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49A4 0%, #FFFFFF 30%, #FFFFFF 70%, #2449A4)" {{{+1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svg|width=60]]]] '''[[KBS 가요대축제|{{{#2449A4 가요대상}}}]] {{{#2449A4 대상}}}'''}}}[* 1980년까지는 'TBC 방송가요대상'이라는 이름의 시상식으로 진행됐고, 언론 통폐합 이후인 1981년부터 'KBS 가요대상'으로 이름을 바꿔 진행했다.]}}} || || [[최헌]][br][[이은하]][br]'''오동잎[br]밤차'''[br](1978년) || {{{#2449A4,#5B7FDA {{{+1 ▶}}}}}} || '''[[조경수(가수)|조경수]]'''[br][[이은하]][br]'''{{{+1 행복이란}}}'''[br]아리송해[br]'''(1979년)''' || {{{#2449A4,#5B7FDA {{{+1 ▶}}}}}} || [[조용필]][br][[윤시내]][br]'''창밖의 여자[br]열애'''[br](1980년) || ||<-2> '''{{{#FFFFFF {{{+1 조경수}}}[br]曺慶洙 | Cho Kyung-so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80_조경수_Vol.7.jpg|width=350px]]}}} || ||<|2> '''출생''' ||[[1948년]] [[12월 18일]] ([age(1948-12-18)]세) || ||[[경기도]] [[양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데뷔''' ||[[1976년]] 조경수 1집 - 아니야 || ||<|2> '''가족''' ||배우자 조혜석 {{{-2 (재혼)}}}[* MBC 6기 공채 탤런트 출신. 미국에서 만나서 교제를 시작했고, 2004년 한국에 돌아와서 재혼을 했다.] || ||딸 [[조서연(1977)|조서연]], 아들 [[조승우]][* 전처의 딸과 아들. 미국으로 떠난 1983년 이후, 같이 산 적이 없다.] || || '''직업''' ||[[가수]] || || '''학력''' ||[[환일고등학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가수]] 및 [[싱어송라이터]]. == 생애 == 1948년에 [[경기도]] [[양주시]]에서 태어나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후 서울로 올라와 [[환일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66년에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을 주로 하는 가수로 첫 데뷔하였다. 1976년 솔로 정규 1집을 발표하였는데, 데뷔 음반 타이틀곡인 '아니야'가 히트하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1978년에는 '행복이란'과 '돌려줄 수 없나요'가 연이어 크게 히트하면서 그는 가요계 '꽃미남 인기가수'로 자리를 잡았다. 1979년 번안곡 'YMCA'와 '징기스칸'을 히트 시켰다. '''1979년 TBC 동양방송에서 최고 인기가수상을 수상했다.''' 그는 1982년까지 9집 앨범을 발매하는 등 음악활동을 지속하면서 다른 한 편, 엔터테인먼트 사업에도 관여했는데, 1983년에 사업의 실패로 큰 부채를 떠 안게 되었다. 실의에 빠진 그는 부인과 이혼하고, 어린 아이 둘(당시 3살이었던 [[조승우]]와 6살이었던 [[조서연(1977)|조서연]])을 남겨둔 채 홀로 미국으로 떠났다. 이후 미국에서 만난 MBC 6기 공채 탤런트 출신 조혜석과 만남을 갖고, 2004년에 한국에 돌아와 그녀와 재혼을 했다. 그는 한국에 돌아온 뒤 방송 출연을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아들이자 유명한 배우가 된 [[조승우]][* [[조승우]]는 데뷔 후 공식 석상에서 가족을 언급할 때, 자신의 어머니와 누나 그리고 이모, 이모부, 외삼촌 등 외가 식구만 언급하였고 생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그의 이모부와 외삼촌은 어린 조승우를 데리고 낚시를 같이 가는 등 같이 지낸 적이 없던 아버지 대신 집안의 남자 어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승우가 70년대 말에 활약했던 당시의 유명 가수 조경수의 아들이었다는 것은 뒤늦게 언론에 의해 드러났다. 조승우는 조경수가 생부라는 것을 스스로 밝히지 않은 이유에 대해 "아버지 이야기를 꺼렸던 것은, 아버지에 대한 말을 하면 적어도 그 세대 사람들에겐 좀 더 유명해질 텐데, 그 덕을 봐서 알려지고 싶은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에요"라고 단호하게 인터뷰를 통해 밝혔다.][* 그런데 어릴 때 이후로 본 적이 전무하다시피 한데도 조승우는 생부와 외모가 닮았을 뿐만 아니라 노래할 때의 음색, 창법 등이 상당히 비슷하다.]를 자주 거론해 화제가 되었다. 그러나 이는 그의 일방적인 언급이며 정작 가족으로서 친밀한 왕래는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식들과 남과 다름 없는 사이인 것은 조경수가 밝힌 두 에피소드에서도 알 수 있다. 먼저 딸 [[조서연(1977)|조서연]]은 결혼식에 그를 초대하지 않았으며, 딸은 전처의 남자 형제 즉 외삼촌 손을 잡고 입장했다고 한다. 또한 아들 [[조승우]]에게 새해에 '아버지에게 인사 안 하냐'고 문자를 보냈는데, 답장으로 '아버지 무슨 말 하시는 겁니까'라고 왔다고 한다. == 수상 == * [[1977년]] 동양방송TBC 10대 가수상 / KBS 10대 가수상 / 문화방송 10대 가수상 * [[1978년]] KBS 10대 가수상 / 동양방송TBC 10대 가수상 * [[1979년]] 문화방송 10대 가수상 / '''동양방송TBC 최고 가수상''' == 앨범 == * 1976년 《조경수 1집》 (아니야 / 행복 찾는 비둘기) * 1977년 《조경수 2집》 (정말 가시나요) * 1977년 《조경수 2-1집》 (어떡해 / 그대 그림자) * 1978년 《조경수 3집》 (돌려줄 수 없나요 / 머물게 해주) * 1978년 《조경수 4집》 (그때 그여인 / 사랑하니까) * 1978년 《조경수 4집 재발매》 (행복이란 / 아들) * 1979년 《조경수 5집》 ([[YMCA(노래)|Y.M.C.A]] / 높은 하늘아) * 1979년 《조경수 6집》 (머물고 싶지만 / 징기스칸) * 1980년 《조경수 7집》 (하루해가 저물었네 / 형) * 1981년 《조경수 8집》 (가버린 사랑 / 내 마음 모르고) * 1982년 《조경수 9집》 (곰바우 / 그러나 당신 미워요) * 2008년 헤이유 * 2016년 훈장 / 바로바로 당신 == 출연 프로그램 == * 1978년 MBC 《명랑운동회》 * 1978년 KBS 《토요일 오후 6시 쇼》 * 1978년 TBC 《주간 가요대행진》 * 1981년 MBC 《영 일레븐》 * 1993년 KBS 《[[열린음악회]]》 * 2000년 KBS 《[[가요무대]]》 * 2006년 KBS 《[[콘서트 7080]]》 * 2016년 KBS 《[[비타민(KBS)|비타민]]》 * 2016년 KBS 《[[불후의 명곡|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분류:한국 남가수]][[분류: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1948년 출생]][[분류:1976년 데뷔]][[분류:양주시 출신 인물]][[분류:환일고등학교 출신]][[분류:창녕 조씨]][[분류:KBS 가요대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