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 수목 드라마(2011~2015))] ||<-3>
{{{#fff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width=44]]]] 특별기획 드라마'''}}}[br][[조선 총잡이|[[파일:조선 총잡이 로고 화이트.png|width=120]]]] {{{#fff (2014)}}}[br]{{{#fff Gunman in Joseon}}}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unman_poster_official.jpg|width=100%]]}}} || ||<-2> '''{{{#fff 언어별 제목}}}''' ||Gunman in Joseon ([[영어|英]])[br]朝鲜神枪手 ([[중국어|中]])[br]朝鮮ガンマン ([[일본어|日]]) || ||<-2> '''{{{#fff 장르}}}''' ||드라마 || ||<-2> '''{{{#fff 방송 시간}}}''' ||[[수요일|수]] · [[목요일|목]] 오후 10:00 ~ || ||<-2> '''{{{#fff 방송 기간}}}''' ||[[2014년]] [[6월 25일]] ~ [[2014년]] [[9월 4일]] || ||<-2> '''{{{#fff 방송 횟수}}}''' ||22부작[* 본래 20부작 이었으나, 2회 연장하였다.] || ||<-2> '''{{{#fff 기획}}}''' ||[[KBS 미디어|[[파일:KBS 미디어 영문 로고.svg|width=80]]]] || ||<-2> '''{{{#fff 제작사}}}''' ||조선총잡이 문화산업전문회사, [[KBS 미디어|[[파일:KBS 미디어 영문 로고.svg|width=80]]]] || ||<-2> '''{{{#fff 채널}}}'''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50]]]] || ||<-2> '''{{{#fff 방송사}}}''' ||[[KBS drama|[[파일:KBS drama 로고.svg|width=50]]]] | [[KBS Story|[[파일:KBS W 로고.svg|width=50]]]] || ||<|2> '''{{{#fff 제[br]작[br]진}}}''' || '''{{{#fff 연출}}}''' ||[[김정민(PD)|김정민]][* [[공주의 남자]] 연출], [[차영훈]] || || '''{{{#fff 극본}}}''' ||이정우, 한희정 || ||<-2> '''{{{#fff 출연}}}''' ||[[이준기]], [[남상미]], [[전혜빈]], [[한주완]], [[유오성]] 外 || ||<-2> '''{{{#fff 스트리밍}}}'''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60]]]]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K02_T2014-0095|▶]]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45]]]] [[https://watcha.com/contents/share/tEZbMNE|▶]]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 시청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2> '''{{{#fff 링크}}}''' ||[[http://program.kbs.co.kr/2tv/drama/gunma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et_1U-2jkM,width=100%)]}}} || || '''조선의 마지막 칼잡이가 총잡이로 거듭나[br]민중의 영웅이 돼가는 과정을 그린 감성액션로맨스''' || [[2014년]] [[6월 25일]]부터 [[2014년]] [[9월 4일]]까지 [[골든 크로스(드라마)|골든 크로스]] 후속으로 방영되었던 [[KBS 2TV]]의 [[수목 드라마]]이다. [[이준기]], [[남상미]], [[전혜빈]], [[한주완]], [[유오성]] 등이 출연하며, 조선의 마지막 칼잡이가 총잡이로 거듭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오랜만에 나오는 [[개화기]] 사극이자 [[추노(드라마)|추노]] 이후로 4년 만에 나오는 총기류가 부각되는 사극이라 총덕후들의 기대를 모았다. 2010년 스토리 공모대전에서 우수상으로 3천만원을 받은 작품이 원안이다. 여담이지만 앞 글자만 따오면 '[[조총]]'이다. 방송 시작 전에 "이 드라마에 나오는 인물과 사건은 [[역사|역사적 사실]]과 다른 [[창작물]]임을 밝힙니다."라는 자막이 나온다. == 기획의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poster02.jpg|width=100%]]}}} || ||[br] {{{+1 {{{#c69962 '''개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 {{{+1 {{{#c69962 '''벌어진 칼과 총의 대결.'''}}} }}} 건국 이래 조선을 지키는 무기는 칼이었다. 임진왜란 이후 전 육군을 총으로 무장시킨 조선이었지만, 그 속에서도 칼은 여전히 건재했다. 