Les Roseaux sauvages'' || 앙드레 테시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죄와 벌 || ''Sin compasión'' || 프란시스코 호세 롬바르디 || [[파일:페루 국기.svg|width=25]] [[페루]] || || 시메 || ''Xime'' || 사나 나 은하다 ||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width=25]] [[기니비사우]] || * [*Cdo] 표시는 황금카메라상(데뷔영화 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비경쟁부문 === ||
[[파일:canneshorscompetition.jpg|width=100%]]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규칙 없는 게임 || ''A Game with No Rules'' || 스콧 레이놀즈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 더 디그 || ''The Dig'' || 닐 파딩턴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 The Dutch Master || ''The Dutch Master'' || 수잔 세이들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Eau de la vie || ''Eau de la vie'' || 사이먼 바레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I'm So Lonesome I Could Cry || ''I'm So Lonesome I Could Cry'' || 마이클 허스트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모델 || ''The Model'' || 조나단 브로우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몽땅 || ''Montand'' || 장 라빕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시리얼 맘[*폐막작] || ''Serial Mom'' || [[존 워터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스트로크 || ''Stroke'' || 크리스틴 제프스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 [[증발(영화)|증발]] || ''증발'' || [[신상옥]]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웨트 [* 같이 초청된 The Dutch Master와 함께 Tales of Erotica라는 제목의 [[옴니버스 영화]]로 공개되었다.] || ''Wet'' || 밥 라펠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단편 영화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Book of Dreams: Welcome to Crateland || ''Book of Dreams: Welcome to Crateland'' || [[알렉스 프로야스]]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El héroe || ''El héroe'' || 카를로스 카레라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Lemming Aid || ''Lemming Aid'' || 그랜트 라후드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Parlez Après Le Signal Sonore || ''Parlez Après Le Signal Sonore'' || 올리비에 자한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Passage || ''Passage'' || 레이먼드 크루메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슈어 투 라이즈 || ''Sure To Rise'' || 니키 카로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뉴질랜드]] || || 시럽 || ''Syrup'' || 폴 언윈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Una Strada Diritta Lunga || ''Una Strada Diritta Lunga'' || 웨르테르 제르몬다리, 마리아 라우라 스파그놀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독립부문 상영작 == === 감독주간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우연의 연대기에 관한 71개의 단편 || ''71 Fragmente einer Chronologie des Zufalls'' || [[미카엘 하네케]]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오스트리아]] || || 박스 || ''A Caixa'' ||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 || 아마추어 || ''Amateur'' || 할 하틀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Ap’to Hioni || ''Ap’to Hioni'' || 소티리오스 고릿사스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5]] [[그리스]] || || 바이 바이 아메리카 || ''Auf Wiedersehen Amerika'' || 얀 슈테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밴디트 퀸 || ''Bandit Queen'' || 세자르 카푸르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 || 등과 등, 얼굴과 얼굴로 || ''背靠背,脸对脸'' || 황젠신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 [[음식남녀]] || ''飲食男女'' || [[이안(영화 감독)|이안]]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대만]] || || 해피니스 이즈 노 조크 || ''Faut pas rire du bonheur'' || 기욤 니클루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프레쉬[*Cdo] || ''Fresh'' || 보아즈 야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마이 러브 카티샤 || ''Katya Ismailova'' || 발레리 토도로브스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연인들 || ''Les Amoureux'' || 카트린 코르시니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인간, 신, 괴물 || ''Man, God, The Monster'' || 작가 집단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뮤리엘의 웨딩 || ''Muriel's Wedding'' || P.J. 