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 유엔 대표부 특명전권대사)] ||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1 [[대한민국 정부|[[파일:정부상징.svg|width=30]]]] [[대한민국|{{{#043762 '''대한민국'''}}}]] [[외교부|{{{#043762 '''외교부'''}}}]] [[차관|{{{#043762 '''제2차관'''}}}]]}}} || ||<-2> [[이명박 정부|{{{#ffffff '''이명박 정부'''}}}]] ||<-3> [[박근혜 정부|{{{#ffffff '''박근혜 정부'''}}}]] || || ,,외교통상부,,[br][[김성한(국제정치학자)|김성한]] || → || '''초대[br]조태열''' || → || 2대[br][[안총기]]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984E285-FDA3-4749-81AD-D13905A2A8F7.jpg|width=100%]]}}} || || '''이름''' ||조태열 (趙兌烈) || ||<|2> '''출생''' ||[[1955년]] [[11월 10일]] ([age(1955-11-10)]세)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 인근의 도계리, 가곡리와 함께 [[한양 조씨]] 집성촌이다. [[조헌영]] 전 국회의원, 아버지이기도 한 시인 [[조지훈]], 역사학자 [[조동걸]], [[조근해]] 전 공군참모총장, [[조운해]] 전 강북삼성병원장도 이 마을 출신이다.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9680|#]]] || || '''학력''' ||[[중앙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br]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석사)}}} || || '''병역''' ||[[병역면제]] {{{-2 (폐결핵활동성 경도)}}} || || '''본관''' ||[[한양 조씨]][* 양경공파-병참공파 28세 '''열(烈)''' 휴(烋) 섭(爕) 항렬.] || || '''가족''' ||조부 [[조헌영]], 부친 '''[[조지훈]]'''[br]부인 김혜경, 슬하 1남 1녀 || || '''약력''' ||제13회 [[외무고시]] 합격[br][[외교통상부]] 통상2과장[br]외교통상부 지역통상국장[br]주제네바대표부 차석대사[br][[WTO]] 정부조달위원회 의장[br][[여수 엑스포]] 유치 현지민관합동대책본부장[br]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br]주스페인 대사[br]외교통상부 개발협력대사[br]유엔개발협력포럼 자문위원[br]경기도 국제관계자문대사[br]외교부 제2차관 {{{-2 ([[박근혜 정부]])}}}[br]유엔 평화구축위원회(PBC) 의장[br][[주유엔대사]] {{{-2 (박근혜 ~ [[문재인 정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외교관. == 생애 == 1955년 11월 10일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에서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지낸 시인 [[조지훈]][* 시 [[승무]], [[낙화]]로 유명한 그 시인 맞다.]과 어머니 김위남(金渭男)[* [[김(성씨)|선성 김씨]](宣城 金氏). 독립유공자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4981|김성규]](金性奎)의 딸이다. 필명은 김난희(金蘭姬).] 사이의 세 아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조부는 제헌 국회의원을 지낸 [[조헌영]], 증조부는 독립유공자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5173|조승기]](趙承基)다. [[중앙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 대학원 법학 석사 과정,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외교관과정을 졸업했다. 외무고시 13회로 1979년부터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통상교섭조정관과 외교부 2차관직을 거치며 주로 통상/다자 분야에서 능력을 보였다. 박근혜 정부 들어 외교부 제2차관과 유엔 대사직 등 요직을 거쳤다. 상관인 [[윤병세]] 전 외교부 장관과 더불어 박근혜 정부 외교부 고위직에 오래 머문 사람인데,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전 정부 인사들이 갈려나가는 와중에도 유임된 걸 보면 관운이나 평판이 좋은 것으로 보인다. 정권 교체 후 유엔대사 직에 사의를 표명했으나 유임되어 2019년 10월까지 3년간 대사직을 역임하고 공직을 마쳤다. 후임은 [[조현(외교관)|조현]]. [[분류:대한민국의 외교관]][[분류:한양 조씨]][[분류:영양군 출신 인물]][[분류:1955년 출생]][[분류:중앙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독립유공자 후손]][[분류:주유엔대사]][[분류:외교부 차관]][[분류: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출신]][[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문재인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