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조기석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스타피쉬 엔터테인먼트 소속 크리에이터)] ---- [include(틀:NSU)] ---- }}} || ---- ||<-2> [[아프리카TV|[[파일:아프리카TV 베스트BJ.svg|width=300]]]] ||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1 프로게이머}}}''' || ||<-2> '''{{{#white 現 아프리카TV BJ}}}'''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SL12조기석.jpg|width=100%]]}}} || ||<-2> '''{{{#ffffff Sharp조기석}}}'''[* 이전에는 '간절한조프로'라는 닉네임을 사용했다.] || ||<-2> '''{{{+2 조기석}}}[br]Jo Gi Seok''' || || {{{#ffffff '''출생'''}}} ||[[1992년]] [[6월 15일]] ([age(1992-06-15)]세) || || {{{#ffffff '''신체'''}}} ||180cm, 85kg, [[B형]] || || {{{#fff '''학력'''}}}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졸업 || || {{{#fff '''가족'''}}} ||부모님, 아내[* 애칭은 '메딕'으로, 2023년 3월 26일 결혼식을 올렸다.[[https://bj.afreecatv.com/sharpragu/post/99984032|#]]] || || {{{#ffffff '''병역'''}}} ||육군 병장 만기 전역[* [[http://osen.mt.co.kr/article/G1110035971|이 기사]]에서 2014년 8월에 전역했음을 알 수 있다. 전 프로게이머 출신치고는 정말 빠른 나이인 21살에 입대했음을 알 수 있다.] || || {{{#ffffff '''ID'''}}} ||'''Sharp''' || || {{{#ffffff '''종족'''}}} ||[[테란]] || || {{{#ffffff '''소속팀'''}}}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 (2009) [br]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스타크래프트|삼성전자 KHAN]] (2010~2012)''' || || {{{#ffffff '''소속사'''}}} ||[[스타피쉬 엔터테인먼트]] || || {{{#ffffff '''별명'''}}} ||[[조기]]테란, '''조기구이''', '''[[거미 지뢰#s-2|마왕]]''', 갓기구이, 조네시스, [[백일섭]], 간절좌, [[박보검|조보검]][* 살이 빠졌을 때 정말 묘하게 닮긴 했다. [[https://www.ygosu.com/community/real_article/st/1895881/?page=2&frombest=Y|#]]] || || {{{#ffffff '''링크'''}}} ||[[http://afreecatv.com/sharpragu|[[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Sharprag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witch.tv/sharpragu|[[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sharpragu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선수 경력 == === 개인 리그 === [include(틀:역대 ASL 준우승자)] [include(틀:역대 ASL 4강진출자)] [include(틀:역대 KSL 준우승자)] * 2008년 IEF 2008 스타 부문 3위 * 2009년 [[박카스 스타리그 2009]] 오프라인 예선 탈락[* E조 8강에서 ~~[[김창희(1989)|김창희]]~~에게 1:2로 패배.] * 2009년 [[EVER 스타리그 2009]] 오프라인 예선 탈락[* N조 8강에서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에게 0:2로 패배.] *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예선 탈락[* O조 8강 2조에서 [[박정석]]에게 1:2로 패배.] * 2010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예선 탈락[* I조 4강에서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에게 0:2로 패배.] * 2010년 [[피디팝 MSL]] 예선 탈락[* 7조 4강에서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에게 0:2로 패배.] *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예선 탈락[* M조 4강에서 [[박지훈(프로게이머)|박수범]]에게 0:2로 패배.] * 2014년 [[제10차 스베누 스타리그]] 32강[* 1경기에서 [[임홍규]]에게 패, 패자전에서 김상곤에게 승, 최종전에서 [[임홍규]]에게 패하며 탈락.] * 2015년 [[제11차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 24강[* 1경기에서 [[진영화]]에게 승, 승자전에서 [[김명운]]에게 패, 최종전에서 [[진영화]]에게 패하며 탈락.] * 2016년 [[VANT36.5 대국민 스타리그]] 3위 (vs. [[김명운]] 3:0) (3위 상금: '''300만 원''') * 2016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준우승''' (vs.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0:3) (준우승 상금: '''500만 원''') * 2016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16강[* 1경기에서 [[박성균]]에게 패, 패자전에서 [[이제동]]에게 패하며 탈락.] *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 예선 탈락[* 부산 예선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1:2로 패하며 탈락.] * 2017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16강[* 1경기에서 [[윤찬희(1992)|윤찬희]]에게 승, 승자전에서 [[이영호]]에게 패, 최종전에서 [[박준오]]에게 패하며 탈락.] * 2018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 24강[* 1경기에서 [[김성대]]에게 패, 패자전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패하며 탈락.] * 2018년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1]] 8강 (vs.