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 '''{{{+1 조지아 민족군단}}}[br]ქართული ლეგიონი[*조 조지아어][br]Грузинський національний легіон[*우 우크라이나어][br]Georgian National Legion''' || ||<-2>[[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100%]] ||<#fff>[[파일:조지아 민족군단 엠블럼.svg|width=100%]]|| ||<-2> '''{{{#ff0000 깃발}}}''' || '''{{{#ff0000 엠블럼}}}''' || || '''창설일''' ||<-2><(> [[2014년]] || || '''소속''' ||<-2>[[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국 국제군단]] || || '''규모''' ||<-2><(> 700~1000명 || || '''참전''' ||<-2><(> [[돈바스 전쟁]][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링크''' ||<-2><(> [[https://georgianlegion.com.ua/|[[파일:조지아 민족군단 엠블럼.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GeorgianLegio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georgianlegi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GeorgianNationalLegi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eorgianlegion,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국 국제군단의 조지아인 의용부대이다. == 역사 == 2014년 조지아군의 베테랑 장교 [[https://en.wikipedia.org/wiki/Mamuka_Mamulashvili|마무카 마무라쉬빌리]]가 창설했다. [[러시아]]와 [[조지아]]는 역사적으로 악연이 깊다. [[러시아 내전]] 중인 1921년 [[조지아 민주공화국]]을 침공하여 멸망시켰고, 소련 해체 후 [[조지아-압하지야 분쟁]]에서 러시아가 [[압하지야]]를 지원하였으며, [[남오세티야 전쟁]]에서 [[러시아]]의 침공으로 인해 [[조지아군]]이 무력화되고 국토가 유린당한 것에 대한 반감이 컸다.[* 그런데 남오세티야 전쟁은 조지아의 선공으로 시작된 전쟁이다. 평화유지군으로 파병된 [[러시아군]]을 공격했기 때문에 서방도 쉽게 개입하지 못했다.] 그래서 압하지야 분쟁 당시 우크라이나에게 지원받은 은혜와 일방적인 패전의 치욕에 대한 복수를 갚기 위해 이번 전쟁에 참여하여 [[우크라이나군]]과 함께 [[러시아군]]에 맞서 싸우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반부 [[호스토멜 공항 전투]]에서 러시아 공수군을 상대로 우크라이나 공수군과 함께 저지하면서 전술적 소양을 보여주었고, [[2022년]] [[9월]]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에도 우크라이나군을 지원하고 있다. == 조지아 출신 전사자 == 조지아 민족군단 외의 조지아 출신 전사자도 포함. Davit Ratiani, Gia Beriashvili(다비트 라티아니, 기아 베리아슈빌리) – 2022년 3월 18일, 이르핀(Irpin)에서 전사. [[https://www.kyivpost.com/post/5546|#]](2명) Bakhva Chikobava(바키바 치코바바) – 3번째 전사자. 2022년 3월 19일, 마리우폴에서 전사. Davit Gobejishvili(다비트 고베지슈빌리) – 4번째 전사자. 47세. 2022년 3월 26일 이르핀 근처에서 전사. [[https://georgiatoday.ge/another-georgian-fighter-killed-in-ukraine/|#]][[https://georgiatoday.ge/body-of-davit-gobejishvili-4th-georgian-fighter-killed-in-ukraine-transferred-to-homeland/|#]] Davit Menabdishvili, Nikoloz Shanava(다비트 메나브디슈빌리, 니콜로즈 샤나바) – 하르키우 주 이지움 근처의 포격으로 2022년 4월 9일 전사. Davit는 49세, Nikoloz는 21세. [[https://georgiatoday.ge/2-more-georgian-fighters-killed-5-wounded-in-ukraine/|#]](2명) Arkadi Kasradze, Zaza Bitsadze, Alika Tsaava(아카디 카스라드제, 자자 비타사드제, 알리카 타사아바) – 4월 16일 전사. Arkadi Kasradze는 루한스크 주, 루비즈네에서 전사. [[https://civil.ge/archives/486205|#]] Tato Bigvava(타토 비그바바) – 27세, Zugdidi 출신. 우크라이나 시민권자. 2014년부터 [[아조프 연대]] 소속. 마리우폴의 [[아조우스탈 제철소]] 폭격으로 2022년 5월 전사. [[https://georgiatoday.ge/georgian-fighter-killed-in-bombing-of-azovstal/|#]] Rati Shurgaia(라티 슈르가이아) – 10번째 전사자. 하르키우 주의 이지움 근처에서 전투 중 부상을 입고 이후 5월 14일에 사망. [[https://civil.ge/archives/490591|#]] Giorgi Grigolia(기오기 기고리아) – 2022년 6월 초 도네츠크 지역의 바흐무트 근처에서 전사. [[https://civil.ge/archives/494802|#]] Kakha Gogol(카카 고골) – 47세. 2022년 6월 10일, 루한스크 지역에서 폭격으로 전사.