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송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8b57 0%, #2e8b57 20%, #2e8b57 80%, #2e8b57)" {{{#ece5b6 '''조원좌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송태종의 아들들)] ---- [include(틀:송태종 황실)] ---- }}} || ---- ||<-2> {{{#ece5b6 '''{{{+1 대송의 황족[br]한공헌왕(漢恭憲王)[br]{{{+1 趙元佐 | 조원좌}}}}}}'''}}} || || '''[[시호|{{{#fff 시호}}}]]''' ||공헌(恭憲) || || '''[[작위|{{{#fff 작위}}}]]''' ||한왕(漢王)^^추봉^^ || || '''{{{#fff 성}}}''' ||조(趙) || || '''{{{#fff 이름}}}''' ||원좌(元佐) || || '''{{{#fff 자}}}''' ||유길(惟吉) || || '''{{{#fff 생몰}}}''' ||965년 ~ 1027년 || ||<^|1><-2><:>{{{#!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fff 부황}}}''' ||[[태종(송)|태종 조광의]] || || '''{{{#fff 모후}}}''' ||[[원덕황후]] || || '''{{{#fff 형제}}}''' ||소성태자(昭成太子) [[조원희(송)|조원희]](趙元僖)[br][[진종(송)|진종]](眞宗) 조항(趙恒)[br]상공정왕(商恭靖王) [[조원분]](趙元份)[br]월문혜왕(越文惠王) [[조원걸]](趙元傑)[br]진공의왕(鎭恭懿王) [[조원악]](趙元偓)[br]초공혜왕(楚恭惠王) [[조원칭]](趙元偁)[br]주공숙왕(周恭肅王) [[조원엄]](趙元儼)[br]숭왕(崇王) [[조원억]](趙元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북송]]시대의 황족으로 2대 황제인 [[태종(송)|태종]] 조광의의 장남이다. 자는 유길(惟吉). == 생애 == 조원좌는 [[태종(송)|태종]] 조광의와 [[원덕황후]]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조덕숭(趙德崇)이었다가 동궁으로 옮겨살면서 초왕(楚王)으로 봉해지고 원좌(元佐)로 개명하였다. 태종의 재위기에는 조원좌의 숙부인 진왕(秦王) [[조정미(송)|조정미]]가 역모를 꾸미려고 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물론 조정미가 진짜로 역모를 꾸밀 마음은 없었지만 조정미는 태종에 의해 부릉군왕으로 강등되었다. 조원좌는 이 사태를 알고 태종에게 숙부인 조정미의 억울함을 풀어달라고 간청하였으나 태종은 조원좌의 간청을 무시하였고 조정미는 결국 옹희(雍熙) 원년(984년)에 쓸쓸함 속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조정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조원좌는 슬픔 속에 결국 미쳐버려서 작은 잘못에도 시종을 칼로 찔러 죽여버리도 했다. 옹희 2년(985년) 조원좌의 병이 호전되자 태종은 매우 기뻐하며 사면을 단행하고 중양절에 연회를 열었다. 하지만 조원좌는 병세가 호전되었음에도 연회에 참석하지 못하였다. 황족들이 연회를 마치고 돌아올 때 저녁에 들어서 조원좌의 저택을 지났는데, 조원좌는 “너희들은 황상을 모시면서 연회를 즐겼는데, 나 혼자 연회에 참여하지 못했으니, 이것은 곧 부황께서 나를 저버리신 것이다!”라고 말하고, 급기야 술에 취해서 자신의 궁궐에 불을 놓는 사건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태종의 귀에도 들어가 조원좌는 결국 폐서인되었고 균주(均州)에 유폐되었다. 그러다가 재상인 송기(宋琪)와 대신들이 3번이나 상소를 올리면서 조원좌를 수도인 개봉에 머무를 수 있도록 주청하였고, 태종은 송기와 대신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조원좌를 남궁에 유폐시켰고 사람을 보내서 조원좌를 감시하였다. 997년에 태종이 세상을 떠나고, 새롭게 황제로 즉위한 조원좌의 동생인 [[진종(송)|진종]]은 형의 처지를 동정하며 그의 작위를 다시 복원시켜주었다. 조원좌는 조카인 [[인종(송)|인종]]의 재위기인 천성(天聖) 5년(1027년)에 6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사후 시호는 공헌(恭憲)이며 사후 작위는 제왕(齊王)→노왕(潞王)→위왕(魏王)을 거쳐 한왕(漢王)이 되었다. == 조원좌를 즉위시키려는 시도 == 조원좌가 폐서인되고 12년 뒤인 997년, 태종의 병세가 위급해지자, 당시 태종의 태자인 조항의 총명함을 질투했던 환관 왕계은(王繼恩)은 비밀리에 이창령(李昌齡), 이계훈(李繼勳), 호단(胡旦) 등과 짜고 [[명덕황후(북송)|명덕황후]]를 설득하여 폐서인된 조원좌를 태자 자리에 앉히려고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가 당시 재상이었던 여단(呂端)에게 간파되었고 왕계은은 여단에 의해 붙잡혀 여단의 감시를 받았다. 명덕황후는 여단에게 장남인 조원좌를 태자로 세우는 것이 옳지 않겠느냐고 물었지만, 여단은 태종이 이미 조항을 태자로 정했는데 조원좌를 태자로 정하는 것은 태종의 유명을 어기는 일이라면서 반대하였다. 여단은 태자 조항을 보호하며 복녕궁으로 향하였고 태자 조항을 즉위시켰다. == 후손 == 조원좌에게는 3명의 아들로 조윤승(趙允升), 조윤언(趙尹言), 조윤성(趙允成)이 있었다. 많은 태종의 후손들이 [[정강의 변]] 때 [[금나라]]로 끌려갔지만 조원좌의 후손들은 이를 면할 수 있었다. 남송 때 재상을 지냈던 [[조여우]]는 조원좌의 7대손이다. == 대중매체에서 == 2021년 드라마 대송궁사에 등장한다. 모반을 모의하다 태종에게 들켜 혼비백산하여 멍청이가 된다. 멍청이가 된 형이지만 형의 혈통이 끊기면 안된다고 생각한 진종이 조원좌를 왕흠약의 장녀 왕옥영과 혼인시킨다. [[분류: 송나라의 황태자]][[분류:965년 출생]][[분류:102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