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1:3) * 2018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 8강 (vs.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0:3) * 2018년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2]] '''준우승''' (vs.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1:4) (준우승 상금: '''1,000만원''') * 2019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7]] 8강 (vs.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2:3) * 2019년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3]] 8강 (vs. [[정윤종]] 1:3) * 2019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8강 (vs. [[김성대]] 2:3) * 2019년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4]] 16강[* 1경기에서 [[장윤철]]에게 1:3으로 패, 패자전에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에게 1:3으로 패하여 탈락.] * 2020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9]] 16강[* 1경기에서 [[도재욱]]에게 패, 패자전에서 [[김택용]]에게 1:2로 패하면서 탈락.] * 2020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0]] 24강[* 1경기에서 [[유진우]]에게 패, 패자전에서 [[윤용태]]에게 패하면서 탈락.] * 2021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1]] 16강[* 2경기에서 [[도재욱]]에게 승, 승자전에서 [[정영재]]에게 1:2로 패, 최종전에서 [[도재욱]]에게 1:2로 패하며 탈락.] * 2021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2]] 24강[* 1경기에서 [[김범수(프로게이머)|김범수]]에게 패, 패자전에서 원지훈에게 승, 최종전에서 [[김범수(프로게이머)|김범수]]에게 패하며 탈락.] * 2022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3]] 예선 탈락[* 예선 1일차에서 [[김택용]]에게 1:2, 2일차에서 [[진영화]]에게 0:2로 패하며 최종 탈락.] * 2022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4]] 24강[* 2경기에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에게 승, 승자전에서 [[김명운]]에게 패, 최종전에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에게 패하며 탈락.] * 2023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5]] 24강[* 1경기에서 [[황병영]]에게 패, 패자전에서 [[고석현]]에게 패하며 탈락.] * 2023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6]] 8강 (vs. [[변현제]] 1:3) === 팀 단위 리그 === * 2018년 [[무 프로리그|무 프로리그 시즌1]] 준우승 (삼성전자 칸)[* [[송병구]], [[이성은]], [[이영한]], [[안겨]]와 한 팀.][* '''대회 MVP'''와 '''최우수 경기'''(vs. [[이영호]], 결승전 4세트) 수상.] * 2018년 [[멸망전 스타크래프트 2018 시즌 1]] 준우승 (또조암흑)[* [[한두열]], [[이성은]], 또봉순과 팀.] * 2018년 [[신한금융투자 무 프로리그 시즌2]] 3위 (아프리카 폭스)[* [[이윤열]], [[이예훈]], [[장윤철]],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 [[권혁진(프로게이머)|권혁진]], 다린과 한 팀.] * 2020년 [[LG 울트라기어 멸망전 스타크래프트 2020 시즌 1]] '''우승''' (삼성칸)[* [[송병구]], [[이성은]], [[윤수철]], [[애공]], [[핫바(인터넷 방송인)|황핫바]]와 한 팀.] * 2020년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1]] 준우승 (아프리카TV)[*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이영호]], [[이예훈]], [[한두열]], [[김범수(프로게이머)|김범수]]와 한 팀.] * 2021년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2]] 5위 (아프리카TV)[* [[박상현(1995)|박상현]],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홍덕]]과 한 팀.] * 2021년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3]] 3위 (앙떡 로제떡볶이)[* [[유영진(프로게이머)|유영진]],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김경모(프로게이머)|김경모]], 이광용과 한 팀.] === 전적 ===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KeSPA]] 공식전 통산 전적''' || '''6승 12패 (33.3%)''' || ||'''vs. [[테란]]''' || '''3승 4패 (42.9%)''' || ||'''vs. [[저그]]''' || ''' 1승 4패 (20.0%)''' || ||'''vs. [[프로토스]]''' || '''2승 4패 (33.3%)''' || ||<-4> '''{{{#ffffff 조기석의 스타1 양대 개인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white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white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전적없음 || 전적없음 || 전적없음 || || vs 저그 || 전적없음 || 1전 0승 1패 (0.0%) || 1전 0승 1패 (0.0%) || || vs 프로토스 || 전적없음 || 1전 0승 1패 (0.0%) || 1전 0승 1패 (0.0%) || || 총 전적 || 전적없음 || 2전 0승 2패 (0.0%) || 2전 0승 2패 (0.0%) || == 프로게이머 시절 ==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9|2009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데뷔했으며, 이듬해 1월 [[삼성전자 칸]]으로 이적하였다. 