[[https://jam-news.net/we-are-trying-to-be-strong-stories-from-relatives-of-georgian-fighters-killed-in-ukraine/|#]] Aluda Zviadauri(알루다 지비아다우리) – 2022년 6월 18일, 루한스크 지역에서 전사. 42세. [[https://jam-news.net/we-are-trying-to-be-strong-stories-from-relatives-of-georgian-fighters-killed-in-ukraine/|#]] Berdia Jokhadze(베르디아 조카드제) – 2022년 8월 12일에 전사. 헤르손 주에서의 화학무기에 노출되어 부상 후 전사. [[https://civil.ge/archives/504919|#]] Edisher Kvaratskhelia(에디셔 크바라트쉬헬리아) – 20번째 전사자. 제25독립차량화소총병여단 소속. 도네츠크 지역에서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으로 2022년 10월 10일 전사. [[https://georgiatoday.ge/another-georgian-fighter-dies-in-ukraine/|#]][[https://www.google.com/amp/s/civil.ge/archives/511144/amp|#]] Mikhail Kaplanishvili(미헤일 카플라니슈빌리) – 21번째 전사자. 46세. 10월 21일에 루한스크 근처에서 [[바그너 그룹]]에 포위당한 후 전사. [[https://jam-news.net/we-are-trying-to-be-strong-stories-from-relatives-of-georgian-fighters-killed-in-ukraine/|#]] Alexander Martiashvili(알렉산더 마르티아슈빌리) – 22번째 전사자. 24세. [[https://jam-news.net/we-are-trying-to-be-strong-stories-from-relatives-of-georgian-fighters-killed-in-ukraine/|#]] Gurgen (Guga) Gagnidze (구르겐 “구가” 가그니드제) – 23번째 전사자. 40세. 우크라이나 제25공수여단 소속. 바흐무트 근처에서 전사. [[https://georgiatoday.ge/another-georgian-fighter-dies-in-ukraine-2/|#]] Levan Sakhelashvili(레반 사크헤라슈빌리) – 24번째 전사자. [[https://georgiatoday.ge/another-georgian-fighter-dies-in-ukraine-3/|#]] Ernest Macharashvili(에르네스트 맥하라슈빌리) – 25번째 전사자. [[https://georgiatoday.ge/another-georgian-fighter-dies-in-ukraine-4/|#]] Konstantine Kursua(콘스탄티네 쿠르슈아) – 26번째 전사자. Sukhumi 출신. 2022년 11월 전사. [[https://rustavi2.ge/en/news/243046|#]] Jaba Khoperia(자바 키오페리아) – 27번째 전사자. 25세, 2022년 가을에 헤르손에서 포격으로 인해 화학물질에 의한 음독 부상 후 12월 1일에 병원에서 사망. [[https://1tv.ge/lang/en/news/body-of-georgian-fighter-killed-in-ukraine-brought-to-georgia-2/|#]] Avto Rurua, Romeo Pirchakhia, Roland Kvaratskhelia, Badri Markelia, Merab Aladashvili(아브토 루루아, 로메오 피차키아, 로랜드 크바라트쉬헤리아, 바드리 마르케리아, 메라브 알라다슈빌리) – 2022년 12월 3일, 바흐무트에서 전사. 우크라이나 제57여단 소속. (5명) Mikheil Tevdoradze, Sergo Kartvelishvili – 2022년 12월 13일, 바흐무트에서 전사. [[https://www.google.com/amp/s/civil.ge/archives/518644/amp|#]](2명) [[https://civil.ge/archives/517610|#]][[https://1tv.ge/lang/en/news/body-of-georgian-fighter-killed-in-ukraine-brought-to-georgia-2/|#]] – 해당 링크에서 조지아 수상이 33명이 전사했다고 말함. 이후 [[https://www.google.com/amp/s/civil.ge/archives/518644/amp|#]]에서 2명이 추가로 전사함. Zurab Odishvili(주라브 오디슈빌리) – 2023년 4월 26일, 러시아군과의 전투 중 전사했다. 이 소식은 우크라이나 측에서 싸우는 지원병 부대인 캅카스 무슬림 군단의 사령관인 라도 감사후르디아가 페이스북에 그의 죽음에 대해 게시한 후에 나왔으며, 아직 정확한 장소는 밝혀지지 않았다. [[https://civil.ge/archives/539271|#]] 2023년 5월 11일, [[바흐무트 전투|바흐무트]] 근처에서 [[러시아 연방군|러시아군]]과 교전 중 전사한 조지아 출신 국제군단 대원이 한명 더 확인되었다. 이름을 포함한 정확한 신원은 불분명. [[https://civil.ge/archives/541930|#]] 2023년 5월 31일, 조지아 출신 전사자 1명이 더 확인되었다. [[https://civil.ge/archives/545827|#]] [[분류:우크라이나 국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