화승총은 한 발을 쏘고 나면 다시 장전을 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화약을 채우고, 납 탄환을 넣고, 쇠막대로 그것을 밀착시키고, 전화심지를 걸고... 결국 혼전이 벌어지면 전투를 끝내는 건 칼의 몫이었다. 하지만 19세기 개발된 서양의 후장전식 격발총은 이런 관념을 뒤집어 버린다. 지금의 총기처럼 총알을 뒤로 넣고 방아쇠를 탕-당기면 끝인 이 신식총은, 적의 접근을 쉽게 허락하지 않았다. 개화기, 신문물의 격랑을 타고 조선으로 흘러들어온 신식총 한 자루. 역설적으로 그 총구의 끝은 개화를 주장하는 왕과 선비들을 향한다. 여기에 조선 제일의 검객 박진한의 아들인 윤강이 칼을 버리고 총으로 맞선다. 칼은 조선의 마지막 자존심이었다. 그런 칼을 버리고 총을 잡아야 하는 것은 조선의 뼈아픈 현실이었다. 그러나 기꺼이 총이라는 신세계를 받아들인 것은, 한편으로 조선의 용기었다. {{{+1 {{{#c69962 '''복수, 그 이상의 통쾌함을'''}}} }}} {{{+1 {{{#c69962 '''선사하는 히어로 드라마.'''}}} }}} 양반. 대대로 조선을 지배하던 권력자들. 왕이 중국의 황제에게 수모를 당하고 백성들이 조공의 고통에 신음하는 동안에도, 오직 자신들의 권력과 재물을 지키는데 몰두하던 그들. 개화기에 이르러서도 양반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개화를 주장하며 왕의 뜻을 따르는 자들을 조용히 암살한다. 죽어간 이들 중에는 윤강이 아끼고 사랑하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 복수를 위해 총잡이가 되어 나타난 박윤강. 그의 활약을 통해 만 백성의 '정의'가 실현되는 통쾌함을 선사한다. {{{+1 {{{#c69962 '''격변기를 살다간'''}}} }}} {{{+1 {{{#c69962 '''조선 젊은이들의 꿈과 사랑.'''}}} }}} 19세기 동양의 한 사상가는 그 시대를 가리켜 '마치 뜨거운 불과 차디찬 물이 만나는 것 같고', '한 몸으로 두 인생을 겪는 것과 같은' 충격적인 시대라고 말했다. 개화기를 맞이한 19세기 조선의 사람들도 이와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갑자기 마주하게 된 신세계. 그러나 온 몸을 던져 그 격랑을 헤쳐 나갔던 사람들. 칼을 버리고 총을 잡은 조선 제일 검의 아들 박윤강... 새로운 세상을 위해 역사의 파도 속에 몸을 던진 여인 정수인... 혁명을 꿈꾸는 영의정의 서자 김호경... 그리고 재력으로 세상을 지배하려는 보부상단의 여접장 최혜원까지. 격랑의 시대를 살았던 이들의 엇갈린 운명을 통해, 개화기의 젊은이로 살다 간 선조들의 꿈과 사랑을 그려보고자 한다.[br][br] || == 마케팅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aOACbATg1M,width=100%)]}}} || || {{{#fff '''하이라이트'''}}} || === 포스터 === ||<:>
[[파일:gunman_teaser_poster.jpg|width=50%]][[파일:gunman_poster01.jpg|width=50%]] || ||<#c69962><-2> '''{{{#fff 티저 포스터 & 2종 공식 포스터}}}''' || || [[파일:gunman_poster02.jpg|width=100%]] || ||<:>
[[파일:gunman_poster_윤강.jpg|width=50%]][[파일:gunman_poster_수인.jpg|width=50%]] || ||<#c69962><-3> '''{{{#fff 5인 캐릭터 포스터}}}''' || || [[파일:gunman_poster_혜원.jpg|width=33.33%]][[파일:gunman_poster_호경.jpg|width=33.33%]][[파일:gunman_poster_원신.jpg|width=33.33%]] || == [[조선 총잡이/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선 총잡이/등장인물)] == OST == ||<-5>
'''{{{+1 ''{{{#ebebed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7xwha7Pcf-pbcAQQFeA9fXusJdcRt4D|{{{#ebebed 조선 총잡이 OST ALBUM}}}]]}}}''}}}'''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총_ost.jpg|width=100%]]}}} || ||<-5> '''{{{#fff 발매 : 2014. 09. 05.