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젤다의 전설 시리즈)] [include(틀: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2>
[[파일:external/zeldawiki.org/20110416171030%21Ocarina_of_Time_3D_Logo.png|width=250]][br]{{{#b69c65 '''{{{+1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3D}}}'''[br]ゼルダの伝説 時のオカリナ 3D[br]The Legend of Zelda: Ocarina of Time 3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zeldawiki.org/Ootkrbox.png|width=100%]]}}} || || '''개발''' ||[[GREZZO]] || || '''유통''' ||[[닌텐도]] || || '''플랫폼''' ||[[닌텐도 3DS]][* [[New 닌텐도 3DS]] 대응] || || '''장르''' ||[[액션 어드벤처 게임|액션 어드벤처]] || || '''출시'''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20]] [[2011년]] [[6월 16일]][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2011년]] [[6월 17일]][br][[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0]] [[2011년]] [[6월 19일]][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2011년]] [[6월 3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20]] [[2012년]] [[9월 27일]][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12년]] [[10월 27일]]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 || '''해외 등급'''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파일:CERO A.svg|width=17]] '''{{{#000000,#dddddd CERO A}}}''']][br][[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12.svg|width=16]] '''{{{#000000,#dddddd PEGI 12}}}''']][br][[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Everyone 10+.svg|width=16]] '''{{{#000000,#dddddd ESRB E10+}}}''']][br][[오스트레일리아 등급 위원회|[[파일:ACB General.svg|width=16]] '''{{{#000000,#dddddd ACB G}}}''']] || || '''판매량'''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ame_nintendo&no=2341411&page=1|'''644만 장''']] ^^(2022. 12. 31. 기준)^^ || || '''관련 사이트''' ||[[http://www.nintendo.co.kr/3DS/software/zelda3D/#|[[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한국)^^ | [[https://www.nintendo.co.jp/3ds/aqej/#|[[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일본)^^ | [[http://www.nintendo.tw/zeld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대만)^^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PX6RndmM1CU)] 2011년에 발매된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의 리메이크작이자 [[젤다의 전설 25주년]] 기념작.[* 이는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도 해당한다.] 한국에는 [[닌텐도 3DS]]가 2012년 4월 28일에 발매되었기 때문에 젤다의 전설 25주년에는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만 발매되었으며, 본작은 2012년 9월 27일에 발매되었다. 이후 닌텐도 셀렉츠 라인업으로 29,000원으로 가격을 낮추어 재발매되었다. == 변경점 == 내용 자체의 변화는 거의 없지만 퍼포먼스와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마스터 모드 등의 확장 콘텐츠도 수록되었다. * '''비주얼''' * 그래픽과 프레임이 향상되었고, 2DS 이외의 기종은 3D 영상에 대응한다. * [[닌텐도 3DS]]의 두 화면과 조작 체계에 맞는 HUD를 지원한다.[* 위 화면은 깔끔하게 플레이 화면에 A버튼의 커맨드 하나만 표시되고, 가끔 나비의 부름, 메아리 돌 아이콘 정도만 추가로 표시된다. 체력, 마력, 소지 루피 수 등 나머지 모든 정보는 아래 화면에 표시된다.] * 원작에는 링크의 집 내부, 하이랄 시내 등 일부 지역에 입체로 지형만 만들어 둔 다음 2D 이미지를 덮어씌우는 방식으로 비주얼을 개선하는 꼼수를 썼으나, 본작에서는 풀 3D로 바뀌었다. * '''편의성 개선''' * 아이템 슬롯이 3개에서 4개로 증가했다. 아이템은 X/Y버튼과 터치스크린 오른쪽 상/하단 아이콘으로 사용한다. * 아래 화면으로 풀사이즈의 지도를 언제든지 볼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간소화된 미니맵은 필요가 없으므로 삭제되었다.] 아이템을 터치 조작으로 버튼에 할당할 수 있다. * 1인칭 시점에서 자이로 센서로 시야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활과 후크샷 등을 본체를 기울여 조준할 수 있다.