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용필의 음반 목록)] ||<-2><#999d86> '''{{{+2 {{{#!html 趙容弼}}} {{{#!html 1집}}}}}}'''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돌아와요 조용필에.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커버 뒷면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126040_b_2.jpg|width=100%]]}}}}}}}}} || || '''발매일''' ||[[1980년]] [[3월 20일]] || || '''장르''' ||[[트로트]], [[뉴웨이브(음악)|뉴웨이브]], [[사이키델릭 록]], [[국악]] || || '''재생 시간''' ||37:18 || || '''곡 수''' ||11곡 || || '''발매사''' ||[[지구레코드]] || || '''타이틀 곡''' ||[[창밖의 여자]][* 타이틀 곡 외에도 "[[돌아와요 부산항에]], "[[단발머리(조용필)|단발머리]]", "한오백년" 등이 히트를 쳤다.] || [include(틀: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순위=41,연도=1998,순위2=29,연도2=2007,순위3=55,연도3=2018)] [include(틀:이즘 선정 명반)]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조용필 대표곡 모음)] [목차][clearfix] == 개요 == || [youtube(ZQoi_Jk0Dhw)] || || <창밖의 여자> || [[1980년]] 발매된 [[조용필]]의 정규 1집 음반. == 상세 == 이전에도 음악활동을 해왔고 솔로로 음반을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2275064|여러]]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4856|장]] 낸 바 있기 때문에[* 두 번째 링크에 걸린 음반은 조용필이 서라벌 레코드를 통해 낸 음반 3장의 수록곡들을 추려 1장 분량으로 1984년에 재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지구레코드 이전 조용필이 녹음한 음반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조하면 좋다. [[http://www.weiv.co.kr/archives/9684|1]], [[http://www.weiv.co.kr/archives/9668|2]], [[http://www.weiv.co.kr/archives/9674|3]], [[http://www.weiv.co.kr/archives/9678|4]], [[http://www.weiv.co.kr/archives/9681|5]]. 이 중 2번인 스테레오 힛트 앨범 제 1집은 비타민에서 재발매가 되었다.], 엄밀히 말하면 조용필 음악 커리어에서 데뷔작이라기보다 '''"[[지구레코드]]" 음반사에서의 첫 앨범'''이라 말할 수 있다. 대마초 파동으로 활동을 중단한 이후, 수년만에 복귀하며 준비한 '''야심의 컴백작''' 성격이 강하다. 때문에 기존 히트곡들(돌아와요 부산항에, 너무 짧아요 등)도 약간의 편곡을 거쳐 수록되어 있으나, 무엇보다 조용필 스스로가 이 앨범을 자신의 정식 정규 음반으로 정의하고 카운팅하였다. 조용필 본인은 이전의 음반들은 습작의 성격이 강해 공식적인 발표작으로 취급하기에는 부끄러움이 많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 [youtube(nCiebRblHAI)] || [youtube(EkD4N_aLUNo)] || || <돌아와요 부산항에> (1집 재편곡 버전) || <단발머리> || 조용필의 출세작이자 한국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 히트곡 중 하나인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재수록되었는데 Funk/Disco풍으로 편곡되었다. 물론 오리지널 곡들의 커다란 성공도 빼놓을 수 없다. 타이틀곡인 "[[창밖의 여자]]"는 드라마를 위해 작곡되어 79년에 먼저 발표되었지만 위 음반에 최초로 수록되었기 때문에 오리지널 곡으로 간주된다. 조용필은 당시 서양에서도 상당히 마이너했던 실험음악과 인디음악부터 빌보드 히트송까지 세계적인 조류를 놓치지 않고 모조리 흡수하며 신작을 구상했던 것으로 보인다. [[신시사이저]] 사운드의 도입과, 느리면서 중후한 [[블루스 록]] 스타일의 일렉트릭 기타 솔로 삽입[* 1절의 녹음을 막 마친 후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녹음이 중단되어 2절 전반부에 일렉트릭 기타 솔로를 땜방으로 넣었다고 한다.] 