}}}''' || ||<-5> '''{{{#fff CD 1}}}''' || || '''{{{#fff 트랙}}}''' || '''{{{#fff 표지}}}''' || '''{{{#fff 곡명}}}''' || '''{{{#fff 아티스트}}}''' || '''{{{#fff 링크}}}''' ||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ost_01.jpg|width=100%]]}}} || 달픈 || [[버블시스터즈]] || [[https://youtu.be/02tUAKuEaK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ost_02.jpg|width=100%]]}}} || 돌틈꽃 || [[알리(가수)|알리]] || [[https://youtu.be/vvKxybsAxo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ost_03.jpg|width=100%]]}}} || 아파도 그대죠 || 미스티 || [[https://youtu.be/8ppKfOS3fV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ost_04.jpg|width=100%]]}}} || 기다리라 해요 || [[임창정]] || [[https://youtu.be/G20Iow_pdI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ost_05.jpg|width=100%]]}}} || 내 맘을 아나요 || [[아이비(가수)|아이비]] || [[https://youtu.be/qOnHAmgwNx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ost_06.jpg|width=100%]]}}} || 무한지애 (無限之愛) || [[조장혁]] || [[https://youtu.be/230m8-tngS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ost_07.jpg|width=100%]]}}} || 눈물을 닮아 || [[THERAY]] || [[https://youtu.be/nlq9oyVXqF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8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ost_08.jpg|width=100%]]}}} || 언제쯤 그칠까요 || 양선미 || [[https://youtu.be/CBGavNUvlD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9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nman_ost_09.jpg|width=100%]]}}} || 행복합니다 || 팀버 || [[https://youtu.be/UanZfONSAi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5> '''{{{#fff CD 2}}}''' || || '''{{{#fff 트랙}}}''' ||<-2> '''{{{#fff 곡명}}}''' || '''{{{#fff 아티스트}}}''' || '''{{{#fff 링크}}}''' || || 1 ||<-2> 義 - 흑랑 (黑狼) || 이지용, 조은아 || [[https://youtu.be/g2xt_vEpoh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 雄 - Hero (Title) || 이지용 || [[https://youtu.be/k_7qiaesQH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2> 鬪 - 혈투 (血鬪) || 이지용, 최재우 || [[https://youtu.be/ZMdmMqm5m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2> 命 - Croce || 이지용, 최재우 || [[https://youtu.be/n0Kex2IE9r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2> 慈 - Salvami L'anima Mia || 이지용, 최재우 || [[https://youtu.be/7iZfaSMaC9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 ||<-2> 心 - 그대 머무는 곳에 || 이지용 || [[https://youtu.be/4l51odqZbk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 ||<-2> 連 - 다홍치마 || 이지용, 이유희 || [[https://youtu.be/nm1tQc-hDs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8 ||<-2> 相 - 동동 (動動) || 이지용, 조은아 || [[https://youtu.be/3xvUqsBSMl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9 ||<-2> 安 - 태평가 (太平歌) || 이지용, 조은아 || [[https://youtu.be/Sc4DYgqrc1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0 ||<-2> 哀 - 이 비가 그치면 || 이지용 || [[https://youtu.be/-665e4jhoH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1 ||<-2> 殘 - 붉은 달 (赤月) || 이지용, 최재우 || [[https://youtu.be/6evsnhpOoT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2 ||<-2> 覺 - 폭풍 속으로 || 이지용, 최재우 || [[https://youtu.be/1xvu6dQDvT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3 ||<-2> 忍 - 바람이라면 || 이지용 || [[https://youtu.be/_iGng3imM-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4 ||<-2> 孤 - 이제 어디로 || 이지용 || [[https://youtu.be/HgHcSJLHnP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5 ||<-2> 憬 - 단 하루만 || 이지용, 이유희 || [[https://youtu.be/3dUUXyLYuG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6 ||<-2> 希 - 희망가 (希望歌) || 이지용, 이유희 || || == 시청률 == * '''굵은 글자'''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합니다. * 시청률 제공: [[http://www.agbnielsen.co.kr/|닐슨코리아]] ||
{{{#fff '''회차'''}}} || {{{#fff '''방영일자'''}}} || {{{#fff '''닐슨(전국)'''}}} || {{{#fff '''변동'''}}} || {{{#fff '''닐슨(수도권)'''}}} || {{{#fff '''변동'''}}} || || '''1회''' || 2014년 06월 25일 || 8.4% || - || 8.8% || - || || '''2회''' || 2014년 06월 26일 || 8.0% || {{{#blue 0.4%▼}}} || 8.6% || {{{#blue 0.2%▼}}} || || '''3회''' || 2014년 07월 02일 || 8.0% || - || 8.3% || {{{#blue 0.3%▼}}} || || '''4회''' || 2014년 07월 03일 || 8.7% || {{{#red 0.7%▲}}} || 9.4% || {{{#red 1.1%▲}}} || || '''5회''' || 2014년 07월 09일 || 9.9% || {{{#red 0.2%▲}}} || 9.6% || {{{#red 0.2%▲}}} || || '''6회''' || 2014년 07월 10일 || 10.5% || {{{#red 0.6%▲}}} || 10.6% || {{{#blue 1.0%▼}}} || || '''7회''' || 2014년 07월 16일 || 10.2% || {{{#blue 0.3%▼}}} || 11.1% || {{{#red 0.5%▲}}} || || '''8회''' || 2014년 07월 17일 || 10.6% || {{{#red 0.8%▲}}} || 12.1% || {{{#red 1.0%▲}}} || || '''스폐셜'''[* 1화부터 8화 까지의 내용을 140분 으로 압축하여 방송 하였다.] || 2014년 07월 19일 || 4.3% || - || - || - || || '''9회''' || 2014년 07월 23일 || 11.6% || {{{#red 1.0%▲}}} || 12.4% || {{{#red 0.3%▲}}} || || '''10회''' || 2014년 07월 24일 || 11.9% || {{{#red 0.3%▲}}} || 12.2% || {{{#blue 0.2%▼}}} || || '''11회''' || 2014년 07월 30일 || 11.2% || {{{#blue 0.7%▼}}} || 12.1% || {{{#blue 0.1%▼}}} || || '''12회''' || 2014년 07월 31일 || 11.7% || {{{#red 0.5%▲}}} || 12.8% || {{{#red 0.7%▲}}} || || '''13회''' || 2014년 08월 06일 || 10.5% || {{{#blue 1.2%▼}}} || 11.5% || {{{#blue 0.7%▼}}} || || '''14회''' || 2014년 08월 07일 || 12.2% || {{{#red 1.7%▲}}} || '''13.1'''% || {{{#red 1.6%▲}}} || || '''15회''' || 2014년 08월 13일 || 11.1% || {{{#blue 1.1%▼}}} || 11.3% || {{{#blue 1.8%▼}}} || || '''16회''' || 2014년 08월 14일 || 11.0% || {{{#blue 0.1%▼}}} || 10.7% || {{{#blue 0.6%▼}}} || || '''17회''' || 2014년 08월 20일 || 11.1% || {{{#red 0.1%▲}}} || 11.4% || {{{#red 0.7%▲}}} || || '''18회''' || 2014년 08월 21일 || 11.7% || {{{#red 0.6%▲}}} || 11.9% || {{{#red 0.5%▲}}} || || '''19회''' || 2014년 08월 27일 || 10.8% || {{{#blue 0.9%▼}}} || 11.7% || {{{#blue 0.2%▼}}} || || '''20회''' || 2014년 08월 28일 || 11.5% || {{{#red 0.7%▲}}} || 12.5% || {{{#red 0.8%▲}}} || || '''21회''' || 2014년 09월 03일 || 11.8% || {{{#red 0.3%▲}}} || 12.0% || {{{#blue 0.5%▼}}} || || '''22회''' || 2014년 09월 04일 || '''12.8'''% || {{{#red 1.0%▲}}} || 13.0% || {{{#red 1.0%▲}}} || * 2014년 8월 4일 조선 총잡이 방영 분량이 20부작에서 2회 연장되어 22부작으로 확정되었다. == 수상 내역 == ||
