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무장친위대의 사단)] ||<-7> '''{{{+1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br]4. SS-Polizei-Panzergrenadier-Division''' || ||<-7> [[파일: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엠블럼.svg|width=300]] || || '''창설일''' ||<-6><(> [[1939년]] [[3월 18일]] || || '''해체일''' ||<-6><(> [[1945년]] || || '''소속''' ||<-6><(> [[무장친위대]] || || '''규모''' ||<-6><(> 사단 || || '''참전''' ||<-6><(> [[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무장친위대의 경찰사단이다. == 역사 == 친위대 장관 [[하인리히 힘러]]가 경찰 지휘권까지 쥐고 있었기 때문에 사실상 친위대 예하에 있다시피했던 경찰조직에서 선발한 대원으로 편성한 부대로서[* 당시 나치 독일 치하의 경찰들은 군대에 필적할 만큼 중무장을 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경찰 출신들로 구성된 부대답게 개전 초 부대원의 7할이 운전면허증 소지자였다.[* 당시에 자동차란 대단히 귀한 물건이라 아무나 접하기 힘든 것이라 운전능력은 특수능력쯤 되었다. 자동차의 나라라는 미국에서조차도 도시출신보다는 농촌 출신이 운전 가능자가 많았는데, 농업용 트렉터를 몰던 경험 때문이었다.] 초창기에는 부착물도 경찰과 동일한 것을 달았으나, 창설 이후부터는 경찰이 아닌 일반인에서 신병을 뽑는 등 점차 경찰과의 연관성이 사라져 1943년부터는 일반 SS 부대와 동일한 부착물을 달았다. 즉, 부대 이름에만 경찰이 들어가는 일반 기계화보병사단. 북부집단군에 소속되어 [[레닌그라드 포위전]]에 종군하였으며 소련 동계작전때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1944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주둔하여 [[파르티잔]] 진압에 종군하였다. 1945년 미 육군에 항복했다. == 역대 사단장 == * [[콘라트 히츨러]] SS중장 (1940.9.1~9.8) * [[카를 페퍼-빌덴브루흐]] SS대장(1940.9.8~11.10) * [[아르투어 뮐퍼슈테트]] SS중장 (1940.11.10~1941.8.8) * [[발터 크뤼거]] SS대장 (1941.8.8~1941.12.15) * [[알프레트 뷔넨베르크]] 경찰청장 (1941.12.15~1943.4.17) * [[프리츠 프라이탁]] SS소장 (1943.4.17~6.1) * [[프리츠 슈메데스]] SS소장(1943.6.1~8.18) * 프리츠 프라이탁 SS소장 (1943.8.18~10.20) * [[프리드리히-빌헬름 보크]] SS상급대령 (1943.10.20~1944.4.19) * [[위르겐 바그너]] SS소장 (1944.4.19~5.?) * 프리드리히-빌헬름 보크 SS상급대령 (1944.5.?~5.7) * [[헤르베르트 에른스트 팔]] SS소장 (1944.5.7~7.22) * [[카를 쉬머스]] SS대령 (1944.7.22~8.16) * [[헬무트 되르너]] SS상급대령 (1944.8.15~8.22) * 프리츠 슈메데스 SS소장 (1944.8.22~1944.11.27) * [[발터 하르처]] SS대령 (1944.11.17~1945.3.1) * [[프리츠 괼러]] SS대령 (1945.3.1~3.?) * 발터 하르처 SS대령 (1945.3.?~1945.5) == 역대 참모장 == * 발터 크뤼거 (1940.9.1~9.10) * 니콜라우스 하일만 SS상급대령 (1940.9.10~1941.6) * 라이만 소령 (1941.6.21~1942) * 에리히 브라운 SS중령 (1943.2.24~4.?) * 발터 블루메 SS소령 (1943.4~1943.7) * 뤼디거 피프코른 SS대령 (1943.7~1943.10) * 헬무트 코드츠 SS대위 (1943.10~1944.7.1) * 빌헬름 라트케 SS중령 (1944.7.1~1945) * 오토 클라이네 SS소령 (1945)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무장친위대/부대일람, version=347)] [[분류:무장친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