2010년 6월 5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eSTRO]]전에서 1군 데뷔전이자 프로리그 데뷔전을 치뤘으며, [[신재욱]]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10-11 시즌]]에는 삼성전자 칸 테란라인 자체가 [[잉여라인]]이었던지라 [[김기현(프로게이머)|김기현]], [[박대호]]와 같이 자주 출전했다. 그러나 조기석은 앞의 둘에 비해 캐릭터성도 없었고, 경기력에서도 밀려났던지라 정확히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그 다음 시즌]]부터는 저 둘에 밀려서 출전기회조차도 거의 잡지 못하게 되었다. [[2011년]] 3월 3일에 열린 MSL 서바이버 예선에서 [[김승현(프로게이머)|김승현]]을 2:0,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를 2:1로 꺾고 서바이버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3월 24일에 열린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8조 경기에서 [[김택용]], [[고석현]]에게 연달아 패하여 [[광탈]]하였다. 5월 8일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티원]]과의 경기에서 [[이승석|2승석]]을 잡았다. 5월 21일 프로리그 5라운드 [[삼성전자 칸]] vs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경기에서 [[에이스 결정전]] 직전의 길목인 6세트에서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를 상대로 [[벨트웨이]]에서 긴장감 있는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을 벌이며 승리하여 팀의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마지막 격전지였던 11시에서 조병세의 남은 병력을 쌈싸먹고 GG를 받아내는 장면은 이 경기의 백미. 그리고 당시의 투데이 MVP 또한 조기석이 차지하였다! 6월 17일에 열린 마이 스타리그 프로-암 예선전에서 [[박세정]]을 2:0, [[박지훈(프로게이머)|박수범]]을 2:1로 이긴 후 [[박재영(프로게이머)|박재영]]에게 0:2로 패했다.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배 와일드 카드 전에서 팀 동료인 [[임태규]]를 이기고 [[한두열]]과 팀 동료인 [[유준희]]를 이긴 후 결승전에서 또 다시 팀 동료인 [[허영무]]를 만났는데, [[팀킬]]을 2번이나 한 대가인지 [[허영무]]에게 패하여 탈락하였다. 6월 30일에 열린 MSL 서바이버 예선에서 [[하늘(1994)|하늘]]에게 1:2로 패하여 탈락하였다. 6강 PO 2차전에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를 상대로 출전해 무난하게 발렸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에서 0승 2패를 기록했다. 2012년 4월 1일에 열린 [[tving 스타리그 2012]] 예선 G조 8강에서 [[제8게임단]]의 [[프로토스]] [[하재상]]을 세트스코어 2:0으로 이겼으나 4강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0:2로 패해서 탈락했다. 2012년 6월 3일 2세트에서 [[정경두(프로게이머)|정경두]]를 상대로 380일 만에 프로리그에서 승리해 감동적인 인터뷰를 자아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4KXZQtYzQ8|2분부터]]... 당시 조기석과 정경두의 경기력은 모두 스타팬들에게 비판을 많이 들을 정도로 좋지 않았지만 어쨌든 그래도 승리한 것이 어딘가... 그러나 이것이 조기석의 마지막 공식전 승리가 되고 말았다. 2012년 6월 25일 3세트에서 출격하여 전경기의 인터뷰를 잊지 못한 해설진들이 응원을 했으나,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에게 패배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에서는 [[스타크래프트 1]]에서는 1승 1패,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전적이 없었고, 도합 스타크래프트 1 하나로만 1승 1패를 기록하였다. 2012년 10월, 군입대로 인하여 은퇴를 선언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236&aid=0000072092|#]]. == 은퇴 후 BJ 활동 == 현역 시절에는 별볼일 없었지만, 개인방송을 시작한 이후부터가 [[리즈 시절]]이라고 불릴 정도로 전성기를 맞고 있는 중이다. === 방송 특징 === 인성이 좋은 것으로(착한 것으로) 유명하다. 클린하고 착한 방송의 대명사가 [[조일장]]으로만 알려져 있었지만, 조기석의 존재감이 점점 알려지면서 클린하고 착한 방송의 대명사로 인식되어 가는 중. 타 스타 BJ나 같은 프로게이머들이 말하는 걸 보면 원래부터 주변에서 좋은 인성이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 오프라인에서 팬들이 먼저 인사하면 인사도 친절하게 해준다. 실제로 방송에서도 욕설, 비속어 사용이나 타 BJ 비하 등을 거의 하지 않으며 시청자들의 채팅 하나하나에 성심성의껏 답해주고, 소액 후원에도 진심으로 감사를 표하는 클린한 방송을 보여준다. 오프라인 경기 후 승자 인터뷰만 봐도 '말 정말 이쁘게 한다' 라는 감탄이 나올 정도. 개인 방송 시청자 수가 꽤 30명 정도로 적은 적도 있었지만, 아침의 지배자, 부담좌 같은 확고한 캐릭터성을 잡고, 본인도 끊임없이 노력하면서 조금씩 시청자수가 늘었다. 또한 군필이기 때문에 상당수의 테란 전 프로게이머들([[이영호]],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박성균]], [[윤찬희(1992)|윤찬희]] 등)과는 달리 병역 문제가 없어서 방송에 지장이 없는 점도 한몫해 그들의 빈 자리를 채울 수 있다면 시청자 수는 더욱 늘 수도 있다. === 방송 경과 === 2014년 8월, 군제대 이후 [[아프리카TV]] 방송을 시작했다. [[임홍규]]의 홍게임넷에 출연하면서 특유의 간절한 목소리와 플레이로 간절테란(월500이상 벌면서도 풍안터진다고 징징대면서 간절컨셉잡는데 이게 잘먹힌다)이라는 별명을 획득(?) 했다.[* 사실 이 간절함은 프로 때도 있었다고 한다. MPL 시즌2 4강 2경기가 끝나고 김봉준이 김정민과 합방을 했을 때 김정민이 푼 이야기에 따르면, '저 선수는 왜 나오지?'라는 의문을 갖고 김가을 감독에게 물었는데 김가을 감독이 '연습하는 것을 보면 경기에 안 내보낼 수가 없다'라고 대답했다고. --이쯤되면 컨셉이라고 하기에는...