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은행]][[분류:일제강점기]][[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2> {{{#ffffff '''{{{+2 조선저축은행}}}'''[br]'''朝鮮貯蓄銀行'''}}} || ||<-2><:>[[파일:조선저축은행 회사조합요록.jpg|width=350]][br]{{{-1 {{{#000 1939년에 제작한 조선저축은행 《조선은행회사조합요록》[*A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mjs1516&logNo=221301288843|사진 출처.]]]}}}}}} || || {{{#ffffff '''사명'''}}} || 조선저축은행 || || {{{#ffffff '''설립일'''}}} || [[1929년]] [[7월 1일]] || || {{{#ffffff '''위치'''}}} || [[경기도]] [[경성부]] 본정1정목 [br](현재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남대문로]] 42,[br]구 주소 [[충무로]]1가 53-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선저축은행 사옥.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선저축은행 사옥2.jpg|width=100%]]}}} || || {{{#fff ''' 일제강점기 조선저축은행 사옥[*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mjs1516&logNo=221301288843|첫 번째 사진 출처.]][br][[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currentPage=2&type=D&type2=&arcvGroupNo=2866&lowerArcvGroupNo=&arcvMetaSeq=25134&arcvNo=74635&realArcvGroupNo=2866&searchVal=|두 번째 사진 출처 - 서울역사아카이브.]]]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조선]]의 저축은행. 현재 [[SC제일은행]]의 전신이다. == 역사 == 1928년에 [[조선총독부]]에서 제정한 〈저축은행령〉에 의거하여 1929년 6월에 창립했다. 이는 한반도 역사상 최초의 예금 전담 은행이었다. 그러나 조선식산은행의 저축예금 업무를 승계한 태생적 한계 상 자연스레 [[일본인]]과 일본 자본을 중심으로 운용되었다. 창립 기준으로, 주식의 40%가 조선식산은행의 소유였으며, 나머지도 일본 측 회사의 몫이었고 조선 계열로는 조선신탁 딱 한 군데 뿐이었다. 1936년 당시 자본금은 총 500만 원이었고 불입제자본금은 250만 원이었으며 대출금은 약 2,233만 여 원이었다. 본사는 [[경기도]] [[경성부]] 본정1정목(현재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남대문로]] 42)에 있었으며, 이밖에도 [[부산광역시|부산]], [[평양시|평양]], [[인천광역시|인천]], [[목포시|목포]], [[여수시|여수]], [[함흥시|함흥]] 등 조선 각지에 지점과 대리점, 파출소를 두었다. 1937년에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일본 제국|일제]]는 전시체제에 맞게 경제를 통제했고, 조선저축은행은 이에 맞춰 군수 관련 사업의 자금 지원에 주력했다. [[8.15 광복]] 후에도 남아있었으나 [[남북분단]]으로 인해 [[북한]] 지역의 지점과 대리점을 상실했다. 1946년에는 [[시중은행]]으로 전환했고, 1950년에는 ‘한국저축은행(韓國貯蓄銀行)’으로 개명했으며, 삼호방직이 정부 지분을 불하받은 1958년에는 다시 '(주)제일은행'으로 다시 재개명했다. 이후 역사는 [[SC제일은행]] 문서 참조. == 건물 == === 본점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70호 ||<|2> ← || '''71호''' ||<|2> → || 72호 || || [[이상길(1556)#s-5|충숙공 이상길 묘역]] || '''옛 제일은행 본점''' || [[서울숲#s-4.3.1|뚝도수원지 제1정수장]]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1호}}}]]''' || ||<-2> {{{#fff {{{+1 '''옛 제일은행 본점'''}}}[br]{{{-1 옛 第一銀行 本店}}}}}}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42,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남대문로]] 42[br]([[충무로]]1가 53-1, SC제일은행 제일지점) || || '''{{{#fff 시대}}}''' || [[일제강점기]]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 근대산업생산 / 금융업 || || '''{{{#fff 수량 / 면적}}}''' || 건물 1棟, 토지 1,246.9㎡ || || '''{{{#fff 지정연도}}}''' || [[1989년]] [[5월 30일]]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신세계그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280.photobucket.com/2015-06-02-16-02-15_photo_zpsqyugz32g.jpg|width=100%]]}}} || || {{{#fff ''' SC제일은행 제일지점으로 쓰이던 옛 조선저축은행 사옥 '''}}} || [clearfix] ---- 조선저축은행의 본점이었던 건물이다. 건립 계획은 1931년에 수립했고, 설계는 건축가들의 공모를 받아 진행했다. 1933년에 착공하여 1935년에 완공했으며, 공사 기간 동안 조선저축은행 측에서는 조선식산은행의 사옥 일부를 빌려 사용했다. [[8.15 광복]] 후에도 계속 [[은행]]으로 쓰였다. [[6.25 전쟁]] 때에도 무사했고, 이후로도 큰 변화 없이 남아있었다. 1987년에는 여기에 있던 제일은행 본점이 [[종로구]] [[공평동]]으로 옮겨갔고 구 본점은 제일지점으로 바뀌었다. 1989년 5월에는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받았다. 2010년에는 한국스탠다드차타드제일은행 측에서 3개월 동안 약 50억 원을 들여 1935년 당시 모습으로 [[리모델링]]했을 정도로 애지중지해 왔다. 그러나 [[SC제일은행]] 측에서 2015년 2월에 [[신세계그룹]]에 매각했고, 이곳에 있던 SC제일은행 제일지점은 2018년 12월에 바로 옆에 있는 [[신세계백화점 본점]] 신관의 건너편에 있는 메사빌딩으로 이전했다. 2019년 신세계그룹 측은 옛 제일은행 제일지점 건물을 신세계 상업사 박물관으로 바꾸어 개장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https://www.yna.co.kr/view/AKR20190604173451005|#]] 지하 1층, 지상 5층으로, 뼈대는 철골과 철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한국의 은행 건물로는 처음이다. 외부 마감재는 [[화강암]]이다. 건물 양식은 [[바로크|네오바로크]] 식으로 거대하면서도 안정적인 느낌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 중역 사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R20180801153000005_02_i_P4.jpg|width=100%]]}}} || || {{{#fff '''선원전 터에 들어선 조선저축은행 중역 사택'''}}} || ---- 1938년 7월에 직원들의 숙소로 지었다. 지하 1층에 지상 2층으로, 연면적은 465㎡(약 140여 평)이다. 건축 양식은 [[양식|서양식]]과 [[일식|일본식]]이 섞여있다. 원래 [[덕수궁 선원전]]이 있던 터를 훼손하고 지은 것으로, [[8.15 광복]] 후에는 [[주한미국대사관]]에서 소유하면서 부대사 관저 및 직원 숙소로 사용했다. 2003년 6월 미국대사관 기숙사 건립을 위해 문화재 지표 조사를 하던 도중 덕수궁 선원전 유구를 확인했다. 이에 한국과 미국은 선원전 터를 용산구 미군기지 내 부지와 맞교환하기로 합의하여 2011년 다시 한국의 소유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덕수궁 선원전]]을 복원하기 위해 애당초 이 건물을 헐려고 했으나, 2030년까지 덕수궁의 수난사 및 선원전을 설명하는 전시관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정동에 있는 '고종의 길' 권역으로 들어가면 이 건물을 볼 수 있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C제일은행, version=1297, title2=덕수궁 선원전, version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