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 ''' 미국의 농구선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존이그부누2020-21.png|width=80%]]}}} || ||<-3> '''{{{+2 {{{#000000,#e5e5e5 존 이그부누}}}}}} [br] {{{#000000,#e5e5e5 John Egbunu}}}''' || ||<-2> {{{#000000,#e5e5e5 ''' 출생 ''' }}} ||[[1994년]] [[10월 31일]] ([age(1994-10-31)]세) || ||<-2> {{{#000000,#e5e5e5 ''' 국적 ''' }}}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8]]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208cm|[[체중]] 120kg || ||<-2> {{{#000000,#e5e5e5 ''' 포지션 ''' }}} ||[[센터(농구)|센터]] || ||<-2> {{{#000000,#e5e5e5 ''' 학력 ''' }}} ||[[플로리다 대학교]] {{{-2 (졸업)}}} || ||<-2> {{{#000000,#e5e5e5 ''' KBL 입단 ''' }}} ||2016년 외국인 선수 자유계약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2> {{{#000000,#e5e5e5 ''' 소속 ''' }}} ||[[파일:LongIslandNets.png|width=20]] [[브루클린 네츠#s-9|롱아일랜드 네츠]] {{{-2 (2019~2020 / [[NBA G 리그|NBA G리그]])}}} [br] [[파일:부산 kt 소닉붐 엠블럼.svg|width=30]] [[부산 kt 소닉붐]] {{{-2 (2020 / [[KBL]])}}} [br] 바레세 {{{-2 (2021~ / 이탈리아)}}} || ||<-2> {{{#000000,#e5e5e5 ''' SNS ''' }}} ||[[https://www.instagram.com/jegbunu_1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농구선수로 [[부산 kt 소닉붐]]에서 뛴 적이 있으며 포지션은 [[센터(농구)|센터]]다. 2004~2005시즌 [[게이브 미나케]], 2005~2006시즌 [[서울 삼성 썬더스]]에서 활약했던 [[올루미데 오예데지]]와 2018년 11월에 [[안양 KGC 인삼공사]]에서 뛰다 방출된 [[마이클 이페브라]]처럼 나이지리아 국적 선수였다. == 선수 시절 == === KBL 이전 === 플로리다 대학을 졸업했다. 대학 졸업 직전 왼쪽 십자인대 파열로 인한 재활로 프로데뷔가 늦었고 2019-20 시즌 브루클린 네츠 산하의 롱 아일랜드 네츠 (NBA G리그)에서 백업 센터로 뛰었다. === [[부산 kt 소닉붐]] 시절 === 서동철 감독이 서브 외국인선수로 영입했다고 한다. 메인 선수는 키가 작지만 골밑 공격을 할 줄 아는 선수로 선발할 것으로 보았고 NBA 출신 [[마커스 데릭슨]]을 뽑았다. 8월 10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 귀화선수 라건아를 제외한 10개구단 19명의 외국인 선수중 가장 먼저 한국에 입국했다. 개막전, 오리온전에서 외국인 선수가 하나뿐인 상대 골밑을 맹폭하며 30득점 11리바운드를 기록했다. 10월 18일 삼성전을 앞두고 부상을 당해 2주 가량 결장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부상이 생각보다 큰지 10월 29일 부상으로 인해 방출되어 한국과의 짧은 인연은 끝나게 되었다. 대체 선수는 [[브랜든 브라운] == 시즌별 기록 == ||<-11>
{{{#ec1c24,#e3121a 역대 기록}}} || || {{{#ffffff 시즌}}}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2점슛}}} || {{{#ffffff 3점슛}}} || {{{#ffffff 자유투}}} || {{{#ffffff 득점}}} || {{{#ffffff 리바운드}}} || {{{#ffffff 어시스트}}} || {{{#ffffff 스틸}}} || {{{#ffffff 블록슛}}} || || 2020-21 || [[부산 kt 소닉붐|kt]] || 4 || 19/32 [br] (59.4%) || 0/0 [br] (0.0%) || 2/6 [br] (33.3%) || 40 || 21 || 2 || 0 || 4 || ||<-2> '''[[한국프로농구|KBL]] 통산''' [br] (1시즌) || 4 || 19/32 [br] (59.4%) || 0/0 [br] (0.0%) || 2/6 [br] (33.3%) || 40 || 21 || 2 || 0 || 4 || == 플레이 스타일 == 각종 영상에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우월한 신체조건을 바탕으로 한 골밑에서의 세로수비에서 강점을 보이며, 공격 상황에서 받아먹기에 상당히 능하다고 한다. 또한 큰 키에 비해 굉장히 좋은 기동력을 지니고 있어 속공 상황에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역시 강점이다. 또한 우월한 신체조건 덕분에 스크린에도 상당히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런 장점들 덕분에 픽앤롤에서는 상당한 강점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그것은 [[신명호|슈팅이 없다는 것.]] ~~[[유도훈|???]] : 이그부누는 놔두라고!~~ 자유투 성공률도 저조하며 점프 슛도 거의 시도하지 않는다고 한다. 덕분에 이 선수는 픽앤팝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더불어 골밑에서 받아먹기에는 능하지만, 포스트업이나 1:1에서의 공격 옵션이 다양하지 않아 주로 힘으로 밀고 올라가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래서인지 kt 합류 이후 서동철 감독이 자유투 훈련을 중점적으로 시키고 있는 모습이 잡혔다. 서동철 감독이 슈팅을 조련하는 데에 나름 일가견이 있는 편이기에 시즌이 시작할 때 발전을 주목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으나 부상으로 방출되며 없던 일이 되었다. == 여담 == 생긴 것이 표범과 닮아서 생표범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65&aid=0000201455|기사]]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농구]] * [[부산 kt 소닉붐/선수단]] [각주] [[분류:나이지리아의 농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농구)]][[분류:1994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센터(농구)]][[분류:수원 kt 소닉붐/은퇴, 이적]] [include(틀:포크됨2, title=존 이그부누, d=2022-07-15 02: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