--] 2015년 6월 28일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에 출전했으나 듀얼 승자전에서 [[김명운]]에게, 최종전에게 [[진영화]]에게 패하면서 탈락했다. 스타리그를 위해 아마추어들과 합숙까지 하면서 엄청 열심히 연습한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http://m.ygosu.com/board/st/174702/?page=1|와이고수에 올라온 한 유저의 조기석 인터뷰]] 2016 3월 27일 기준으로, 저그전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김명운과 스폰빵 3판 2선승제에서 0:2로 셧아웃을 당했고, 연달아 이어진 조일장과의 스폰빵 3판 2선승제에서도 셧아웃을 당했다. 경기 양상은 뮤짤에 평소 테저전을 할 때의 실력보다 많이 휘둘리면서 진출 타이밍이 늦어지고 시간이 끌릴대로 끌려 저그의 하이브 테크 유닛에 패배한다던가, 레이트 메카닉을 갈때 배럭을 너무 일찍 띄워버리는 실수 등을 보여 그 타이밍을 정확히 노리고 들어온 김명운의 저글링 러커 러시를 막지못했다. 본인도 테저전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듯한 모습을 보여서 팬들의 아쉬움을 샀다. [[파일:허영무 조기석 합동방송1.png|width=100%]] [[파일:허영무 조기석 합동방송2.png|width=100%]] [[2017년]] 2월 경에 [[허영무]]와 합동방송을 하기도 했다. 2017년 3월 18일 [[김대엽]]과의 합방에서 같은 학교라고 밝혔다. 즉,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출신이다.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시절 그랜드마스터 66위를 해봤다고 한다. [[2018년]] 6월 17일에 열린 kt 롤스터와의 [[무 프로리그]] 결승전에서, 팀이 세트 스코어 1:2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팀 필승카드 [[이영호]]를 신들린 기동전 끝에 낚아채 팀을 에이스 결정전으로 이끌었다. 하지만 에이스 결정전에서 송병구가 패배하여 팀은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다. 그래도 조기석은 총 4승 무패로 팀 동료인 이영한(4승), kt 롤스터의 이영호(4승 2패)와 함께 무 프로리그 다승왕에 올랐으며 결국, 무프로리그 MVP에 선정되는 기염을 토했다. 2018년 7월15일 스타멸망전에서 [[한두열]], [[이성은]], 또봉순과 함께 결승까지 올라가는 기염을 토하며 에결까지 가는 명승부를 치뤄냈지만 [[정윤종]]이 한두열을 꺾어내며 또(!)준우승을 차지 하게 되었다. Asl시즌1,mpl에 이은 3번째 준우승~~콩라인?~~ --이성은도 아재리그 시즌2, MPL, 멸망전까지 팀대회를 나가면 프릭업 스튜디오는 기는데 맨날 준우승한다-- [[MPL 시즌2]]에서는 전체 7순위로 아프리카TV팀에 지명되어 출전하였다. 지난 시즌의 MVP였던 만큼 이번 시즌에 어떤 모습을 보여줄 것인지 기대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개막전에서는 5세트, 승자전에서는 4세트에 배치되었으나 팀원들이 전부 스윕으로 승리를 거둬 주면서 출장하지는 않았다. 이후 4강전에서는 신상문과 2연전을 펼쳐 모두 승리하였고, 최종 에이스 결정전에 에이스로써 출전하여 [[이영호]]와 상대하였으나 패배하였다. 이후 3,4위전에서 [[임진묵]]에게 승리를 거두면서 3승 1패로 시즌2를 마감하게 되었다. 딱 한번 패배했을 뿐이고 상대도 이영호였지만 그 한 번의 패배가 너무 뼈아팠다. === 타 플랫폼 방송 겸업 시작 === 21년 6월 22일부터 [[유튜브]], [[트위치]]에서 생방송을 시작하였다. 당시 베스트BJ이기 때문에 계약조건에 따라 교차 송출로 낮에는 [[유튜브]]와 [[트위치]]를, 저녁 시간에는 [[아프리카TV]]를 진행하였다.[* 낮 방송시간은 주로 12~13시부터 시작 16~17시까지 진행하였다.] 교차 송출을 시작한 날부터 트위치에 방송중이던 Artosis와 [[니콜라스 플롯]] [* [[ASL]], [[GSL]]영어 해설자 2명 ] 유승곤 등의 여러 스트리머로부터 레이드와 호스팅을 받아서 해외 시청자들이 늘어났다. 본인 자체도 번역사이트에서 영어로 번역해가며 간단한 영어로 해외 시청자들과 소통하는 것을 즐겼고 이후 낮방송의 트위치에서는 꾸준히 국내외 시청자들이 찾아와주었다. 반면 유튜브의 성적은 트위치 대비 저조하였다. 기존에 유튜브의 슈퍼챗과 [[Twip]], [[Toonation]]의 후원을 받았으나 트위치의 일부 해외 시청자들은 해외에서 자주 사용하는 후원매체인 Streamlab이나 StreamElements의 사용을 요구하여 이후 트위치 스트리머 패널에 4종류의 후원 배너를 사용하였다 === 동시 송출 시작 === 21년 7월 5일 동시송출을 시작하였다.[* 교차 송출시절 시청자의 동시송출의 가능성 질문에 '교차 송출을 하면서 7월말까지 반응을 지켜보고 결정하겠다' 고 했으나 그보다 일찍 7월 3일경 3사 동시 송출을 마음먹었다고 한다.] 주말저녁인 4일에 베스트BJ를 반납신청하고 평일인 5일에 반납이 확정되어 일반BJ가 되었다. 5일 당일 저녁방송부터 3사 동시 송출을 시작하였다 . === 염석대 교수 활동 === 2022년 1월 17일, [[염보성]]과의 합방을 통해 [[염석대]] 테란 코치로 임명되었다.[* 코치라고는 하지만, ASL과 KSL 모두 준우승 경력이 있는 조기석이면 교수라고 해도 무방하며, 시청자들도 사실상 교수로 인식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염석대 초창기에 염보성이 조기석을 테란 코치로 초빙하려고 했으나, 당시 조기석은 ASL과 메이저 프로리그 등 스타프로게이머 출신 비제이로서의 본업에 집중해야 한다는 이유에서 거절했었다. 그런데 1월 중순에 들어서며, 스타대학교 교수 생활을 하더라도 본업에 크게 지장이 없는 동료들을 보며, ASL과 프로리그, 그 외에 학생을 가르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방송도 키울 수 있겠다는 생각에 뒤늦게나마 교수직을 지망하였고, 염보성과의 수 차례 접촉 끝에, 염석대 교수가 되었다.[* 같은 시기에 염석대 교수를 지망하던 BJ로 [[유영진(프로게이머)|유영진]]이 있었는데, 시청자들은 이 방송이 있기 전까지 둘 중 한 명만 받을 것이라 생각하였지만, 염보성은 유영진과 조기석을 둘 다 영입하여 1:1 밀착 마크식 교육을 진행케 하여, 테란 교수진의 전면 개편을 통해 염석대 시즌2의 시작을 알렸다.] 