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워싱턴 내셔널스/로스터)] ---- ||
'''{{{#FFFFFF 조시아 그레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41번}}}''' || || [[네이트 존스]][br](2021) || {{{+1 →}}} || '''{{{#005A9C,#62BCFF 조시아 그레이[br](2021)}}}''' || {{{+1 →}}} || [[케빈 쿼큰부시]][br](2021) || ||<-5> '''{{{#FFFFFF [[워싱턴 내셔널스|'''{{{#FFFFFF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40번}}}''' || || [[켈빈 에레라]][br](2018) || {{{+1 →}}} || '''{{{#FFFFFF 조시아 그레이[br](2021~)}}}'''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내셔널스그레이.webp|width=100%]]}}} || ||<-2> '''워싱턴 내셔널스 No.40''' || ||<-2> '''{{{+2 조시아 그레이}}}[br]Josiah Gray''' || ||<|2> '''출생''' ||[[1997년]] [[12월 21일]] ([age(1997-12-21)]세) || ||[[뉴욕주|뉴욕 주]] 뉴로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르모인 칼리지 || || '''신체''' ||185cm, 86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8 MLB 신인드래프트#s-3|2018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72번, [[신시내티 레즈|CIN]]) || ||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1)[br]'''[[워싱턴 내셔널스]] (2021~)''' || || '''계약''' ||1yr / $730,000 || || '''연봉''' ||2023 / $73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워싱턴 내셔널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A 다저스 조시아 그레이.jpg|width=100%]]}}}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서 2021년에 선발 데뷔를 가졌고, 데드라인 막판에 [[맥스 슈어저]], [[트레이 터너]]를 상대로 내셔널스로 건너가게 되었다. === [[워싱턴 내셔널스]] === ==== 2021 시즌 ==== [[워싱턴 내셔널스]] 이적 후 첫 등판이었던 2021년 8월 2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에서 5이닝 4피안타 2K 1실점을 노 디시전을 기록했다. 팀은 3:2로 앞서던 상황에서 불펜진이 9회에만 5실점으로 불을 거하게 지르면서 7:5로 패배. 8월 7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원정으로 치러진 두 번째 등판 경기에서 5이닝 4피안타 2실점 1자책 10K 노 디시전을 기록하며 기대치를 한껏 높였고, 팀은 [[라일리 애덤스]]의 역전 결승 2점 홈런으로 3:2로 역전승을 거뒀다. 8월 13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홈 경기에서는 6이닝 5피안타 3실점 3피홈런 3자책으로 이적 후 첫 QS를 기록했지만 팀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2:4로 패하면서 이적 후 첫 패전투수가 되고 말았다. 8월 18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홈 경기에서는 6이닝 5피안타 2피홈런 2실점으로 다시 한 번 QS를 기록했다. 비록 불펜의 방화로 인해 승이 날아갔지만, 이후에 토론토도 [[브래드 핸드]]가 바로 거하게 불을 지르면서 팀이 승리를 거둔 덕분에 시리즈 스윕에 성공했다. 아직도 선발승을 못 챙긴 것이 두고두고 아쉬운 점. 8월 현 시점까지는 이적하자마자 핵심 주축이 거의 다 빠진 내셔널스의 선발 로테이션을 먹여살리는 고독한 에이스의 역할을 열심히 수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적하자마자 내셔널스 팬들의 사랑을 듬뿍 받는 중. ==== 2022 시즌 ==== 4월 19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홈경기에서 5⅓이닝 8K 1피홈런 1실점으로 승리를 거뒀다. 피홈런은 3회초 2아웃 상황에서 [[돌튼 바쇼]]에게 허용한 솔로홈런. ==== 2023 시즌 ==== 전반기가 슬슬 종료되는 가운데 워싱턴 내셔널스의 새 에이스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잘 던져주고 있다. 팀이 리빌딩 중이라 수비도움 등이 불안함에도 3.00을 찍는 것 자체가 대단한 것이다. 이렇게 이닝을 먹어주면서 일명 탱킹장군이라 불리는 [[패트릭 코빈]] - 조시아 그레이 - [[맥켄지 고어]] 라는 선발 라인을 만들었다. 현재 성적이라면 최소한 감독 추천으로 올스타전 출전도 노려볼 수 있는 상황이다. 7월 2일 예상대로 올스타전 명단에 선발되었다. == 피칭 스타일 == 평균 94마일의 패스트볼과 커브를 주로 던지며 종종 슬라이더도 구사한다. == 수상 내역 == * 올스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조시아 그레이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워싱턴 내셔널스|WSH]] || 14 || 2 || 2 || 0 || 0 || 70⅔ || 5.48 || 63 || 19 || 33 || 2 || 76 || 1.358 || 75 || 0.0 || -0.2 || || 2022 ||<|2> [[워싱턴 내셔널스|WSH]] || 28 || 7 || 10 || 0 || 0 || 148⅔ || 5.02 || 136 || 38 || 66 || 8 || 154 || 1.359 || 78 || -0.7 || 0.5 || || 2023 || 30 || 8 || 13 || 0 || 0 || 159 || 3.91 || 152 || 22 || 80 || 9 || 143 || 1.459 || 110 || 1.6 || 3.1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3시즌) || 72 || 17 || 25 || 0 || 0 || 378⅓ || 4.64 || 351 || 79 || 179 || 19 || 373 || 1.401 || 89 || 1.0 || 3.4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7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뉴로셀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워싱턴 내셔널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