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조(춘추시대) 군주)] |||||| '''{{{#ece5b6 조(曹)나라 17대 국군[br]{{{+1 문공}}}[br] 文公}}}'''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조(曹) || |||| '''[[휘|{{{#ece5b6 휘}}}]]''' |||| 수(壽) || |||| '''{{{#ece5b6 아버지}}}''' |||| [[조공공]](曹共公) 희양(姬襄)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595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618년 ~ 기원전 595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조나라|조(曹)나라]]의 제17대 [[군주]]. [[조공공]]의 아들. [[조선공]]의 아버지. 이 당시 [[진(춘추오패)|진(晉)나라]]와 [[초(춘추전국시대)|초(楚)나라]]가 패권 다툼을 하고 있었다. == 생애 == 조 문공 6년(기원전 612년), [[제(춘추전국시대)|제(齊)나라]]가 [[노나라]]를 치자 진(晉)나라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이에 진(晉)나라는 [[송(춘추전국시대)|송(宋)나라]], [[위(춘추전국시대)|위(衛)나라]], [[진(춘추전국시대)|진(陳)나라]], [[채나라]], [[정나라]], [[허나라]], 조(曹)나라 등 7개 나라를 소집했다. 그리고 같이 제나라를 쳐서 계획을 논했다. 이 때 제나라의 [[제의공]]은 [[진영공]](晉靈公)에게 뇌물을 보내니, 제후군들이 물러났다. 그리고는 노나라의 서부 지역을 약탈했다. 그리고 친 노나라 세력인 조나라를 쳤다. 이에 조나라는 성에서 굳게 지키지만 했다. 제군이 조나라의 수도 도구를 쳤으나 끝내 이기지 못하고 돌아갔다. 조 문공 13년(기원전 605년), 송나라에서 내란이 일어났다. 무씨, 목씨 양가가 송나라에서 쫓겨나 그들의 요청을 받은 조나라가 송나라를 쳤다. 그러나 송군에게 패했다. 조 문공 14년(기원전 604년), [[송문공]]이 조나라에게 보복하기 위해 공격을 가했고, 조나라가 거기에 맞섰다. 그러나 조나라의 도성 도구가 포위당했다. 그러나 송문공은 끝내 함락시키지 못했다.[* 아버지 조공공 때면 몰라도 이때 쯤 되면 조나라가 송나라보다 약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 문공 23년(기원전 595년), 조 문공이 죽고 공자 려가 즉위하니 그가 바라 조 선공이다.[* 그의 다른 이름은 사기에 의하면 강(彊)이라 한다.] [각주] [[분류:조(曹)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59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