등으로 신선함을 가미시켜 폭발적 인기를 얻었다. 절차탁마하여 갈고닦은 가창력만으로도 크게 화제가 되는 상황이었으나, 발라드에 [[전자음악]]과 록 음악을 접목시키는 등 혁신적 시도를 함으로서 동시에 음악적인 성공까지 거머쥐었다. 또 하나의 히트곡은 지금도 자주 불리는 "[[단발머리(조용필)|단발머리]]"다. 경쾌한 멜로디에 독특한 리듬과 코드웍이 청취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다. 지금 들어도 충분히 센세이셔널한 "뿅뿅뿅" 소리의 신시사이저 편곡도 인기를 끄는데 한 몫을 했으며 조용필의 가창 역시 대단히 파격적이었다. 당시 서구 기준으로도 아주 트렌디한 음악이다. 당시에 이 앨범의 1면에 첫곡으로 수록된 <창밖의 여자> 가 유수의 가요 프로그램에서 수주 동안 1위를 한 후, 2면의 첫곡인 <단발머리>가 바로 뒤를 이어서 몇 주 간 또 1위를 하는, 한 앨범에서 1위가 2곡이 나오는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민요를 리메이크한 "한오백년"도 상당히 유명하다. "대전 블루스"도 리메이크하여 수록되어있다. 록, 트로트, 발라드 등 여러 장르를 소화하는 가왕의 위엄을 느낄 수 있으며 조용필 전성기의 시작인 동시에 조용필을 대표하는 음반이다. == 전국적 히트 == || [youtube(1ix6YpJYgT8)] || || <정, 돌아오지 않는 강, 돌아와요 부산항에, 님이여[* 이 곡은 후에 3집에 수록된다]> 메들리 영상 || 1집이 발매된 [[1980년]]의 상황을 볼 수 있는 영상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XWmjYPwQ424|외부에서의 영상 재생이 불가능한 관계로 링크로 대체한다.]] 수록곡 대다수가 전국적 히트를 치면서, 조용필은 전국적인 인기 가수의 반열에 올라서게 된다. 물론 이후의 음악 활동도 매우 중요하지만 조용필이 "국민 가수"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결정적 요인이 위 작품의 커다란 성공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1980년]]도의 전체 음반 판매량에서 '''50%''' 가량을 차지했다고 한다.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최초로 판매량 100만장을 돌파하며 밀리언 셀러 시대를 연 작품이기도 하다. 한편 1980년은 대한민국에 컬러 TV 방송이 시작되던 시점이었다. 조용필의 전 국민적 인기를 가능케 한 원인으로 컬러 TV 방송의 도입을 드는 연구사례도 적지 않다. == 위대한 탄생 1기 == * 리드기타 : [[곽경욱]] * 베이스 : [[김택환(음악가)|김택환]] * 기타 : [[김정수(가수)|김정수]] * 키보드 : [[김청산(음악가)|김청산]], [[이호준(음악가)|이호준]](객원) * 드럼 : [[이건태(음악가)|이건태]] == LP 버전 수록곡 == || {{{#89764A '''트랙'''}}} || {{{#89764A '''제목'''}}} || {{{#89764A '''작사'''}}} || {{{#89764A '''작곡'''}}} || {{{#89764A '''재생 시간'''}}} || ||<-5> {{{#0b5288 '''Side A''' }}} || || '''1''' || '''[[창밖의 여자]]'''[* 1979년에 발표한 곡이지만 1980년 당시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한 전자 음악의 영향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사이키델릭 록]]과 한국적 멜로디를 결합했으며 리듬과 기타 솔로에서는 [[블루스 록]]의 향취를 느낄 수 있다.] || 배명숙 || [[조용필]] || 3:52 || || '''2''' || '''[[돌아와요 부산항에]]'''[* 본래는 1970년에 김해일이 부른 "돌아와요 [[통영시|충무항]]에"가 원곡이나 김해일이 이듬해 [[대연각호텔 화재]]로 사망하고 작곡자 황선우가 가사 등을 고쳐서 "돌아와요 부산항에"라는 곡으로 조용필의 음반으로 1972년 취입했다. 1976년 서라벌 레코드로 발표한 버전이 크게 히트를 쳤으나, [[대마초]] 파동으로 조용필은 한동안 음악 활동을 중단해야 했고, 본작에서 다시 한 번 셀프 리메이크를 하였다. 즉 정규 1집에 실린 버전은 세 번째 버전이다.] || 황선우 || 황선우 || 3:25 || || '''3''' || '''잊혀진 사랑'''[* 다른 쟁쟁한 곡에 묻혀서 그렇지 꽤 히트를 쳤던 곡으로 최근 콘서트에서도 애창하는 곡이다.] || 김중순 || [[김희갑(음악인)|김희갑]] || 3:14 || || '''4''' || 돌아오지 않는 강[* 서라벌 레코드 시절 발매했던 곡을 셀프 리메이크 하였다.] || 임택수 || 임택수 || 3:37 || || '''5''' || 정[* 오리지널 가수는 방주연이다. 