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51년 출생]][[분류:마린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남성 방송인]][[분류:미국 남성 아나운서]][[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on-miller.jpg|width=100%]]}}}|| ||<-2> '''{{{#fd5a1e NBC Sports Bay Area}}}''' || ||<-2> '''{{{+2 존 웨슬리 밀러}}} [br]Jon Wesley Miller''' || ||<|2> '''{{{#fd5a1e 출생}}}''' ||[[1951년]] [[10월 11일]] ([age(1951-10-11)]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노바토 || || '''{{{#fd5a1e 경력}}}''' ||Mid Atlantic Sports Network (1983~1996) [br][[파일:ESPN 로고.svg|width=25]] ESPN (1990~2010) [br]'''[[파일:NBC 로고.svg|width=25]] NBC Sports Bay Area (1997~)[* 가끔 자이언츠가 MLB on Peacock 중계에 배정되면 해당중계 아나운서로 전파를 탄다. 이 경기는 National Telecast로 간주한다.]'''|| || '''{{{#fd5a1e 학력}}}''' ||산 마테오 대학 || || '''{{{#fd5a1e 수상}}}''' ||Ford C. Frick 상 (2010) [br]National Radio Hall of Fame (2014)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방송인. 캘리포니아 주 노바토[* 샌프란시스코에서 48km 떨어진 광역권 도시 중 하나] 출신이다. == 경력 == 1962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홈경기[* 당시 샌프란시스코의 홈구장은 캔들스틱 파크였다.]에 직접 관람을 하면서, 판매원들의 목소리나 관중들의 함성소리, 장내 아나운서의 목소리 등을 모조리 녹음해서 테이프가 끊어질 때 까지 들었다고 한다. 그 때부터 방송인의 꿈을 키웠다고 한다.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방송 마이크를 잡게 되었으며,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중계팀을 시작으로 자신의 존재가치를 뽐내게 되었다. 야구 중계 데뷔는 1978년이었는데, 당시 병가로 자리를 비운 [[텍사스 레인저스]]의 캐스터 딕 라이젠후버의 후임으로 들어왔다. 그 경력을 바탕으로 1983년,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라디오 중계팀으로 자리를 옮겼다. 1990년부터 2010년까지 ESPN 선데이 나잇 베이스볼의 목소리로 빅 레드머신의 리더인 [[조 모건]][* 2020년 10월에 타계. 너무나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서 팬들은 물론 야구인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충격에 빠졌다고..] 과 함께 20년동안 활약했다. == 기타 == [youtube(rD_y6BAF07w)] 1996년, ~~당시에 잘나갔던~~ [[시애틀 매리너스]]를 상대로 볼티모어의 포수 크리스 호일스가 역전 끝내기 만루홈런을 날리는 장면. 존 밀러의 혼이 실린 샤우팅이 인상적이다. [youtube(bfW-U6YY6N0)] 히스패닉 선수가 홈런을 치면, 멘트도 '''"ADIOS, PELOTA!"'''(잘 가라, 공아!)로 바뀐다.[* 이 콜은 카디널스 지역방송 아나운서인 [[댄 맥라클린]]도 자주 써먹고 있다.] [youtube(qtMbeeTvsIs)] 2012년 월드시리즈 우승 세레머니 이후 시청 앞 광장에 모인 행사에서 직접 강남스타일 춤을 추셨다(!). 실제로 아시아 쪽 문화에 관심이 굉장히 많다고 한다. == 여담 == * 2020년 3월, 살집이 풍부하던 체형에서 빼짝 마른 모습으로 공식 석상에 나타나 주위에서 걱정을 하고 있다. 원인은 가족 중 일부가 [[코로나19]]에 감염되어 격리생활을 했는데, 자신도 감염되어 며칠 간 격리생활을 했었다고 한다. 현재는 완치되었지만, 그 후유증으로 체중이 눈에 띄게 줄었다고 한다. * 한국시간 2021년 6월 19일부터 21일까지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3연전 중계를 Peacock[* NBC 계열의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이다.]에서 했는데, 그는 20년간의 선데이 나잇 베이스볼 중계 경험[*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중계했다.]을 되살렸다고 한다. 이에 시청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2022년 시즌부터 일요일 1경기를 배정받기에 이르렀다.] * 아시아 출신 선수들의 발음을 굉장히 잘한다. 그의 동창들 중에서 아시아계가 꽤 있었기에 가능한 일. 일본인 선수들의 경우에는 -상을 습관적으로 붙이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마쓰이 히데키]], [[후쿠도메 고스케]], [[이와무라 아키노리]], [[이구치 타다히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