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천사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ZetaReticulant-JP-Manga-R-N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젠타 레티큘렌트'''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ゼータ・レティキュラント'''|| || 영어판 명칭 ||<-4>'''Zeta Reticulant'''||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불명 || 불명 || 2400 || 2100 || ||<-5>묘지로 갈 때에 이바 토큰을 2마리 필드에 남긴다.|| [[유희왕 R]]에서 [[카드 프로페서#데프레 스콧|데프레 스콧]]이 [[무토우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원작에서는 묘지로 보내지면 이바 토큰 2장이 나오는 [[댄디라이언]]같은 효과였다. '인베이더'의 왕이라는 별명이 있었으며, 작중에서는 이바 업덕터라는 몬스터와 유우기에게서 컨트롤을 뺏어온 몬스터를 제물로 바쳐 소환되었다. 유우기의 [[사일런트 매지션]] Lv.0에게 공격을 시도했다가 [[시간의 비약 -턴 점프-]]가 발동되어 레벨 3으로 진화하는 바람에 역전당할 뻔했다가 데프레가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를 발동하여 필드에서 벗어났다. 데프레는 이 때 생겨난 이바 토큰을 제물로 바쳐 자신의 에이스 몬스터인 [[그리드 퀘이서]]를 소환했다. 공격명은 '플라스마 블래스트(プラズマ・ブラスター / Plasma Blast)'. 이름은 [[지구]]에서 39[[광년]]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쌍성]]의 이름인 [[http://en.wikipedia.org/wiki/Zeta_Reticuli|Zeta Reticuli]]에서 따왔다. 토큰의 이름인 '이바'(EBE)에 대해서는 [[http://en.wikipedia.org/wiki/E.B.E.|여기]]를 참조. 또한 외계인 [[그레이(외계인)|그레이]]의 모성이 [[그물자리]](Reticulum)의 제타 쌍성계에 있다는 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card10002106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젠타 레티큘렌트, 일어판 명칭=ゼータ・レティキュラント, 영어판 명칭=Zeta Reticulant, 레벨=7, 속성=어둠, 종족=천사족, 공격력=2400, 수비력=2100,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제외될 때마다 발동한다. 자신 필드에 "이바 토큰"(악마족 / 어둠 / 레벨 2 / 공 500 / 수 50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이바 토큰" 1장을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죽음의 침묵천사 도마]] 이후 2번째로 등장한 어둠 속성 천사족. ①의 효과는 묘지에 존재할 때 이바 토큰을 특수 소환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그 특성상 묘지에 있어야 진가를 발휘하는 카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리석은 매장]], [[종말의 기사]], [[다크 그레퍼]], [[타락천사(유희왕)#타락천사 아스모디우스|타락천사 아스모디우스]], [[디클레어러 디바이너]] 등의 효과로 신속히 묘지로 보내는 것이 이롭다. 또한 여러 장이 묘지에 존재하면 1장 제외될 때마다 그만큼 생성되는 토큰도 1장씩 늘어나는 셈이니 가급적 2장 이상 떨궈놓도록 하자. 딜레이는 걸리겠지만 [[미래융합-퓨처 퓨전]]으로 [[타락천사(유희왕)#여명의 타락천사 루시펠|여명의 타락천사 루시펠]]을 지정하면 3장 다 묘지로 보내버릴 수 있다. 토큰을 생성하려면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제외할 필요가 있지만, 이 카드 자신은 묘지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매크로 코스모스]] 같은 무차별 제외 카드와는 상성이 별로 좋지 못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카드를 같이 활용해보면 좋다. * [[마술사(유희왕)#각검의 마술사|각검의 마술사]], [[PSY프레임#PSY프레임로드 Ζ|PSY프레임로드 Ζ]]: 자신과 상대 몬스터를 1장씩 제외시켜주고 다음 턴에 귀환이 가능. 토큰을 매 턴마다 확실히 생성할 수 있다. *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매크로 코스모스]]와는 달리 이 카드가 묘지로 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상대 몬스터만 제외시켜주므로 상성이 아주 좋다.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해줘도 토큰이 꾸준히 나와주고, 어둠 속성 몬스터에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를 써주기만 해도 간단히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 * [[인과절단]]: 패 코스트로 이 카드를 버리고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처리 특성 상 패 코스트로 묘지로 보낸 이 카드의 토큰 생성 효과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 * [[나락의 함정 속으로]], [[카오스 솔저 -개벽-]], [[카오스 소서러(유희왕)|카오스 소서러]],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등 범용성 높은 카드들 * 그밖에 [[사 제왕 가이우스]], [[아마테라스(유희왕)|아마테라스]] 등 제외는 굳이 자기 카드의 효과로 실행할 필요가 없다. 상대의 [[볼트 고슴도치]]나 [[좀비 캐리어]] 등이 자체 특소했다가 필드에 벗어나 제외된 경우에도 토큰을 꺼낼 수 있으니 알아두면 좋다.[* 원래 주인이 자신인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제외된 경우에도 효과는 발동한다.] 다만 상대 필드에 존재하는 토큰의 경우에는 제외 효과를 받는다고 해도 제외되지 않고 그대로 소멸한 것으로 취급되니 효과는 발동되지 않는다. 상대 몬스터가 한 번에 여러 장 제외된다고 해도 토큰은 1장만 생성된다는 점을 주의할 것. ②의 효과는 ①의 효과와 연동해서 다음 타자를 꺼내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룰 효과]]. 이바 토큰을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해서 그대로 어태커로도 쓸 수 있으니 여러 장 투입해도 패가 크게 말리지는 않는다. 토큰 생성 후 묘지에서 회수만 해오면 바로 특수 소환도 할 수 있다. 생긴건 영락없는 악마지만 천사족이라는 것이 특징인 카드. 그런데 막상 이 카드가 뱉는 토큰은 또 악마족이다. 거기다가 왠지 생긴게 [[에일리언(유희왕)#에일리언 마더|에일리언 마더]]와 많이 비슷해다. 위의 원작 내용에서 언급하듯 '인베이더의 왕'이라는 설정이 있는데 이쪽은 에일리언 킹 정도의 존재이고, 이 젠타 레티큘렌트를 모티브로 에일리언 마더가 디자인된 듯하다. 한정 카드였으나, 국내에서는 [[프리미엄 팩]] 4에서 풀렸다. 한국어판 표기인 ''''젠'''타 레티큘'''렌'''트'는 오역으로, '제타 레티큐런트(레티큘란트)'가 원래 맞는 번역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고쳐진 건가 싶었지만 얼마 후 도로 한국어판 발매 기준으로 돌아갔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리미티드 에디션|LIMITTED EDITION 9]] || LE09-JP004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영광|決闘者の栄光-記憶の断片- side:闇遊戯]] || 15AX-JPY25 || [[노멀]][br][[밀레니엄 레어]] || 일본 ||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EN094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4]] || PP04-KR013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영광|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어둠의 유희]] || 15AX-KRY25 || [[노멀]][br][[밀레니엄 레어]] || 한국 || || == 관련 카드 == === [[에일리언(유희왕)#에일리언 마더|에일리언 마더]] === === [[이바(유희왕)|이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