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조민수}}}[br]Jo Min-soo'''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조민수_.jpg|width=100%]]}}} || || '''출생''' ||[[1990년]] [[6월 7일]] || || '''사망''' ||[[2011년]] [[7월 27일]] (항년 2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오산대학교]] 경찰경호행정과 재학 {{{-2 (09학번)}}} || ||<|2> {{{#ffffff '''복무'''}}} ||[[의무경찰|대한민국 의무경찰]] {{{-2 (경기지방경찰청 기동단 11중대[* 2009년 12월 10일 배치])}}} || ||[[2009년]] [[11월 5일]] ~ [[2011년]] [[7월]][* [[2011년]] [[8월 29일]] 전역 예정이었으나 전역을 1달 앞두고 순직했다.] || || '''최종 계급''' ||[[순경]][*추서 명예순경] || || '''상훈''' ||[[훈장(상훈)/대한민국#근정훈장|옥조근정훈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순직 [[의무경찰]]대원으로, 최종계급은 순직 후 명예순경 추서로 [[순경]]이다. == 순직 == 7월 27일 밤 10시께 경기 [[동두천시]] 신천에서 물에 빠진 주민 강씨를 구하려다 급류에 휩쓸려 주민과 함께 실종됐다.[[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489369.html|#]] 사고 직후 동료 의경들에 의해 강씨는 구조됐으나 조 의경은 그대로 실종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고무보트를 이용해 주변을 수색했으며 다음날인 7월 28일 새벽 2시 40분께 실종지점에서 하류로 100여m 떨어진 곳에서 시신으로 발견되었다.[[https://www.kyeonggi.com/article/201107280415182|#]] 사망 당일 순직 의결 및 훈장이 추서되었다. 7월 29일 열린 장례식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조문하고 각 정당 대표와 국무총리 등이 화환을 보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2332040|#]] 10월 12일 [[중앙경찰학교#s-9]] 충의선양탑 앞에서 흉상 건립 제막식이 있었고, 제막식이후 12월 12일 [[오산대학교]] 학생회관 앞에서 [[http://osinews.co.kr/m/view.php?idx=1040|추모비 제막식]]이 열렸다. 흉상 제막식에는 유가족과 [[조현오]] 경찰청장 등이, 추모비 제막식에는 유가족 및 심기보 오산시 부시장, 경기경찰청장, 화성동부경찰서장 등이 참석해 추모했다. 고양경찰서에도 흉상이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440|세워졌다.]] 경찰청 개설 사이트[[https://www.police.go.kr/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15&q_bbscttSn=1B000004332531000|#]]에서 추모할 수 있다. == 논란 == 순직 다음해인 2012년 1월 10일 [[조선일보]]와 [[TV조선]]은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1/10/2012011000186.html|단독보도]]를 통해 조민수 의경이 시민을 구하다가 순직한 것은 간부들의 대응 미흡을 은폐하려 지어낸 거짓이고, 조 의경은 시민을 구하려다 순직한 것이 아닌 현장을 지키라는 상관의 지시를 이행하다 대피하지 못해 목숨을 잃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조 의경이 컨테이너 숙영 시설에서 장비 등을 챙기다 미쳐 빠져나오지 못해 죽었다는 동료들의 증언과 미군이 자신을 구조했다는 강 씨의 증언을 인용하며 훈장추서·대통령 조문이 대국민 사기극으로 끝난다는 표현도 사용했는데, 이후 논란이 빠르게 확산되며 의혹이 제기된 당일 경찰은 재조사에 착수했다. 점화된 논란에 대해 영웅담이 조작됐다는 의견과 구조중 순직이 맞다는 의견이 충돌했는데[[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20110/43227102/1|#]], 조 의경이 구조를 하러 간 것이 맞다는 동료들의 의견이 더해지며 논란은 더욱 심화되었다. 12일 김기동 수사2계장은 전역자를 포함해 당시 근무한 인원들에 대해서는 거의 다 조사를 실시했다며 진술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나타날 경우 거짓말탐지기를 동원할 것을 예고했다. 또한 조 의경의 순직에 대해 조작의혹을 제기한 사람들의 신원은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 조 의경이 늑장 대응과 지시로 인해 컨테이너에서 늦게 빠져나와 사망했다는 의혹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으며[[http://www.shinmoongo.net/30591|#]] 조 의경이 강 씨를 직접 구조하려다 사망한 것은 아니나[[https://www.mk.co.kr/news/society/5090715|#]], 근무 중 순직한 것은 맞기 때문에 훈장은 유지될 것이라고 하였다.[[https://www.yna.co.kr/view/AKR20120120152200060|#]] [[https://m.khan.co.kr/national/incident/article/201201201954055#c2b|#]] 이와 별개로 상관이 사망경위에 대해 조작을 공모했던 것은 증언상 사실로 들어났다. [[https://www.mk.co.kr/news/society/5090715|#]] [[분류:1990년 출생]][[분류:2011년 사망]][[분류:발견된 실종자]][[분류:재난으로 죽은 인물]][[분류:근정훈장]][[분류:순직 경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