염석대에서는 주로 [[박성진(프로게이머)|박성진]]을 교육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2022년 1월 10일에서 11일로 넘어가는 방송에서 [[박성진(프로게이머)|박성진]]이 개최한 스타CK에 참여하여 박성진, [[유영진(프로게이머)|유영진]], [[야미]]와 한 팀이 되었는데, 이 조합이 일주일 후 염석대 테란 라인으로 그대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이전부터 염석대 팬들 사이에서 프로토스와 저그는 우승 내지 준우승 이상 경력의 교수진이 있는데 테란만 그러하지 못해 아쉽다는 반응이 있었고, 유영진과 조기석의 영입을 통해 이 시점에서 최고의 테란 교수진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조기석의 영입은 염석대 팬들이 여러 주에 걸쳐 요청했던 것으로, 뒤늦게나마 성사되어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다. === NSU 교수 활동 === 염석대가 대학대전 시즌1 우승 이후 노선 차이로 인해 해체되면서 무소속으로 있다가 염석대서 보여준 역량과 합류 전 전태규의 인턴으로 있었던 것이 결부되면서 빠르게 NSU에 합류했다. == [[ASL]] (아프리카TV 스타리그) == === [[VANT36.5 대국민 스타리그]] === 32강에서 [[강정우(프로게이머)|강정우]], [[박재현(프로게이머)|박재현]], [[박성균]]과 한 조가 되었다. 32강 1경기와 승자전에서는 각각 박재현과 강정우를 잡으면서 16강에 진출했고, 16강에서는 B조에 같이 편성된 [[김건욱]],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구성훈]] 세 선수를 차례대로 잡아내며 8강에 진출했다. 이후 8강에서는 [[박성균]]을 3:1로 꺾으며 4강에 진출했고, 이어진 4강에서는 [[김택용]]에게 1:3으로 패배했지만, 3, 4위전에서 [[김명운]]에게 3:0으로 승리를 거두면서 3위로 대회를 마감하였다. 32강부터 전체 대진을 살펴보면 4명의 상대와 테란전을 했는데, 강정우, 김성현, 구성훈을 각각 1:0으로 이겼고 8강에서 박성균을 3:1로 꺾어서 총 테란전 전적은 6승 1패를 기록했다. 또, 저그전과 프로토스전은 김건욱과 김명운을 상대해서 4승 0패, 프로토스전은 박재현과 김택용에게 2승 3패를 기록했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 === [[VANT36.5 대국민 스타리그]]에서 4강까지 진출한 기세를 이어 다음 시즌인 ASL 시즌1에서는 16강에서 [[임진묵]], [[임홍규]],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과 한 조가 되었다. 조별 풀리그와 재경기, 재재경기 끝에 김재훈과 같이 8강에 진출했다. 8강 상대는 [[최호선]]이었는데, 2경기만 내주고 3세트를 이겨 3:1로 4강에 진출하였다. 이후 4강 상대는 [[조일장]]을 꺾은 [[염보성]]이었다.[* 이에 대해 얽힌 이야기가 꽤 되는데, 4강 경기 이전에 염보성이 조기석의 플레이를 보고 "얘는 현역 때 누구한테 배웠길래 왜 이렇게 못하냐?", "내가 얘한테 지면 1주일간 얘한테 형이라고 할게."라고 말한 결과 3판2선승 스폰빵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조기석이 이기자 염보성이 1주일간 동생인 조기석에게 형이라고 불렀던 굴욕이 있었다.] 2016년 8월 28일 열린 4강전에서 조기석이 염보성을 3:2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를 비롯해 이후 염보성과 오프라인에서 14번의 경기를 펼쳤고 10:4로 크게 앞서면서 염보성 전문 깡패임을 인증했다. --염보성 입장에서 지긋지긋한 악연이 아닐 수 없다.-- 2016년 9월 10일 진행된 ASL 시즌 1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과의 결승전에서는 가을의 점설의 제물이 되어 0:3으로 깔끔하게 패배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 결승전 인터뷰 때 "김윤중은 김택용이 아니라서 괜찮다."라고 말했다가 입필패를 몸소 증명했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시즌3]] === [[아프리카TV 스타리그|ASL 시즌1]] 4강으로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ASL 시즌2]] 16강 시드가 되었고, B조에 [[박성균]], [[이제동]], [[도재욱]]과 한 조가 되었다. 하지만, 16강에서 각각 박성균과 이제동에게 모두 패배하며 2패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2017년 4월 2일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ASL 시즌3]] 예선전[* 부산 예선]에서는 결승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1:2로 아쉽게 패배하며 24강에 진출하지 못했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시즌5]] === 2017년 9월 3일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ASL 시즌4]] 예선전[* 대구 예선]에서 [[장윤철]]을 꺾으며 2시즌 만에 복귀에 성공한다. 2017년 9월 20일 ASL 시즌4 24강 D조 경기에서 1경기에서 [[변현제]]를 꺾고, 승자전에서 [[이제동]]을 꺾으며 2승 진출로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여론에서는 변현제와 이제동이 거뜬히 올라갈 것이라 예측했다.] 이후 2017년 9월 24일 16강은 [[이영호]], [[박준오]], [[윤찬희(1992)|윤찬희]]와 같은 A조가 되었다. 1경기에서는 윤찬희를 꺾으며 승자전에 올라갔지만, 승자전에서 이영호에게 패배하였다. 그리고 최종전에서 박준오에게 패배하며 16강에서 아쉽게 탈락했다. 2018년 3월 25일 ASL 시즌5도 24강에 진출하였는데, 24강 E조에서 1차전에서 [[김성대]]에게 패하고 패자전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패배하며 탈락하였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 === 2018년 8월 18일 ASL 시즌6 서울 예선을 가뿐히 통과했다.[* 여담으로 조에 아마추어들밖에 없었다고 한다.] 24강에서는 1경기에서는 김진형[* BJ 예림]의 기권으로 인한 부전승, 승자전에서 [[김승현(프로게이머)|김승현]]을 꺾고 16강에 진출한다. 이후 [[정윤종]], [[박성균]], [[염보성]]과 16강에서 같은 조가 되었다.[* 우승자 정윤종에게 지목당했으며, 정윤종과의 상대전적이 '''0:8'''에 이를 정도로 약한 모습을 보였으며 프로토스전은 잘 못한다는 평.] 16강 1경기 정윤종과의 경기에서는 과감한 치즈러쉬를 질렀고 정윤종 입장에서는 수비가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드라군이 SCV에 끼어 허무하게 죽어버린다. 결국 모두의 예상을 뒤집고 정윤종에게 1승을 챙긴다. 이후 승자전에서 (박성균을 잡은) 염보성과 1위 진출을 두고 경기를 진행했고, 예상대로 조기석은 자신과 상성 관계에 있는 염보성을 무난히 잡고 조 1위로 8강에 진출한다.