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물감, rd1=조소냐)] [include(틀:진(희성)의 정경)] [include(틀:역대 조(전국시대) 군주)] |||||| '''{{{#ece5b6 조(趙)씨 가문 7대 종주[br]{{{+1 선자}}}[br]宣子}}}''' || |||| '''[[성씨|{{{#ece5b6 성}}}]]''' ||영(嬴) || |||| '''[[본관|{{{#ece5b6 씨}}}]]''' ||조(趙) || |||| '''[[휘|{{{#ece5b6 휘}}}]]''' ||돈(盾) || |||| '''{{{#ece5b6 아버지}}}''' ||[[조성자]](趙成子) 조최(趙衰)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601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621년 ~ 기원전 607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춘추시대]] [[진(희성)|진(晉)나라]]의 경(卿)이자 조씨 가문 7대 종주. [[조성자|조최]](趙衰)의 아들. [[조장자|조삭]](趙朔)의 아버지. 조성자 조최의 뒤를 이어 조씨를 키우는데 큰 역할을 했다. 시호가 선이라 그가 죽은 뒤에 선맹이라고 불렀다. [[진양공]](晉襄公), [[진영공]](晉靈公), [[진성공]](晉成公)을 섬겼다. == 생애 == 그는 조최와 숙외 사이에서 난 아들이다. 조최는 본디 아내가 있었으므로 [[서자]]였으나 능력을 인정받아 조최의 후계자가 될 수 있었다.[* 비슷한 사례로 조돈의 후손인 [[조간자]]가 자신의 [[서자]]인 [[조양자]]에게 뒤를 잇게 한 것이 있다.] [[진양공]] 시대에 조최의 부하이던 양처보의 추천을 받아 중군장이 되면서 권세가 강대해졌다. 이후 성계(조최의 시호)에 이어 국정을 다스리는 위치에 있게 되었다. 진양공이 사망하자 중신들 사이에서 어린 태자 이고와 진양공의 동생 옹 중 누가 공위를 이어야 하는 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다. 조돈은 공자 옹의 즉위를 주장했으나, 태후가 울면서 설득한 끝에 결국 태자 이고가 공위에 등극하니 이 사람이 [[진영공]]이다. 어린 진영공을 대신해 섭정으로 활동하게 된다. 조돈의 기본적인 철학은 엄격한 법 적용이었다. 백성들이 아버지와 비교하기를 "조성자는 겨울의 태양이요, 조선자는 여름의 태양이다." 라고 했다. 즉, 지나치게 강하게 법을 적용한다고 돌려깐 셈. 이에 대해 불만을 가진 사람이 많았으나, 스스로 엄격한 생활을 하는 모습을 보이며 반대 여론을 무마시킬 수 있었다. 진영공은 자라면서 포악해져 곰발바닥 요리가 덜 익었다는 이유로 궁중 요리사를 죽이고, 그의 아내에게 광주리에 담아 가도록 했다. 이를 발견하고 간언을 하자 진영공은 앙심을 품고 서예(鉏麑)를 보내 그를 암살하려 했지만, 서예는 조돈의 인격을 보자 '못 죽이겠다'며 자결했다. 진영공은 잔치를 연 뒤 군사를 숨긴 다음 잔치 중에 살해하고자 했으나, 조돈의 부하 시미명(提彌明)이란 자가 이를 알아채고 핑계를 대며 조돈을 당상에서 끌어내렸다. 그러자 진영공은 키우던 개를 보내 공격하고자 했지만 시미명이 개를 때려잡는 통에 실패했다. 결국 진영공은 조돈의 종제인 조천에게 살해당하게 된다. 조돈은 조천을 벌하지 않았기 때문에 진영공의 살해를 사주한 인물이라는 의혹을 샀다. 사관인 동호는 대놓고 '''조돈이 임금을 죽였다'''(趙盾弑其君)고 사초에 썼다. 이에 대해 암살범은 조천이고, 범행 현장에 있지도 않았던 자신이 어떻게 진영공을 살해한 범인일 수 있냐고 항의하자 동호는 '집정의 신분으로 왕이 죽을 때 국내에 있었고, 돌아와서도 조천을 벌하지 않았는데, 어찌 범인이 아니라 할 수 있겠냐'고 말해 더 이상 반론을 제기하지 못했다. 조돈은 진양공의 동생 흑둔을 모셔와 공위에 세우니 이 사람이 바로 [[진성공]]이다. 조돈은 진성공의 재위 기간 동안에도 집정으로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분류:춘추전국시대의 재상]][[분류:조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60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