1970년에 '아씨'라는 [[동양방송|TBC]] 드라마가 [[이미자]]의 주제가에 힘입어 공전의 시청률을 기록했는데, 이에 경쟁사 [[MBC]]는 1971년 [[시대극]] <정>을 기획하게 된다. 주제가에도 공을 들여서 곡을 완성한 후 [[김상희]] 등 10여 명의 인기가수들에 경합을 붙인다. 투표를 통해 방주연이 최종 선정되었고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주제가도 동반 히트했다. 서라벌 레코드 시절 발매했던 곡을 셀프 리메이크를 하였다.] || 조남사 || 김학송 || 2:39 || || '''6''' ||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1977년]]에 [[이은하]]가 발표한 히트곡이었지만 1979년에 조용필이 다시 불러서 사랑을 받았다. 사실 원곡은 1971년 발표한 [[나훈아]]의 <[[https://www.youtube.com/watch?v=JS9Bwhb5luc|마지막 한마디]]>다. 당시는 [[새마을운동]]이 한창 전개되었던 시절이라 정부의 시책에 의해 [[개소리|사기를 저하시키는 슬픈 노래들]]은 방송 금지곡이 되었다. 그런 분위기에 휩쓸려 나훈아의 원곡은 대중에게 전혀 알려지지 못했다.] || 오사랑 || 허영철 || 3:08 || ||<-5> {{{#0b5288 '''Side B''' }}} || || '''7''' || '''[[단발머리(조용필)|단발머리]]'''[* 오빠 부대의 시작을 보여주는 곡이다. 메이저 음계 사용이 인상적이며, [[펑크(음악)|Funk]]풍의 [[뉴웨이브(음악)|뉴웨이브]]/퓨전 트랙이다. "단발머리"는 크게 3가지 스타일의 레코딩이 존재하는데, 당시 라이브 스테이지마다 다양한 편곡으로 연주되었다. 1981년에 발매된 [[히트곡 메들리쇼|조용필 Live 해운대]] 음반에서는 곡의 시그니처라 할 수 있는 전자드럼 사운드를 스트링 편곡으로 대체하였고, 1983년 NHK 라이브 음반에서는 몽롱한 느낌을 주던 [[신스팝]] 편곡을 대폭 줄이고 [[퓨전 재즈]]풍으로 연주하였다. [[1980년]]을 시대적 배경으로 삼은 영화 [[택시운전사]]에서도 도입부에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 || 박건호 || [[조용필]] || 3:51 || || '''8''' || '''한오백년''' || 민요 || 민요 || 5:27 || || '''9''' || 대전 블루스[* 1959년에 [[안정애]]가 발표했던 곡을 리메이크하여 1980년대에 다시 인기를 끌었다. 때문에 1999년에 [[대전역]] 광장 앞에 노래비를 건립할 때 안정애는 조용필 이름을 같이 넣어달라고 했지만 이건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현재 노래비에는 가수 이름이 빠져 있다.] || 최치수 || 김부해 || 2:43 || || '''10''' || 너무 짧아요[* 서라벌 레코드 시절 발매했던 곡을 셀프 리메이크 하였다.] || 윤철 || [[조용필]] || 2:45 || || '''11''' || 슬픈 미소 || 유현종 || [[조용필]] || 2:36 || || '''12''' || [[너와 나(군가)]][* [[건전가요]]로 [[LP]] 버전에만 수록되었다.] || 김성용 || 김강섭 || 3:33 || === Side A === ==== [[창밖의 여자]] ==== ||[youtube(ZQoi_Jk0Dhw)]|| || '''{{{#!html 창밖의 여자}}}''' || || {{{#0b5288 창가에 서면 눈물처럼 떠오르는 그대의 흰 손 돌아서 눈 감으면 강물이어라 한줄기 바람 되어 거리에 서면 그대는 가로등이 되어 내 곁에 머무네 누가 사랑을 아름답다 했는가 누가 사랑을 아름답다 했는가 차라리 차라리 그대의 흰 손으로 나를 잠들게 하라 누가 사랑을 아름답다 했는가 누가 사랑을 아름답다 했는가 차라리 차라리 그대의 흰 손으로 나를 잠들게 하라 }}} || ==== [[돌아와요 부산항에]] ==== ||[youtube(nCiebRblHAI)]|| || '''{{{#!html 돌아와요 부산항에}}}''' || || {{{#0b5288 꽃 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건만 형제 떠난 부산항에 갈매기만 슬피 우네 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마다 목메어 불러봐도 대답 없는 내 형제여 돌아와요 부산항에 그리운 내 형제여 가고파 목이 메어 부르던 이 거리는 그리워서 헤매이던 긴긴날의 꿈이었지 언제나 말이 없는 저 물결들도 