[* ASL 시즌 1 다전제에서도 조기석이 승리했고 KSL 다전제에서도 조기석이 두 번 연속 승리하는 등 둘의 오프라인 상대전적은 '''10:4'''로 조기석이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압도하고 있었다.][* ASL 시즌1 준우승 이후 준우승자 징크스를 극복하지 못하고 계속 24강과 16강에서 탈락하다가 4-5시즌만에 준우승자 징크스를 극복한다.] 8강전은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과 대결이었는데, 0:3으로 셧아웃을 당하며 양대 리그[* ASL, KSL]에서 모두 8강에 만족해야만 했다. 특히 8강에서는 조기석이 가장 자신있어 하는 테테전이었음에도 셧아웃 패배를 당한 것은 타격이 컸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7]]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ASL 시즌6]] 8강에서 탈락했지만, 와일드 카드전 출전 자격을 얻었다. 정윤종을 0:2로 지고 있다가 3:2로 역전하며 리버스 스윕으로 잡아내면서 3번 시드[* 다른 와일드 카드전의 승자인 [[변현제]]보다 ASL 포인트가 높아서 3번 시드를 받게 되었다.]를 획득하였다. 16강전에서는 [[박성균]],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 [[도재욱]]과 같은 C조가 되었다. 1경기에서 박성균과 승자전에서 도재욱을 연파하며 2승으로 8강 진출하였다. 여기서 도재욱의 '''아비터를 하나하나 EMP로 '깡통'[* [[https://youtu.be/2ffFyl2j8Vc|#]]]을 만든''' 플레이는 압권이었다. 8강에서는 지난 ASL 시즌6에서 셧아웃 패배를 안겼던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과 테테전 리매치가 성사되었다. 2월 26일, ASL 시즌6보다 더 경기력이 좋았고 더 치열하게 싸웠지만 풀세트 접전 끝에 2:3으로 패하며 두 시즌 연속으로 같은 상대에게 아쉽게 탈락하였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 개인 통산 두 번째 와일드 카드를 치르게 되었고, [[김윤환(1989)|김윤환]]에게 1:2,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에게 0:2로 패하며 2패 탈락하며 시드를 받지 못 했다. 특히 저그전은 그렇다 처도 프로토스전은 상당히 좋았는데, 그 실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이경민한테 탈락은 꽤나 치명적이었다. 그리고 그리니프 [[KCM 종족최강전]]의 결승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걸 보면서 걱정이나 우려하고 있는 팬도 있는 반면에, 스타 슬럼프 보다는 건강 관리를 걱정하는 팬도 있다. 예선전에서는 서울 예선 3조에서 예선을 뚫고 24강에 진출하였다. 7월 14일에 열린 24강 E조 1경기에서는 [[박재혁(1987)|박재혁]]을 상대했고, 패자전에서는 [[송병구]]를 만나 패배했지만, 최종전에서 다시 [[박재혁(1987)|박재혁]]을 잡아내며 2등(2승 1패)으로 16강 진출했다. 16강에서는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유영진(프로게이머)|유영진]], [[서문지훈]]과 함께 A조에 편성되었다. 개막전에서 서문지훈을 상대로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를 보여주며 승자전에 진출했다. 승자전 상대는 테란하면 둘째가인 김성현이었다. 불리한 게임에도 난전과 한타로 잘 쫓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딱 한 수 정도 차이가 나는지 김성현이 1, 2세트 모두 잡아내며 16강 A조에서 1등으로 8강을 진출하고, 조기석은 최종전으로 가게 된다. ~~ASL에서 심심하면 조기구이 해먹는 알파고~~ 16강 A조 최종전의 상대는 같은 테란으로 최근 기세가 좋던 유영진이었다. 풀세트의 접전 끝에 유영진을 2:1로 잡아내며 16강도 2승 1패로 8강에 진출한다.[* 유영진은 1세트를 벌쳐 견제를 통해서 매우 유리하게 게임을 이끌어서 이겼으나, 2세트부터는 무리한 드랍과 공격으로 유리했던 게임마저 도로 말아먹는 실수를 연발하여 패배하고 만다.] 이후 오랜만의 8강에서는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와 [[임홍규]]를 꺾은 [[김성대]]를 만났지만, 풀세트 접전 끝에 2:3으로 아쉽게 패하며 탈락하였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9]] === 지난 시즌에도 8강에서 탈락했지만, 지난 시즌에 3위를 차지했던 [[정윤종]]이 개인사정으로 시드권을 포기하면서 와일드 카드전을 이번에도 치르게 되었다. 지난 와일드 카드전에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던 만큼 걱정을 자아냈으나, 이번에는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와 [[이예훈]]을 꺾고 시드권을 차지하였다. 이후 16강에서 [[도재욱]], [[김명운]], [[김택용]]과 D조가 되었다. --죽음의 조--[* 아무래도 저그전에서 최근에 슬럼프가 있는 만큼 토스전을 하는것이 낫겠다고 판단한 듯.] 그러나 1경기에서 도재욱에게 패하였고, 패자전에서 김택용에게 1:2로 패하면서 이번 시즌은 16강에서 마감하게 되었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0]]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예선에서는 [[신상문]]과 [[김윤환(1989)|김윤환]]을 격파하고 예선을 뚫었다. 24강에서는 [[유진우]][* 前 [[화승 오즈]] 프로게이머], [[김성대]], [[윤용태]]와 한 조가 되었다. 하지만, 1경기에서 [[유진우]]에게 패한 뒤, 패자전에서 윤용태에게 연달아 패하며 다소 허무하게 대회를 마감했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1]] === 온라인 예선 1일차 5조에서 [[박재현(프로게이머)|박재현]], 김준혁[* '얍삽e'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저그 게이머이며, [[아프리카TV 챌린저스 스타리그#s-6|2021 아프리카TV 챌린저스 스타리그 시즌1]]에서 우승을 차지한 아마추어이다.]을 차례로 격파하고 24강에 진출하였다. 24강에서는 [[김경모(프로게이머)|김경모]], [[김택용]], [[임진묵]]과 E조에 편성되었다. 이어진 24강에서 김경모와 김택용을 연달아 꺾으며 16강에 진출하였다. 16강 조지명식에서는 A조였다가 [[김명운]]에 의해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과 자리를 바꾸어 [[박상현(1995)|박상현]], [[정영재]], [[도재욱]]과 함께 B조가 되었다. 