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하급 일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파일:ゾンビーノ.jpg|width=100%]] || [[파일:Zombino-MP18-EN-C-1E.pn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좀비노, 일어판명칭=ゾンビーノ, 영어판명칭=Zombino, 속성=땅, 레벨=4, 공격력=2000, 수비력=0, 종족=언데드족, 효과외1=둘은 무척 친한 사이, 효과외2=죽어도 함께 되살아나도 함께, 효과외3=따로 떨어질 일은 없다, 최하단1=그래서 둘이 마주칠 일은 이제 두 번 다시 없다)] [[익스트림 포스]]에 등장한 카드. 6번째로 등장한 레벨 4 / 공격력 2000의 [[일반 몬스터]]. [[달인 강시]] 이후 오랫동안 나오지 않았던 어택커 언데드족 일반 몬스터이며 또한 언데드족 일반 몬스터 중 최초의 공격력 2000 몬스터이기도 하다. 화염 속성이 등장하기 이전에 땅 속성만 2종류가 등장했다. 언데드족 하급 중에서는 [[스컬 컨덕터]]와 함께 가장 공격력이 높으며, 이 능력치 덕분에 [[가면레온]], [[장난감상자]], [[마두귀]] 등의 서포트에도 대응한다. [[좀비나]]의 가족 혹은 연인처럼 보인다. 좀비나가 머리에 모종삽이 꽂혀있는 것처럼, 이 몬스터의 머리에는 도끼가 찍혀있다. 그리고 좀비나의 효과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일본판의 경우 특이하게도 플레이버 텍스트가 전부 히라가나로 적혀 있으며, 보통 일반 몬스터의 텍스트는 이어져 있으나 좀비노는 시처럼 글이 띄어써 있다. 플레이버 텍스트가 의미심장한데, 추측해보자면 좀비나와 좀비노의 본체는 각각 두 카드의 일러스트에 보이는 지렁이고 죽은 뒤에도 서로의 시체에 달라붙어 조종하고 있지만. 오히려 그래서 본체인 지렁이끼리는 만날 일이 없다는 의미로 추측할 수 있다. 실제로도 좀비나의 효과로 좀비노를 특수 소환할 수 있는데, 좀비나가 필드에 있을 때는 좀비노가 묘지에 있고, 좀비나가 파괴되면 좀비노가 필드에 특수 소환되는 식으로 플레이버 텍스트의 재현이 가능하다. 일본 유희왕 wiki에서는 두 사람의 시체로 좀비노 1체를 만들었기 때문에 떨어질 일이 없음에도 (죽었으므로) 마주칠 일도 없다고 추측했다. 또 잘보면 좀비나 일러스트에 있던 해골이 한쪽 풀숲에 숨어서 엿보고 있기도 하며 그 밑에는 고대 일반 몬스터 중 하나인 해골 쥐도 있다. 이름의 유래는 '[[좀비]]' + [[이탈리아어]]로 '소년, 남자애' 등을 뜻하는 '밤비노(Bambino)'.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익스트림 포스|EXTREME FORCE]] || EXFO-JP00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익스트림 포스|Extreme Force]] || EXFO-EN001 || [[노멀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169 || [[노멀]] || 미국 || || || [[익스트림 포스]] || EXFO-KR00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좀비나]] === === [[쥐(유희왕)|해골 쥐]]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좀비나, version=41)] [[분류:유희왕/OCG/언데드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