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조대연(동명이인))] [include(틀:역대 충청북도지사)] ---- [Include(틀:1960년 지방선거 민주당(1955년) 후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24598 0%, #724598 20%, #724598 80%, #724598)" '''[[충청북도지사|{{{#FFFFFF 제9·10대 충청북도지사}}}]][br]{{{#FFFFFF {{{+1 조대연}}}[br]趙大衍 | Cho Dae-hyu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73464.jpg|width=100%]]}}} || || '''초명''' ||조초연(趙鍫衍) || || '''자 / 호''' ||희수(羲數) / 소운(小雲) || || '''본관''' ||[[풍양 조씨]][* 회양공파(淮陽公派)-한산군파(漢山郡派)-회덕공파(懷德公派) 27세 연(衍) 항렬. 풍양조씨화수회장을 거쳐 1961년 4월부터 1962년 6월까지 초대 풍양조씨한산공파종중 회장을 역임했다.] || ||<|2> '''출생''' ||[[1888년]] [[5월 24일]] || ||[[충청도]] [[충주시|충주목]][br](現 [[충청북도]] [[충주시]]) || ||<|2> '''사망''' ||[[1962년]] [[9월 7일]][* [[양력]] [[10월 5일]].] (향년 74세) || ||[[충청북도]] [[충주시]] || || '''묘소'''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 신양리 마치골마을 || ||<|4> '''재임기간''' ||제9대 관선 충청북도지사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30일]] || ||제10대 민선 충청북도지사 || ||[[1960년]] [[12월 30일]] ~ [[1961년]] [[5월 24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대동법률전문학교 {{{-2 (졸업)}}}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2대 국회의원|'''2''']] || || '''경력''' ||장영원 전사판임관5등[br]충주금융조합장[br]연초경작조합장[br]신계금융조합장[br]매일신보 지국장[br]국민회 충주지부장[br]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충청북도 부위원장[br]제2대 국회의원[br]제9·10대 충청북도지사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처음 이름은 조초연(趙鍫衍)이다. == 생애 == 1888년 5월 24일 [[충청도]] [[충주시|충주목]](現 [[충청북도]] [[충주시]])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조남일(趙南一, 1870 ~ 1899. 9. 11)과 어머니 [[달성 서씨]](? ~ 1899. 4. 12)[* 서갑보(徐甲輔)의 딸이다.] 사이에서 1남 1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조남일은 1891년([[고종(조선)|고종]] 28) 증광 [[진사|진사시]]에 3등 319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91_039106|입격한 뒤]] 1897년(고종 34) 6월 15일 [[숭릉]] [[참봉]]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4_06A_15A_00080_2004_173_XML|임용되었으나]] 이튿날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4_06A_16A_00050_2004_173_XML|사직했다]]. [[대한제국]] 시기이던 1908년([[융희]] 2) 4월 21일 장례원 전사보(掌禮院典祀補, 판임관 5등)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A_A02_04A_21A_00050_2015_003_XML|임명되었으나]], 그해 5월 24일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A_A02_05A_24A_00040_2015_003_XML|사직했다]]. 이후 대동법률전문학교를 졸업했다. 대동법률전문학교 졸업 후 1917년 [[조선총독부]] 직속 충청북도 지방토지조사위원회 [[https://db.history.go.kr/item/imageViewer.do?levelId=jw_1917_0070_0290|임시위원]], 1919년 충주군 [[엄정면]]장을 [[https://db.history.go.kr/item/imageViewer.do?levelId=jw_1919_1165_0270|지냈고]], [[일제강점기]] 충주금융조합장, 연초경작조합장, 신계금융조합장, [[매일신보]] 지국장 등을 지냈다. [[8.15 광복]] 이후 [[우익]] 정치인이 되어 [[국민회(1945년)|국민회]] 충주지부장,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충청북도지부 부위원장 등을 지냈고, 1946년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에 선출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북도 [[충주시(선거구)|충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무소속 [[김기철(1917)|김기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김기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민주당(1955년)|민주당]] 충북도당 부위원장을 역임했고, 1960년 7월부터 같은 해 12월까지 관선 [[충청북도지사]]를 지냈다. 같은 해 12월 치러진 [[1960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을 탈당하였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도지사직에서 경질되었다. 이듬해인 1962년 고향인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사망하였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충주시(선거구)|충주군]]) ||<|2> [include(틀:무소속)] || '''11,375표 (19.87%)''' || '''당선 (1위)''' || '''초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충주군) || 4,217표 (7.24%) || 낙선 (6위) || || || 1960 || [[1960년 지방선거]] ([[충청북도지사]])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25,825 (44.45%)''' || '''당선 (1위)''' || '''초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1960년))]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충청북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충청북도지사]][[분류:충주시 출신 인물]][[분류:풍양 조씨]][[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1888년 출생]][[분류:1962년 사망]][[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무소속 정치인]][[분류:장면 내각/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