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조(춘추시대) 군주)] ||<-3> '''{{{#ece5b6 조(曹)나라 18대 국군[br]{{{+1 선공}}}[br] 宣公}}}''' || ||<-2> '''[[성씨|{{{#ece5b6 성}}}]]''' || 희(姬) || ||<-2> '''[[본관|{{{#ece5b6 씨}}}]]''' || 조(曹) || ||<-2> '''[[휘|{{{#ece5b6 휘}}}]]''' || 려(廬), 강(彊) || ||<-2> '''{{{#ece5b6 아버지}}}''' || [[조문공]](曹文公) 희수(姬壽)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578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594년 ~ 기원전 57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조나라|조(曹)나라]]의 제18대 [[군주]]. [[조공공]]의 아들. [[조성공]]의 아버지. == 생애 == 조선공 3년(기원전 592년), [[노선공]], [[경공(진)|진경공]](晉景公), [[위목공]], 조선공, 주정공이 회맹했다. 조선공 6년(기원전 589년), 6월 17일 계손행보, 장손허, 숙손교여, 공손영제와 [[진(춘추오패)|진(晉)나라]]의 극극(郤克), 위나라의 손량부, 조나라 공자 수는 제나라에 이르러 안땅에서 교전해 제군에게 패했다. 10월 1일 노선공은 [[초(춘추전국시대)|초(楚)나라]] 공자 영제와 회맹했다. 12일, 노선공은 초나라, [[진(통일왕조)|진(秦)나라]], [[송(춘추전국시대)|송(宋)나라]], [[진(춘추전국시대)|진(陳)나라]], [[위(춘추전국시대)|위(衛)나라]], [[정나라]], [[제(춘추전국시대)|제(齊)나라]], [[주나라|주(邾)나라]], 설나라, 종나라와 촉 땅에서 회맹했다. 조선공 7년(기원전 588년), 정월, [[노성공]]은 진경공, [[송공공]], [[위정공]], 조선공과 정나라를 쳤다. 조선공 9년(기원전 586년), 2월 22일, 노성공은 진경공, [[제경공(23대)|제경공]](齊頃公), 송공공, 위정공, [[정도공]], 조선공, 주정공, 기환공과 종리에서 회맹했다. 조선공 11년(기원전 584년), 5월 조선공은 노나라를 방문했다. 가을, 초나라 공자 영제가 정나라를 쳤다. [[노성공]], 진경공, 제경공, 송공공. 위정공, 조선공, 거거구공(莒渠丘公), 주정공, 기환공이 정나라를 구하기 위해 회합했다. 8월 11일 마릉에서 동맹을 맺었다. 조선공 13년(기원전 582년), 노성공은 진경공, 제경공, 송공공, 위정공, [[정성공]], 조선공, 거거구공, 기환공이 표 땅에서 회맹했다. 이를 마릉의 회맹이라 했다. 조선공 14년(기원전 581년), 5월 노 성공은 [[진여공]], [[제영공]], 위정공, 조선공이 정나라를 쳤다. 조선공 17년(기원전 578년), 여름 5월, 노성공이 경사에서 진여공, 제영공, 송공공, 위정공, 정성공, 조선공, 주정공, 등문공과 함께 진(秦)나라를 쳤다. 이 때 조선공이 죽고 그 아들인 희부추가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조성공]]이다. [[분류:조(曹)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57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