부딪쳐 슬퍼하며 가는 길을 막았었지 돌아왔다 부산항에 그리운 내 형제여 }}} || ==== 잊혀진 사랑 ==== ||[youtube(JOvVpRQUMRw)]|| || '''{{{#!html 잊혀진 사랑}}}''' || || {{{#0b5288 가지 말라고 가지 말라고 애원하며 잡았었는데 돌아섰던 그 사람은 무정했던 당신이지요 가지 말라고 가지 말라고 잊을 수는 없다 했는데 지금의 내 마음은 차라리 모든 것을 잊고 싶어요 가지 말라고 가지 말라고 애원하며 잡았었는데 잃어버린 그 사람은 야속했던 당신이지요 가지 말라고 가지 말라고 잊을 수는 없다 했는데 지금의 내 마음은 차라리 모든 것을 잊고 싶어요 }}} || ==== 돌아오지 않는 강 ==== ||[youtube(E9O528Wx0HI)]|| || '''{{{#!html 돌아오지 않는 강}}}''' || || {{{#0b5288 당신의 눈 속에 내가 있고 내 눈 속에 당신이 있을 때 우린 서로가 행복했노라 아아 그 바닷가 파도 소리 밀려오는데 겨울나무 사이로 당신은 가고 나는 한 마리 새가 되었네 우린 서로가 행복했노라 아아 그 바닷가 파도 소리 밀려오는데 겨울나무 사이로 당신은 가고 나는 한 마리 새가 되었네 새가 되었네 새가 되었네 }}} || ==== 정 ==== ||[youtube(wgnPN1wcIs4)]|| || '''{{{#!html }}}''' || || {{{#0b5288 정이란 무엇일까 받는 걸까 주는 걸까 받을 땐 꿈속 같고 줄 때는 안타까워 정을 쏟고 정에 울며 살아온 살아온 내 가슴에 오늘도 남모르게 무지개 뜨네 정을 쏟고 정에 울며 살아온 살아온 내 가슴에 오늘도 남모르게 무지개 뜨네 }}} || ====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 ||[youtube(D5RiEWxOQHI)]|| || '''{{{#!html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 || {{{#0b5288 다시는 생각을 말자 생각을 말자고 그렇게 애타던 말 한마디 못하고 잊어야 잊어야만 될 사랑이기에 깨끗이 묻어버린 내 청춘이련만 그래도 못 잊어 나 홀로 불러보네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잊어야 잊어야만 될 사랑이기에 깨끗이 묻어버린 내 청춘이련만 그래도 못 잊어 나 홀로 불러보네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끝나지 않았네 끝나지 않았네 }}} || === Side B === ==== [[단발머리(조용필)|단발머리]] ==== ||[youtube(EkD4N_aLUNo)]|| || '''{{{#!html 단발머리}}}''' || || {{{#0b5288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오늘따라 왜 이렇게 그 소녀가 보고 싶을까 비에 젖은 풀잎처럼 단발머리 곱게 빗은 그 소녀 반짝이는 눈망울이 내 마음에 되살아 나네 내 마음 외로워질 때면 그날을 생각하고 그날이 그리워질 때면 꿈길을 헤매는데 못 잊을 그리움 남기고 그 소녀 데려간 세월이 미워라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오늘따라 왜 이렇게 그 소녀가 보고 싶을까 비에 젖은 풀잎처럼 단발머리 곱게 빗은 그 소녀 반짝이는 눈망울이 내 마음에 되살아 나네 내 마음 외로워질 때면 그날을 생각하고 그날이 그리워질 때면 꿈길을 헤매는데 못 잊을 그리움 남기고 그 소녀 데려간 세월이 미워라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오늘따라 왜 이렇게 그 소녀가 보고 싶을까 비에 젖은 풀잎처럼 단발머리 곱게 빗은 그 소녀 반짝이는 눈망울이 내 마음에 되살아 나네 그 언젠가 나를 위해 꽃다발을 전해주던 그 소녀 }}} || ==== 한오백년 ==== ||[youtube(hWDM5qjNHAo)]|| || '''{{{#!html 한오백년}}}''' || || {{{#0b5288 한 많은 이 세상 야속한 님아 정을 두고 몸만 가니 눈물이 나네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말고 한 오백년 살자는데 웬 성화요 백사장 세모래 밭에 칠성단을 보고 임 생겨 달라고 비나이다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말고 한 오백년 살자는데 웬 성화요 청춘에 짓밟힌 애끓는 사랑 눈물을 흘리며 어디로 가나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말고 한 오백년 살자는데 웬 성화요 한 많은 이 세상 냉정한 세상 동정심 없어서 나는 못 살겠네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말고 한 오백년 살자는데 웬 