[* 정밀하게 조준이 가능해져 마상 활쏘기가 굉장히 편해졌다. 단 여전히 후크샷을 제외하고 조준점이 없다.] * 힌트 영상을 보여주는 시커 스톤이 등장한다. 어린이 시대에는 코키리의 숲, 어른 시대에는 시간의 신전에 배치되어 있다. * 여러 던전들의 디자인 변경으로 클리어가 편해졌다. 특히 '''물의 신전'''의 경우 벽에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방이 어디인지 안내하는 선을 그리고, 수위 조절 장치에 조정될 수위를 보여주는 그림이 추가되었으며, 몇몇 장소에서는 숨겨진 방이 어디 있는지 카메라로 보여주기도 한다. * 헤비 부츠와 호버 부츠가 장비에서 아이템으로 바뀌어 착탈이 쉬워졌다. * 던진 부메랑이 돌아오기 전에 부메랑 버튼을 누르면 바로 회수할 수 있다. * 고통의 돌이 메아리 돌로 변경되었다. 비밀장소 근처에 가게 되면 화면 상단에 나타나 소리를 낸다. * 오카리나가 좌측하단 터치스크린 아이콘에 배정되며, 악보를 보면서 오카리나를 연주할 수 있다. * '''확장 콘텐츠''' *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GC]]의 '''마스터 모드'''가 본편과 같은 방식으로 리메이크되어 수록되었다. GC 버전과 달리 3DS 버전에서는 본편을 클리어한 뒤에 해금되며, 2회차 모드의 성격에 맞게 게임 공간 전체가 좌우반전되며 링크가 입는 대미지가 2배가 된다.[* GC 버전에서 물의 신전 플레이 후 남는 열쇠 하나는 3DS 버전에서 사라졌다.] * '보스 챌린지'가 생겼다. 쓰러뜨린 보스들을 다시 상대할 수 있는 미니 게임으로, 숲의 신전을 클리어한 후 시크와 이야기하면 어린 시절 집의 침대에서 도전할 수 있다. 클리어에 필요한 최소한의 장비만 제공되고 시간 제한이 있으며, 생명의 그릇 수도 제한된다. * '''기타''' * 원작의 여러가지 버그가 수정되었다.[* 한가지 예로 데크 가지가 약화되었다. 원작에서는 데크 가지가 최강의 무기로 활용될 수 있었다.] * 나비의 버블에 대한 조언이 달라졌다. 기존엔 검으로 베라고 조언하였으나 건드리지 말라고 하게 되었다. * 카카리코 마을, 킹 도동고전, 밸버지아전 BGM 등이 어레인지되었고, 3D 버전 제작진이 등장하는 두 번째 스탭 롤 BGM[* 하이랄 평원 메인 테마의 편곡. 나중에는 클래식 오버월드를 편곡했다.]이 추가되었다. * 황혼의 공주에서 나왔던 링크가 마스터 소드를 돌리는 모션이 추가되었다. == 평가 == [include(틀:메타크리틱 닌텐도 3DS MUST-PLAY)]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닌텐도 3DS|{{{#red 3}}}{{{#white D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the-legend-of-zelda-ocarina-of-time-3d, code=critic-reviews/?platform=3ds, g=, score=9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the-legend-of-zelda-ocarina-of-time-3d, code=user-reviews/?platform=3ds, g=, score=9.1)] || 메타스코어는 94점이며[* 여담으로 같은 해에 발매된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스카이워드 소드]]보다 높다.] 원작 못지 않은 높은 점수를 받았다. '''모든 3DS 기종 게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다. '''[[슈퍼 마리오 3D 랜드]]와 함께 흥행한 작품. 본편과 함께 마스터 모드가 수록되어 [[닌텐도]] 이식작 중에서는 콘텐츠 가성비가 좋은 편이다. 마스터 모드는 특히 [[티어스 오브 더 킹덤]]이 발매된 현재까지도 젤다 시리즈 하드 모드 중 유일하게 대미지량 조절 뿐만 아니라 던전까지 속속들이 재구성되었다는 점에서 내실이 매우 강하다. == 관련 상품 == * 한정판 닌텐도 3DS *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3D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 기타 == * 젤다 매니아로 유명한 [[로빈 윌리엄스]]와 딸 젤다 윌리엄스[* 예명 같은 게 아니라 실제 이름이 젤다다. 아버지인 로빈 윌리엄스가 젤다의 전설에서 따와서 직접 지은 이름이다.]가 등장하는 광고 영상. [youtube(f6oYMtqZk4Y)] * 시커 스톤은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와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 3D]]에서도 등장한다. 일본, 북미 등지에서는 한국과 달리 시간의 오카리나 3D가 스카이워드 소드보다 먼저 발매되었지만, 개발 시기 등의 여러 요소를 고려할 때 스카이워드 소드에 영향을 받아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본작 발매 4년 후, 원작의 후속작인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이 시간의 오카리나 3D의 방식을 그대로 따라 리메이크되어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 3D]]로 발매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젤다의 전설 시리즈 타임라인)] [include(틀:젤다의 전설/시간의 용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version=1311, paragraph=8.2)] [[분류: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분류:2011년 닌텐도 3DS 게임]][[분류:리메이크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