호건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죽음과의 작은 협상[*Cdo] || ''Petits arrangements avec les morts'' || 파스칼 페랑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타타아나, 당신의 스카프를 조심하세요 || ''Pidä Huivista Kiinni, Tatjana'' || [[아키 카우리스마키]]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핀란드]] || || 노 스킨 || ''Senza pelle'' || [[알레산드로 달라트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궁전의 침묵[*Cdo] || ''The Silences of the Palace'' || 무피다 틀라틀리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5]] [[튀니지]] || || 트레스 팔메이라스 || ''Três Palmeiras'' || 주앙 보텔로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 || 너무 많은 행복 || ''Trop de bonheur'' || 세드릭 칸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까마귀들 || ''Wrony'' || 도로타 케드지에르자프스카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 ||<-4> {{{#e5d85c 단편}}} || || 75 centilitres de prières || ''75 centilitres de prières'' || 자크 말리오트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데우스 엑스 마키나 || ''Deus ex machina'' || 빈센트 메랑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Dimanche ou les fantômes || ''Dimanche ou les fantômes'' || 로랑 아샤르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Eternelles || ''Eternelles'' || 에릭 종카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Troubles ou la journée d’une femme ordinaire || ''Troubles ou la journée d’une femme ordinaire'' || 로랑 바우닉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Cdo] 표시는 황금카메라상(데뷔영화 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비평가주간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4> {{{#e5d85c 장편 경쟁}}} || || 점원들[*Cdo] || ''Clerks'' || [[케빈 스미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그들이 어떻게 추락하는지 보라[*Cdo] || ''Regarde les hommes tomber'' || [[자크 오디아르]]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지낫 || ''Zinat'' || 에브라힘 목타리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이란]] || || 나이트워치 || ''Nattevagten'' || 올레 보르네달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 || 통행금지 || ''Hatta Ishaar Akhar'' || 라시드 마샤라이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25]] [[팔레스타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 || 비행선 || ''El Dirigible'' || 파블로 도타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우루과이]] || || 잇 윌 네버 비 스프링 || ''Wildgroei'' || 프럭 포케마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 ||<-4> {{{#e5d85c 단편 경쟁}}} || || Performance Anxiety || ''Performance Anxiety'' || 데이비드 유잉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One Night Stand || ''One Night Stand'' || 빌 브리튼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Poubelles || ''Poubelles'' || 올리아스 바르코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Ponchada || ''Ponchada'' || 알레한드라 모야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Los Salteadores || ''Los Salteadores'' || 아비 페이조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 || Home Away From Home || ''Home Away From Home'' || 모린 블랙우드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Off Key || ''Off Key'' || 캐러시 리나애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 [*Cdo] 표시는 황금카메라상(데뷔영화 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수상 == === 공식부문 === '''<경쟁부문>''' * '''[[칸 영화제/황금종려상|황금종려상]] : [[펄프 픽션(영화)|펄프 픽션]] ([[쿠엔틴 타란티노]])''' * '''[[칸 영화제/그랑프리|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 [[인생(영화)|인생]] ([[장이머우]]), 위선의 태양([[니키타 미할코프]])''' * '''[[칸 영화제/심사위원상|심사위원상]] : [[여왕 마고]] (파트리스 셰로)''' * '''[[칸 영화제/감독상|감독상]] : [[난니 모레티]] (나의 즐거운 일기) ''' * '''[[칸 영화제/각본상|각본상]] : 미셸 블랑 (죽도록 피곤한)''' * '''[[칸 영화제/여우주연상|여우주연상]] : 비르나 리지 ([[여왕 마고]])''' * '''[[칸 영화제/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 : [[갈우]] ([[인생(영화)|인생]]) ''' '''<황금카메라>''' * '''황금카메라상 : 죽음과의 작은 협상 (파스칼 페랑)''' * '''특별언급상 : 궁전의 침묵 (무피다 틀라틀리)''' '''<단편 영화>''' * '''단편부문 황금종려상 : El héroe (카를로스 카레라)''' * '''단편부문 심사위원 1등상 : Lemming Aid (그랜트 라후드)''' * '''단편부문 심사위원 2등상 : 시럽 (폴 언윈)''' === 독립부문 ===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 엑조티카 ([[아톰 에고이안]]) - 경쟁 부문 * 밥 엘우데드 시티 (메르작 알루아슈) -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우수 기술 상>''' * 기술 그랑프리: 피토프 (죽도록 피곤한) - 특수 효과 부문 '''<에큐메니칼 상>''' * 에큐메니칼 상: [[인생(영화)|인생]] (장이머우), 위선의 태양([[니키타 미할코프]]) '''<젊은 평론가 상>''' * 외국어 영화: 점원들 ([[케빈 스미스]]) * 프랑스 영화: 너무 많은 행복 (세드릭 칸) '''<국제비평가주간>''' * [[메르세데스-벤츠]]상: 점원들 ([[케빈 스미스]]) * [[카날+]] 상: Performance Anxiety (데이비드 유잉) * 코닥 단편 영화 상: Eternelles (에릭 종카) == 평가 및 논란 == 역대 칸 영화제 중에서도 황금종려상을 비롯해서, 전체적인 수상에 유난히 논란이 많았던 해 중 하나로 꼽힌다. 영화제 당시 [[카예 뒤 시네마]], 포지티브, 프리미어 등 각종 매체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아서 유력한 황금종려상 후보였던 작품들은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의 [[세 가지 색: 레드]]와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지그재그 3부작 [[올리브 나무 사이로]]였는데, 두 작품 모두 무관으로 그치면서 '미국, 프랑스 자본 영화 밀어주기'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말이 많았던 것이다. 90년대 초 칸 영화제에 대한 주요 비판점들은 미국 자본 영화에 대한 칸의 우호적 제스쳐[* 89년, 90년, 91년 황금종려상 수상작인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 [[광란의 사랑]], [[바톤 핑크]]가 전부 미국 영화였던 탓에 이러한 논란이 가속화 되었다.], 프랑스 자국 영화 밀어주기 라는 점이었는데, [[펄프 픽션(영화)|펄프 픽션]]과 [[여왕 마고]]가 영화제 기간 동안 앞서 말한 두 작품보다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는데도 수상작이 되어 논란이 되었던 것이다.[* 여기에 소수 의견이긴 하지만 [[에드워드 양]] 감독의 '독립시대'와 [[아톰 에고이안]] 감독의 '엑조티카' 또한 호평임에도 무관이 된 것도 겹쳐, '미국, 프랑스 자본 외의 영화는 외면당한다'는 의견이 힘을 실은 것도 있었다.] 덕분에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황금종려상 시상도중 객석의 한 관객이 [[세 가지 색: 레드]]가 황금종려상이여야 한다고 소리를 치며 항의하는 소동이 일어나기도 했는데, 타란티노 감독은 해당 관객을 향해 웃으면서 [[뻐큐]]를 날려 응수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nS5pXQQmR4|당시 영상, 2분 10초부터]] 시상식 이후 [[난니 모레티]] 감독은 인터뷰 때 펄프 픽션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것에 대한 불만을 여지없이 드러냈고, [[미카엘 하네케]] 감독은 펄프픽션 속의 폭력이 무책임한 폭력이라 비판했다. [[장이머우]] 감독의 팬들 사이에서 최고작이라는 평가를 받는 [[인생(영화)|인생]]도 심사위원 대상과 남자배우상에 그치는 이러한 수상 결과에, 당시 심사위원장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입김이 지나쳤다는 비판의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단, 후일 [[미국영화연구소]]에서 진행한 이스트우드와의 인터뷰를 보면 주로 유럽 쪽 심사위원들이 열광적으로 보자마자 '저 작품야말로 최고상 감이다' 라면서 [[펄프 픽션(영화)|펄프 픽션]]을 지지하고, 이스트우드는 무척 흥미롭게 보긴 했지만 처음에는 황금종려상까지는 생각하지 않았던 듯 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1nZmRsyAX44|#]]] 당시 한국 영화지 <로드쇼>는 1994년 7월 특집기사로 실었고, 는 3년 뒤인 1997년 6월 기사로 다시 한번 신랄하게 비판했다. 프랑스 [[카예 뒤 시네마]]는 잡지의 절반을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특집기사로 할애했다. >1994년 칸 영화제의 최대 이슈 중 하나는 키아로스타미의 <[[올리브 나무 사이로]]>가 수상권에 들지 못했다는 점이었다. 그 해 황금종려상을 받은 쿠엔틴 타란티노의 <[[펄프 픽션(영화)|펄프 픽션]]>과 함께 가장 유명한 영화가 된 <올리브 나무 사이로>는 키아로스타미를 일약 거장의 대열로 끌어 올렸고, 그의 <지그재그 3부작>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그리고 삶은 계속 된다>, <올리브 나무 사이로>를 재평가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지진이 잦은 이란의 북부 코케 지방을 중심으로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경계를 지워버리는 이 연작은 유럽의 작가 영화의 전통과는 또 다른 새로운 경지의 ‘마음의 영화’라는 평가를 이끌어냈다. 그를 지원하는 거장 감독들도 줄을 이었다. [[사티야지트 레이]]의 사망을 접한 [[구로사와 아키라]]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매우 슬펐다. 그러나 키아로스타미의 영화를 본 뒤 신이 그를 대신하기 위해, 이 사람을 보냈다고 생각했다.” [[장 뤽 고다르]]도 키아로스타미를 응원했고, 올해 [[제50회 칸 영화제|1997년 칸 영화제]]의 심사위원이기도 한 [[난니 모레티]]는 그의 영화 <[[클로즈 업(영화)|클로즈 업]]>을 소재로 오마쥬 단편영화를 만들었으며, 뒤늦게 [[쿠엔틴 타란티노]]도 그의 팬임을 고백했다. > ---- > ㅡKINO 1997년 6월호 [[분류:칸 영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