이후 16걍 B조 경기에서 2경기에서 [[도재욱]]에게 승리를 거두었지만, 승자전에서는 [[정영재]]에게 1:2로 아쉽게 패하며 최종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도재욱]]과의 최종전에서도 1:2로 패하며 아쉽게 대회를 마감했다. 그러나 이 대회에서 미친 듯한 [[거미 지뢰#s-2|스파이더 마인]] 활용 능력을 보여주며 '마왕'이라는 별명을 다시 보여주며 시청자들의 민심을 사로잡았다. 본래 전 프로게이머 BJ들 간의 간이 프로리그[* K-리그라고 부른다.]에서 마이너 쪽 수문장이었으나, 이 대회를 통해 각성, 메이저 프로리그에도 끼기 시작하며 상당한 활약을 펼치고 있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2]] === 2021년 8월 14일에 열린 온라인 예선 1일차 8조 결승에서 [[신상문]]을 격파하고 24강에 진출하였다. [[김범수(프로게이머)|김범수]],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원지훈과 함께 A조에 포함되었고, 패자전에서 원지훈을 꺾었지만, 1경기와 최종전에서 김범수에게 무너지며 24강 탈락의 이변을 맞았다. KSL을 포함해서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ASL 시즌8]] 8강 이후로 8강 이상을 못가며 부진을 끊지 못하고 있다. 한때 [[이영호|갓]]-[[김성현(프로게이머)|알]]-조 트리오로 꼽히던 시절을 생각하면 아쉬울 따름이다.[* 갓알조로 꼽혔던 만큼 이재호가 우승하기 전에는 asl ksl커리어 기준으로 테란 top3에 들었던 테란이다. 양대리그 준우승을 하였기 때문. ASL S13까지의 기준으로 top3(갓-알-[[이재호(프로게이머)|북]]) 테란 외에 우승자가 없어서 우승자 테란들을 제외하면 ASL-KSL 커리어만으로 테란들 중에서는 1등이긴 하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3]] === 2022년 1월 23일 열린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3]]에서는 더욱 큰 부진의 늪에 빠졌는데, 1일차 예선에서는 [[김택용]]에게, 2일차 예선에서는 [[진영화]]에게 패하며 예선조차 뚫지 못했다. 저그전에 비해 토스전 기량 회복이 매우 시급한 상황.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4]] === 지난 시즌 예선 탈락의 아픔을 달래며 24강에 진출했으나 24강 최종전에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에게 패배하여 16강 진출에 실패하였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5]] === 예선 1일차에서 윤찬희를 2:1로 꺾고 24강에 진출했지만 2경기 황병영, 패자전에서 고석현에 연달아 무너지며 4시즌 연속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6]] === 예선 1일차 4강에서 윤수철에게 1:2로 패했으나, 2일차에서 박지훈을 2:0으로 꺾고 24강에 진출했다. 24강에서 [[이제동]]을 꺾고, 승자전에서 [[김태영(1992)|김태영]]을 꺾고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도재욱]],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 [[김성대]]와 함께 D조에 편성되어 1경기에서 도재욱을 이기고 승자전에서 김성대를 상대로 2:1로 이기면서 시즌8 8강전 이후로 8개 시즌 만에 8강에 진출했다. 무려 1,511일(약 4년 1개월)만에 8강에 진출한 것 이다. 8강에서 [[변현제]]에게 1:3으로 패배해 탈락했다. == [[KSL]]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1]] === 2018년 7월 [[KSL]] 16강 진출에 성공하여 B조에 편성되었다. 16강 B조 2경기에서는 염보성을 3:1로 격파했으나, 승자전에서 장윤철에게 0:3으로 패해 최종전에서 염보성과 다시 맞붙게 됐다. 최종전에서 염보성에게 다시 3:1 스코어로 승리하여 오랜만에 8강 진출에 성공했다. 상대는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이었는데, 1:3으로 패하며 대회를 마감하였다.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2]] === [[KSL 시즌2]]에서도 아마추어 선수들을 가뿐히 격파하고 두 시즌 연속으로 16강에 진출했다. MPL에서 마패록으로 인연이 있었던 [[임홍규]]를 첫 상대로 만나게 되었고, 접전 끝에 2:3으로 패했다. 이어서 패자전에서 [[진영화]]를 3:2으로 꺾고 최종전에서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을 3:1로 꺾으면서 8강 진출에 성공한다. 8강전 상대는 [[박성균]]으로, [[VANT36.5 대국민 스타리그]] 8강에서 이긴 적이 있으나, ASL 시즌2 16강에선 패한 적이 있다. 8강전에서 박성균을 3:0으로 완파하며 3번의 도전 끝에 ASL 시즌1 준우승 이후 2년만에 4강에 진출했다. 12월 6일, 4강에서 만난 [[정윤종]]을 상대로 4:3 접전 끝에 승리하며 [[ASL 시즌1]] 준우승 이후 2년만에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온라인에서 정윤종이 조기석을 상대로 크게 우위를 점하고 있었는데 오프라인에서는 예상 외라는 반응. 3세트를 연속 승리하다가 정윤종의 반격에 연속으로 3세트를 지고 최종전에서 간신히 승리한다.] 12월 15일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전관에서 열린 [[KSL 시즌2]] 결승전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1:4로 패배하며 [[준우승]]을 거두었다. 아쉽게도 이번 준우승으로 지난 [[ASL 시즌1]] 준우승에 이어 [[ASL]]-[[KSL]] 체제의 양대 리그 [[준우승]]을 달성하게 되었다. 또한 올 한해에 무 프로리그 시즌1, 스타 멸망전 시즌1, KSL 시즌2 등 팀리그, 개인리그 결승에서 3차례 모두 [[준우승]]을 거두며 [[콩라인]]에 들어서게 되었지만, 작년에 비해 경기력이 많이 올라온 점을 미루어 보면 좀 더 나은 내년을 기약할 수 있게 되었다.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3]] === KSL 시즌2에서 준우승을 했기 때문에 시드권 자격으로 참가했다. [[도재욱]], [[김명운]],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와 한 조에 속했고 16강 첫 경기를 김현우와 펼쳤다. 하지만 김현우의 뮤탈리스크 컨트롤에 피해를 많이 보면서 준비를 많이 해왔음에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2:3으로 패배하고 패자조로 내려간다. 