성화요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말고 한 오백년 살자는데 웬 성화요 }}} || ==== 대전 블루스 ==== ||[youtube(Y_mCjTiKmXs)]|| || '''{{{#!html 대전 블루스}}}''' || || {{{#0b5288 잘 있거라 나는 간다 이별의 말도 없이 떠나가는 새벽 열차 대전발 영시 오십분 세상은 잠이 들어 고요한 이 밤 나만이 소리치며 울 줄이야 아 붙잡아도 뿌리치는 목포행 완행열차 기적소리 슬피 우는 눈물의 플래트홈 무정하게 떠나가는 대전발 영시 오십분 영원히 변치 말자 맹세했건만 눈물로 헤어지는 쓰린 심정 아 보슬비에 젖어가는 목포행 완행열차 }}} || ==== 너무 짧아요 ==== ||[youtube(ltlIP5HugYs)]|| || '''{{{#!html 너무 짧아요}}}''' || || {{{#0b5288 처음 만난 날부터 다정했던 사람 생각하는 하루는 너무 짧아요 우리 만나 하던 말 생각하다가 지나간 하루는 너무 짧아요 하루해는 너무 짧아요 하루해는 너무 짧아요 사랑하던 날부터 그리워진 사람 생각하는 하루는 너무 짧아요 만나서도 못한 말 생각하다가 지나간 하루는 너무 짧아요 하루해는 너무 짧아요 하루해는 너무 짧아요 너무 짧아요 너무 짧아요 너무 짧아요 }}} || ==== 슬픈 미소 ==== ||[youtube(qoRK-hzBjOc)]|| || '''{{{#!html 슬픈 미소}}}''' || || {{{#0b5288 돌아서면 잊혀질까 세월 가면 잊을 수 있을까 슬픔은 흘러 흘러 가슴을 적시네 장미꽃 피는 날엔 돌아오마던 당신 여울지는 꿈속에서 그 미소를 찾아 헤맸지 가버리면 잊혀질까 눈 감으면 잊을 수 있을까 서러움은 물들어 가슴을 적시네 장미꽃 피는 날엔 돌아오마던 당신 여울지는 꿈속에서 그 미소를 찾아 헤맸지 }}} || == CD 버전 수록곡 == ||
{{{#89764A '''트랙'''}}} || {{{#89764A '''제목'''}}} || {{{#89764A '''작사'''}}} || {{{#89764A '''작곡'''}}} || {{{#89764A '''재생 시간'''}}} || || '''1''' || [[창밖의 여자]] || 배명숙 || [[조용필]] || 3:52 || || '''2''' || [[돌아와요 부산항에]] || 황선우 || 황선우 || 3:25 || || '''3''' || [[단발머리(조용필)|단발머리]] || 박건호 || [[조용필]] || 3:51 || || '''4''' || 잊혀진 사랑 || 김중순 || [[김희갑(음악인)|김희갑]] || 3:14 || || '''5''' || 한오백년 || [[민요]] || [[민요]] || 5:27 || || '''6''' || 돌아오지 않는 강 || 임택수 || 임택수 || 3:37 || || '''7''' ||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 오사랑 || 허영철 || 3:08 || || '''8''' || 정 || 조남사 || 김학송 || 2:39 || || '''9''' || 대전 블루스 || 최치수 || 김부해 || 2:43 || || '''10''' || 너무 짧아요 || 윤철 || 조용필 || 2:45 || || '''11''' || 슬픈 미소 || 유현종 || 조용필 || 2:36 || == Staff Credit == * 녹음기사 : 이태경 == 여담 == * 이 음반은 총 3가지 버전이 있다. 첫 번째 버전(초판)은 "趙容弼" 글자가 금박으로 되어있고, 음반 표지에는 "창밖의 여자"만 적혀있으며,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경음악으로 녹음되어 있다. 두 번째 버전(재발매판)은 첫 번째 버전과 같지만 "창밖의 여자"만 적혀있는 초판에서 "단발머리"가 추가되었다. 세 번째 버전은 "趙容弼" 글자가 금박이 아니며, 많은 사람들의 요청으로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보컬로 녹음되었다. 그리고 음반 표지에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초판과 재발매판은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A면 6번에 수록되어 있고, 재발매 3판(세번째 버전)은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A면 2번에 수록되어 있다.] 초판과 재발매판은 적게 발행되어서 고가에 거래되고 있으며 세 번째 버전은 쉽게 구할 수 있는 판이다. [[분류:1980년 데뷔 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록 음반]][[분류:조용필/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