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싱크론)]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Tuning-JP-Anime-5D.png]] || 한글판 명칭 ||'''조율'''|| || 일어판 명칭 ||'''[ruby(調律, ruby=ちょうりつ)]'''|| || 영어판 명칭 ||'''[[싱크로 소환|Tuning]]'''|| ||<-2> 일반 마법 || ||<-2>튜너 1장을 자신의 덱에서 패에 넣고, 그 후 덱을 셔플한다. 추가로 그 덱의 위에서, 패에 넣은 튜너의 레벨 수만큼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유희왕 5D's]] [[유희왕 5D's/다크 시그너 편|다크 시그너 편]] 27화에서 [[후도 유세이]]가 [[다크 시그너]] [[딕 피트]]와의 듀얼 중 사용. [[정크 싱크론]]을 패에 넣고 [[스피드 워리어]]를 묘지로 보냈다. 그 후에는 말할 것도 없이 [[정크 워리어]]를 싱크로 소환해 블리자드 리저드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 [[고통의 선택]]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터무니없이 사기적인 효과. 서치하는 튜너에 제한이 전혀 없어서 싱크로를 사용하지 않는 덱이라고 해도 튜너를 넣었다면 전부다 망설이지 않고 투입할 수 있다.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같은 필수 패 트랩만 서치해와도 보너스로 3장 덤핑이 딸려오는데, [[지옥에서 온 사자]]나 [[망룡의 전율-데스트루도]]같은 고레벨 튜너를 가져온다면 순식간에 묘지 자원이 불어나게 된다. 등장 당시에도 충분히 고성능인데,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하리파이버]]와 [[환상수기 아우로라돈|아우로라돈]]이 있는 지금 환경에서 쓴다면 더더욱 강력해진다. 일러스트에 그려진 인물은 [[하프의 정령]]. === [[유희왕 태그 포스]] === [[파일:Tuning-TF04-JP-VG.png|width=450]] || 한글판 명칭 ||'''조율'''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調律, ruby=ちょうりつ)]'''|| || 영어판 명칭 ||'''[[싱크로 소환|Tuning]]'''|| ||<-2> 일반 마법 || ||<-2>자신의 덱에서 "싱크론"이라는 이름이 붙은 튜너를 패에 넣는다. 그 후, 패에 넣은 몬스터의 레벨 수만큼 자신의 덱의 위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유희왕 태그 포스|유희왕 태그 포스 4]]에서는 OCG화 이전에 오리지널 버전으로 등장했다. 서치 대상이 [[싱크론]] 튜너로 한정된 대신 레벨 수만큼 덱을 덤핑한다는 점에서 원작과 OCG의 중간 버전. 태그 포스 5부터는 다시 OCG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調律.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조율, 일어판 명칭=調律(ちょうりつ), 영어판 명칭=Tuning, 효과1=①: 덱에서 "싱크론" 튜너 1장을 패에 넣고 덱을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의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3)] [[싱크론]] [[싱크로 소환/튜너|튜너]]를 서치하고 덱 맨 위의 카드를 덤핑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서치 대상과 덤핑 매수 모두 원작에 비해 축소되었지만, 발빠르게 [[싱크로 소환]]하는 것이 요지인 [[싱크론]] 테마에게 충분히 유용한 서포트 카드가 된다. 특히 [[정크 싱크론]]이 있다면 1장으로 싱크로 소환으로 연계할 수 있으며, 자체 특수 소환이 가능한 [[퀵 싱크론]]이나 [[제트 싱크론]]도 유용한 서치 후보가 된다. 1장만으로 묘지 자원 비축도 가능하고, [[볼트 고슴도치]] 같은 카드가 묘지로 가준다면 더욱 이득이다. 특히 퀵 싱크론을 투입한 [[정크도플]] 덱 입장에서는 덱이 말릴 확률을 크게 줄여주는 데에 공헌하는 카드다. 다만 [[광래하는 기적]] 등과 같은 파츠 카드를 사용하는 구축의 경우는 랜덤 덤핑의 불안정성 때문에 아예 빠지고 [[라이딩 듀얼! 액셀러레이션!]]을 싱크론 캐리어와 함께 대신 넣는 구축 또한 존재한다. 서치 대상이 튜너기 때문에 [[싱크론 익스플로러]], [[싱크론 캐리어]]는 서치가 안된다. 그렇더라도 싱크론 튜너 서치+1장 덤핑이라는 무시무시한 효과. [[정크 싱크론]]을 서치하고, [[도플 워리어]]가 묘지로 보내졌다? 그러면 [[슈팅 퀘이사 드래곤]]나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이 튀어나올 수도 있다. [[어썰트 싱크론]]이 출시 된 이후 싱크론 덱이 아닌 덱도 채용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 그리고 [[듀얼리스트 넥서스]]에서 [[레볼루션 싱크론]]이 등장하자 다시 쓰이고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한동안 일반적인 방법으로 쓸 수 없었다가[* 쓰려면 태그 듀얼 이벤트에서 유성을 파트너로 설정하거나 상대 묘지나 패에서 카드를 가져오는 효과를 써야만 쓸 수 있었다.] [[THE KING OF VERMILION]] 미니 상자에서 슈퍼 레어 사양으로 등장해 최근 수요가 올라간 [[슈팅 스타 드래곤]] 덱에서 덤핑+서치 담당을 하며 핵심 카드가 될 듯 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45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싱크론 익스트림|シンクロン・エクストリーム]]- || SD28-JP027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DP23-JP033 || [[노멀]] || 일본 || || || [[PRISMATIC ART COLLECTION]] || PAC1-JP040 || [[패러렐 레어]][br][[시크릿 레어]][br][[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일본 ||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EN045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섀도우 스펙터즈|Shadow Specters: Special Edition]] || SHSP-ENSE2 || [[슈퍼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 LC5D-EN049 || [[노멀]] || 미국 || || || [[싱크론 익스트림|Synchron Extreme]]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D28-JP027 || [[노멀]] || 미국 || ||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 LED6-EN033 || [[노멀]] || 미국 || || || Maximum Gold || MAGO-EN145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45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싱크론 익스트림]]- || SD28-KR027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 DP23-KR033 || [[노멀]] || 한국 || || || [[PRISMATIC ART COLLECTION]] || PAC1-KR040 || [[패러렐 레어]][br][[시크릿 레어]][br][[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한국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율, version=46, paragraph=1.3)]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