패자조에서는 과거 [[VANT36.5 대국민 스타리그]] 3, 4위전에서 본인이 셧아웃을 시켜본 김명운. 기억폭행을 시전하며 김명운을 상대로 또다시 3:0 셧아웃 승리를 따냈다. 8강으로 가는 최종전에서 김현우와 다시 만났고, 3:1로 승리해서 가까스로 8강에 진출했다. 8강 상대는 정윤종이었고, 오프라인 상대전적은 8:5로 조기석이 근소하게 우위한 상태였다. 오프라인 다전제에서 두 번 만나 본인이 두 번 다 이겼기 때문에 또 이길 수 있다고 자신감을 표현했다. 8강 마지막 경기였고 4강에는 프로토스만 3명 진출한 상태였기 때문에 4강 4토스를 원치 않았던 수많은 스타 팬들의 기대와 희망이었다. 하지만 팬들의 기대는 힘없이 꺾였다. [[KSL 시즌2]] 4강전에서 보여준 치열한 전투에 비해 이번 경기에서는 정윤종에게 압살당했고 1:3 스코어로 무기력하게 탈락하고 말았다.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4]] === 오프라인 예선에서 아마추어 김범성을 상대로 2연패로 몰리며 탈락의 위기에 처했으나 3연승으로 역스윕을 거두며 간신히 본선에 진출한다. [[장윤철]], [[박상현(1995)|박상현]],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과 한 조가 되었고 아마추어인 박상현과 첫 대회인 김지성보다는 8강 진출 확률이 높을 것으로 점쳐졌으나, 이후 1경기에서 장윤철에게 1:3으로 패해 패자전으로 내려갔다. 이어진 패자전에서는 김지성에게 1:3으로 불의의 일격을 맞아 탈락하고 말았다. 그 동안 KSL에서 8강 이상씩은 갔던 조기석이지만 이번에는 가장 먼저 탈락했다. == [[아프리카TV 스타대학교]] == === [[떡볶이참잘하는집 스타크래프트 멸망전 2022 대학대전 시즌1|떡참배 스타크래프트 멸망전 대학대전 시즌1]] === * 2022년 5월 9일 ~ 6월 8일 [[떡볶이참잘하는집 스타크래프트 멸망전 2022 대학대전 시즌1|떡참배 스타크래프트 멸망전 대학대전 시즌1]], '''염석대''' 소속으로 대회 우승 멤버가 되었다. 대회 개인 전적 0승 1패(4강 1경기 1세트 v몽군)[* [[윤찬희(1992)|몽군]]vs조기석 경기 다시 보기 - [[https://vod.afreecatv.com/player/88075759?change_second=2595|[[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 00:43:15 )] == 플레이 스타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기석/플레이 스타일)] == 여담 == [[파일:2008 IEF랭킹 3위 조기석.jpg]] * KTF 소속이었던 아마추어 시절 중국 우한에서 열린 IEF 2008에서 3, 4위전에서 ~~[[마재윤]]~~을 1:2로 꺾고 대회 3위를 차지했다. * 다른 스타 BJ들에게는 이름의 어감 때문에 [[조기]]구이[* [[박준오]]에 따르면 조기구이 먹방을 많이하는걸 보고 이름도 비슷하여 자신이 지어줬다고 한다.]라는 애칭(?)으로 통한다. 또는 간절한 친구, 간절한 애 등등 간절함과 많이 연관된다. 상당히 명언을 좋아하는 듯 하다. 방제에도 상당한 진지함이 묻어나온다. 그래서 비제이로서는 타격감도 중요한데, 상당히 진지하다보니 그걸 다 진지하게 받아버린다. 다만 요즘은 방송감이 어느정도 개선되어서 재미있게 받아치는 빈도가 늘었다. * BJ로 활동하고 있는 전프로 출신들이 대부분 그렇지만 이쪽도 현역 시절과 비교하면 살이 어마어마하게 쪘다. 현역 시절에는 꽤나 호남형 인상이었으나 지금은 몽군([[윤찬희(1992)|윤찬희]]), 이영한과 함께 스1 BJ 중에서도 손꼽히는 거구[* 해당 3명이 김밥천국에서 정확히 10만 원어치를 먹어치우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리고 이들과 같이 갔지만 한입만 벌칙에 걸려버린 이경민은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밥값을 전부 부담했다(...).]지만 아프리카에서 진행하는 다이어트 프로그램에 출전하여 살을 확 뺐다. 덕분에 더더욱 듣게 된 말이 조보검이었지만, 2019년 04월경에 들어선 다시 좀 롤백된 느낌이다. * 2019년 4월 현재까지 준우승을 많이 해 콩라인에 들어가게 될지 우려된다. * 2019년 7월까지 공식전을 보면 김성현 상대로 인간 상성이 있어 보인다. [* ASL 시즌6에서 0:3, 시즌7에서 2:3으로 총합 2:6으로 열세를 당하고 있다. 플레이스타일 자체도 조기석은 초반 빌드싸움 및 최적화에서 밀린 부분을 지속적인 견제로 차이를 좁혀가는 스타일이나 김성현은 초반 빌드싸움 및 최적화 싸움에서 이긴 경우 절대 무리한 수를 두지 않고 단단하게 굳혀서 스노우볼을 굴리는데 능하다. 뿐만 아니라 빌드 선택도 조기석은 지상병력에 힘을 주고 공중병력은 최소화하는 운영이 주가 되지만 김성현은 다수의 레이스를 뽑는 등 제공권 장악에 무게를 두는 운영에 능하기 때문에 골리앗이 적은 위치에 무방비하게 자리잡은 탱크를 야금야금 갉아먹어서 병력차를 발생시킨 후 역공을 가하는데 능하다.] * 공식전에서 이재호를 상대로 유독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폼이 떨어진 와중에도 이재호만 만나면 귀신같이 부활해서 이겨낸다. [* 실제로 상대전적 4:0으로 우세하고 있다.] * 찌개나 백반류 음식을 매우 좋아한다. 가성비를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특히 함바집(한식 뷔페)을 매우 좋아하는데 여자친구와의 데이트도 종종 함바집에서 할 정도로 자주 들려서 함바왕, 함바구이라는 별명도 생겼다. NSU에 들어간 지금도 종종 낮방 야방을 진행하면 80~90% 함바집 먹방을 진행한다. 대부분 시청자들은 그 날의 함바집 메뉴가 무엇인가를 기대하고 조기석 낮방을 들렀다가 혜자스러운 별풍선 리액션 등을 보면서 눌러 앉는 편이다. 오죽하면 함바줍쇼 컨텐츠를 진행했을 때 방문하였던 함바집에서 아이스크림을 서비스로 주었을 정도이다. * 요즘들어 여자친구와 야방을 자주한다.. * 2021년 7월5일 이후로 베스트BJ를 떼고 동시송출을 시작했다 * KSL을 제외하고 아프리카TV 주최 대회에서 첫 시즌마다 모조리 결승에 진출했다. 단, 스타대학대전 외에는 몽땅 준우승이라는게... [[https://youtu.be/bjv3v2_vZXw|4:24부터 참고]] === 결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기석 결혼식 캡처_202303261306.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기석 결혼식 캡처 3_202303261333.jpg|width=100%]]}}} || * 2023년 3월 26일 결혼식이 열렸다.[[https://bj.afreecatv.com/sharpragu/post/99984032|#]] * 사회는 [[이성은]]이, 방송 촬영은 [[도재욱]]이 했다.[[:파일:조기석 결혼식 캡처 2_202303261317.jpg|#]] == 관련 항목 == [include(틀:WGM)] [각주] [[분류:조기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