{{{#fff '''연도'''}}} || {{{#fff '''시상식'''}}} || {{{#fff '''부문'''}}} || {{{#fff '''수상자'''}}} || ||<|4> 2014년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글로벌 배우상 || [[오타니 료헤이]] || ||<|3> [[KBS 연기대상]] || 베스트 커플상 || [[이준기]], [[남상미]] || || 중편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 || [[이준기]] || || 중편드라마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 || [[남상미]] || ||<|3> 2015년 || 휴스턴 국제 영화제 || TV 미니시리즈 부문 금상 ||<|2> [[조선 총잡이]] || ||<|2> 서울 드라마 어워즈 || 한류드라마 우수 작품상 || || 한류드라마 남자배우상 || [[이준기]] || == [[조선 총잡이/탐구|탐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선 총잡이/탐구)] == 여담 == * [[KBS 월드]] 유튜브에 1회부터 22회까지 전 회차가 무료로 풀렸다.[* [[https://youtu.be/xgsam4vD5a8|1회분.]]] * 차영훈 감독은 1화에 [[https://m.dcinside.com/board/gunman/60655|카메오]]로 출연했다. * 2008년도 [[이준기]]가 주연을 한 [[SBS]]의 전 [[드라마#s-2|드라마]] [[일지매(2008년 드라마)|일지매]]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일지매/조선 총잡이) 주인공 아버지는 어떤 인물에 의해 죽임을 당한 후 주인공의 아버지는 대역죄인으로 몰린다.(이원호/박진한) 집안이 멸문한 후 주인공은 어떻게 도망을 치지만 여자 형제들은 관노로 끌려 간다.(이연/박연하) 주인공은 신분을 바꾸고 일단 자기 여자 형제를 찾기위해, 그리고 아버지를 죽인 원수를 찾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한다. 주인공의 연인은 주인공이 죽은줄로만 알고 있었다.(변은채/정수인) 다른 부분도 분명히 존재한다. 일지매에서는 연이를 구출하지도 못하고 연이는 결국 사형을 당하지만 조선 총잡이에서의 연하는 어떻게든 구출 되었다는 점, 일지매에서는 임금이 직접 주인공의 아버지를 죽이고 대역죄인으로 몰아갔지만 조선 총잡이에서는 주인공 아버지를 죽이고 대역 죄인으로 몰아간 것은 임금이 아니라 세도가들이라는 것등 다른 부분도 있다. * 이준기, 남상미가 2007년에 출연했던 드라마인 '[[개와 늑대의 시간(드라마)|개와 늑대의 시간]]'의 경우도 어느정도 유사한 스토리를 지닌다. 개늑시의 경우 주인공이 절친한 친구이자 라이벌의 집에 맡겨지고, 조총의 경우는 연인의 집에 맡겨진다던지 하는 내용인데...그것보다는 개늑시에서 남상미의 아버지로 출연한 최재성이 조총에서는 이준기의 아버지로 출연한 점이 흥미롭다. * 마지막화인 22회 끝부분에, 민병대를 이끌고 [[조병갑]]을 처단하러 가는 장면이 있다. 이게 왜 문제가 되냐면, 조병갑을 처단하려 봉기를 일으킨 사람이 바로 [[전봉준]]이기 때문이다![[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072|#]] 박윤강=한조=전봉준(...) --신분세탁의 달인-- * 잘 보면 주요 총격전들은 하나같이 권총의 유효사거리인 20m가 넘지 않아 보이는 근접전이다. 연사가 가능한 [[리볼버]]가 훨씬 더 유리해 보이는데 가네마루가 죽는 총격전 등을 빼고는 다들 꿋꿋이 라이플로 볼트랑 레버 땡기며 한발씩 장전하고 있다. 거기다 그 가까운 거리에서 라이플로 쏘는 총알들을 맞추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방향이 맞아도 체술로 피한다... * [[일본]]에서는 2015년 1월 27일 위성극장에서 방영하였으며, 일본판 타이틀은 [[https://youtu.be/P6lOt2IoKwU|조선 건맨(朝鮮ガンマン)]]. * 이 드라마를 쓴 이정우 작가와 한희정 작가는 각각 [[태종 이방원(드라마)|태종 이방원]]과 [[연모]]를 단독으로 집필하는데 [[연모]]는 퓨전사극이고 [[태종 이방원(드라마)|태종 이방원]]은 정통대하사극이다. 결론적으로 두 작품 다 성공했고, 주인공을 맡은 [[박은빈|두]] [[주상욱|배우]]들은 KBS 연기대상에서 각각 최우수상, 대상을 거머쥐게 되었다. [[분류:조선 총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