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름과 성이 같은 동명의 미국 정치인, rd1=존 에드워즈)] [include(틀:미국 주지사)] ||<-2> '''{{{#fff 제56대 루이지애나 주지사}}}[br]{{{#fff {{{+1 존 벨 에드워즈}}}[br]John Bel Edward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존벨에드워즈주지사.jpg|width=100%]]}}} || ||<|2> '''{{{#fff 출생}}}''' ||[[1966년]] [[9월 16일]] ([age(1966-09-16)]세) || ||[[미국]] [[루이지애나 주]] 이스트배튼로그패리쉬 || || '''{{{#fff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fff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 || '''{{{#fff 학력}}}''' ||[[미국육군사관학교]] {{{-1 ([[공학]] / [[학사|B.S.]])}}} [br][[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1 ([[로스쿨|법학]] / [[전문박사|J.D.]])}}} || || '''{{{#fff 종교}}}''' ||[[가톨릭]] || || '''{{{#fff 가족}}}''' ||도나 휴토[* [[로버트 케네디]] 법무 장관의 딸이자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조카이다.] {{{-2 (결혼: 1987년 ~ )}}} [br] 슬하 자녀 3명 || || '''{{{#fff 경력}}}''' ||[[미합중국 육군]] 대위[br]루이지애나 주 하원의원 {{{-2 (2008~2015)}}}[br]'''제56대 루이지애나 주지사 {{{-2 (2015~현재)}}}''' || || '''{{{#fff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John_Bel_Edwards_signature.pn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정치인이자, 현직 [[루이지애나 주|루이지애나]] 주지사이다. 당적은 [[민주당(미국)|민주당]]. == 생애 == [[1966년]]에 루이지애나 주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 대까지는 집안에 지역 [[보안관]] 출신이 많았다고 한다. 그 영향인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8년 동안 육군에서 군복무를 하고 대위까지 달았다. 하지만 가족의 요구로 제대를 선택했으며, 그 후에는 루이지애나 주립대 [[로스쿨]]에 들어가 1999년 루이지애나 주 변호사 자격을 얻고 지역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 정치 활동 == 2007년, 루이지애나 주 하원의원 선거에 출마하면서 본격적으로 정계에 입문하게 되었고 함께 일했던 조지 터커 변호사와 결선 투표 끝에 승리를 거둬 당선되었다. [[로널드 레이건]] 등장 이후 민주당의 열세주가 되어버린 루이지애나에서 민주당 출신의 촉망받는 지역 정치 신인이 되었고 당시 유일하게 신입 하원의원 중 주 하원 상임위원장을 맡기도 하고 지역 전당대회 의장을 맡기도 했다. 주 하원의원 당시 주 교육 예산 삭감에 적극적이었던 [[공화당(미국)|공화당]] 바비 진달 주지사를 강력하게 비판했으며, 이 덕분인지 2011년에는 결선 투표 없이 80%를 넘는 득표를 올려 재선에 성공했다. [[2013년]] [[1월 21일]], 현직 진달 주지사가 3선 제한 규정에 걸려 주지사 선거에 도전할 수 없게 되어 무주공산이 된 2015년 루이지애나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기로 결정했다. 1차 투표에서 민주당 지지층의 표를 결집시켜 39.9%를 득표하며 1위를 차지, 2위를 차지한 공화당 데이비드 비터 연방 상원의원[* 매춘부와 놀아나 이미지가 매우 망가진 상태였다.]과 함께 결선 투표로 진출했는데 여기서 이변이 발생한다. 1차 투표에서 15%를 득표하며 4위를 차지한 공화당 소속 제이 다덴 부주지사가 결선투표를 앞두고 비터가 아니라 에드워즈에 대한 지지를 선언한 것. 이후 여론조사에서 에드워즈가 무난히 우세를 점했고, 다덴은 공화당이 다수를 점유중인 주 의회의 압박은 물론, 공화당 전국위원회 위원장인 레인스 프리버스로부터도 배신자라고 저격당하면서도 에드워즈에 대한 지지를 꺾지 않았다. 결국 11월 21일, 결선투표에서 56%가 넘는 득표를 올리며 승리해 당선되었다. 2008년 이후 8년만에 주 정부 교체에 성공했다. 주지사 취임 후 보통 남부에서 당선된 민주당 주지사들과 달리 [[LGBT]] 권리를 보장하고 동성결혼에 제약을 가하던 전임 바비 진달의 행정명령을 폐기처리하는 동시에 저소득층에게 제공되는 [[건강보험]]인 메디케이드 적용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진보적인 성향의 [[행정명령]]을 잇따라 발동시켰다. 이 기간동안 루이지애나 주에서 건강보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주민의 비율이 22.7%에서 11.4%로 절반 가까이 감소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역시 재선 선거를 앞둔 2018년 5월에는, [[낙태|임신중절]]권을 제한하는 법안에 서명하는 등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며 이때문에 에드워즈를 지지했던 루이지애나 내 진보 성향 시민단체들에게 공격을 받기도 했다.[* 사실 존 벨 에드워즈 주지사는 일관된 낙태 반대 성향으로, 부부가 딸을 가졌을 때 장애 가능성이 있는 걸 알고도 낙태를 하지 않은 경험이 있다. 이런 반낙태적인 성향이 아니면 보수적인 루이지애나에서 주지사로 당선되기도 어려웠을 것이고.] 그래도 이렇게 주의회를 장악한 공화당과 그 지지자들의 입맛을 일부 맞춰준 결과 주 내 [[교사]]들의 임금과 대우를 향상시키는 법을 10년만에 처음으로 통과시켰다. 2023년 주지사 선거에서는 3선 제한 규정레 따라 주지사 선거에는불출마하게 되었고 2024년 1월에 후임자에게 주지사 임무를 넘겨주게 되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7 ||<|2> 미국 루이지애나 주의회 하원의원 선거 ||<|2> [[루이지애나 주|루이지애나]] 72구 ||<|4> [include(틀:민주당(미국))] || '''6,825 (65.84%)''' ||<|4> '''당선 (1위)''' || '''초선'''[*A 결선 투표] || || 2011 || '''9,968 (83.07%)''' || '''재선''' || || 2015 || 미국 주지사 선거 ||<|2> [[루이지애나 주|루이지애나]] || '''646,924 (56.11%)''' || '''초선'''[*A 결선 투표] || || 2019 || [[2019년 미국 주지사 선거|미국 주지사 선거]] || '''774,498 (51.33%)''' || '''재선'''[*A 결선 투표] || [[분류:미국의 군인]][[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미국의 변호사]][[분류:1966년 출생]][[분류:이스트배턴루지 패리시 출신 인물]][[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미국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미국 민주당 소속]][[분류:케네디 가문]][[분류:루이지애나 주지사]][[분류:미국의 가톨릭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