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8_r2_500.png|width=40]] '''1993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s-2]] MVP''' || ---- [include(틀:이영민 타격상/1958년~2000년)] ---- ||
[br][[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9.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7년 한국시리즈|{{{#ffffff 1997}}}]]''' ||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3번}}}''' || || [[김선진]][br](1990~1994) || {{{+1 →}}} || '''{{{#fff 조현[br](1995~1996)}}}''' || {{{+1 →}}} || [[손지환]][br](1997~2003)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3번}}}''' || || [[김상훈(1960)|김상훈]][br](1994~1995) || {{{+1 →}}} || '''{{{#ff0000 조현[br](1997)}}}''' || {{{+1 →}}} || [[김태룡(1968)|김태룡]][br](1998~2002) || ||<-5> '''{{{#fff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33번}}}''' || || [[김태룡(1968)|김태룡]][br](1996~1997) || {{{+1 →}}} || '''{{{#ff0000 조현[br](1998~2001)}}}''' || {{{+1 →}}} || [[장정석]][br](2002.6.16.~2002)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29번}}}''' || || [[대린 윈스턴|윈스턴]][br](2001.7.15.~2001) || {{{+1 →}}} || '''{{{#ffffff 조현[br](2002)}}}''' || {{{+1 →}}} || 조윤채[br](2003) || }}} || ||<-2>
[[파일:external/file.mk.co.kr/image_readtop_2012_529103_1345591815711808.jpg|width=100%]] || ||<-2> '''{{{+2 조현}}}[br]曹炫''' || || '''출생''' ||[[1976년]] [[10월 4일]][* 실제로는 [[1975년]]생이라고 하는데 [[1974년]]생이라는 말도 있다. 중학교 시절 유급 때문에 나이가 바뀌게 된 것.] ([age(1976-10-04)]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5년/신인드래프트#s-4.1.8|1995년 고졸 연고구단 자유계약]] ([[LG 트윈스|LG]]) || || '''소속팀''' ||[[LG 트윈스]] (1995~1996) [br] [[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 (1997~2001) [br] [[한화 이글스]] (2002)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한국프로야구]] 선수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 시절에는 1년 위의 선배들인 [[김재현(1975)|김재현]], [[조인성(야구)|조인성]]과 함께 팀 타선을 이끌었으며, 1993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는 결승전에서만 3개의 홈런을 때려내는 등 0.667, 6홈런 17타점이라는 맹활약으로 대회 MVP를 차지했고 그 해 [[이영민 타격상]]까지 수상했다.[* 사실 그 해 이영민 타격상 수상 예정자는 고교 최고 타율을 기록한 김재현이었으나, 김재현이 [[연세대학교]]와의 가계약을 파기하고 LG와 계약해 버린 것에 화가 난 [[대한야구협회]]에서 김재현의 수상 자격을 박탈한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활약에 힘입어 조현은 계약금 1억 800만 원, 연봉 1,200만 원 등 총액 1억 2,000만 원을 받고 LG 트윈스에 입단하게 된다.[* 조현이 받은 1억 2,000만 원은 당시 역대 타자 최고 계약금액이었다. 불과 몇 달 후 [[심재학]], [[김재걸]] 등이 이를 경신하긴 했지만.] === 프로 경력 === 이미 앞서 고졸 신인 김재현의 맹활약을 지켜본 바 있는 구단과 팬들은 조현 역시 무리 없이 프로에 연착륙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었다. 조현은 데뷔 시즌인 1995년, 전반기에만 팀 내에서 가장 많은 9개의 홈런을 때려내며 기대를 충족하는 듯했다. 하지만 그의 어퍼스윙이 높은 공에 대처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노출되면서 슬럼프에 빠졌고, 결국 후반기에는 홈런을 한 개도 때려내지 못했다.[* 1995년 후반기에 조금만 힘을 더 냈다면 LG의 역사는 달라졌을것이다.] 이듬해인 1996년에는 레벨스윙으로 변화를 시도했지만 스윙폼이 흔들려 혼란만 가중시키며 0.212의 타율에 4홈런 21타점이라는 실망스러운 성적을 기록했고, 1996년 시즌이 끝난 후 [[동봉철]]과 [[송유석]]을 상대로 [[최훈재]]와 함께 [[해태 타이거즈]]로 트레이드 되었지만 해태에서도 자리를 잡지 못한 채 1998년 시즌 후 군에 입대했다가 전역 후 방출당했다.[*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송유석이 술회하기를 [[해태 타이거즈 하와이 항명사건]]의 보복으로 10승 투수였던 자신을 패전처리조로 내보낸 것도 모자라 타자에게 [[빈볼]]을 던지라고 지시했고 송유석은 백네트에 공을 던져 퇴장당했다고 한다. 더이상 해태에서 야구를 할 수 없음을 깨달은 그는 LG [[정삼흠]] 코치에게 부탁해 팀을 옮겼다고 밝혔다.] 그리고 2002년, LG 시절 감독이었던 [[이광환]] [[한화 이글스]] 감독의 부름을 받고 한화에 입단해 기회를 노렸지만, 1군 6경기에 교체로 나와 1안타를 기록한 것이 전부였고 결국 은퇴했다. == 여담 == * [[2013년 프로농구 승부조작 사건]] 당시 전직 야구선수 브로커가 조모 씨인 걸로 밝혀져 네티즌들은 용의자 중 조현이 승부조작에 가담하지 않았을까하고 의심했지만,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공교롭게도 동명이인인 74년생 타자 [[조현(1974)|조현]]도 LG에서 뛴 바 있다. * [[마구마구]]에서는 본명이 아닌 '조필현'이라는 이름으로 선수 카드가 등록되어 있다. * 진짜로 조필현이라는 선수가 있는데 이 선수도 [[LG 트윈스]] 소속이긴 했다. 다만 조필현은 94년을 마지막으로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방출되어 두 선수가 동시에 뛰는 모습을 볼 수는 없었다. 이 선수도 마구마구에서 가명처리가 되어 '조영현'이라는 이름으로 볼 수 있다. * 당시 풍문에 의하면 [[LG 트윈스|같은 팀]] 내의 [[김재현(1975)|김재현]]과 사이가 아주 나빴다는 소문이 [[PC통신]] 상에서 끊이지 않았다. 신일고 선후배였음에도 말이다. * 고등학교 시절, 한국 고교야구연합팀의 일원[* 당시 멤버들로는 이호준, 김경태, 조인성, 신경현, 채종국, 김재현, 손인호가 있었다. 투수가 이호준, 포수가 조인성이었는데 한국어로 대놓고 말로 사인을 교환했다고 이호준이 술회했다.]으로 일본에 방문하여 [[다카하시 요시노부]]와 대결한 적이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현, version=32)] [[분류:1976년 출생]][[분류:1995년 데뷔]][[분류:2002년 은퇴]][[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