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사성어]] [목차]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5 '''晝'''}}} ||||<:>{{{+5 '''耕'''}}} ||||<:>{{{+5 '''夜'''}}} ||||<:>{{{+5 '''讀'''}}} || ||<:>낮 주 ||||<:>밭갈 경 ||||<:>밤 야 ||||<:>읽을 독 || == 개요 == '낮에는 밭을 경작(耕作)하고(생산활동), 밤에는 책을 읽는다(학습활동).'라는 뜻으로, 바쁘고 고단한 틈을 타서 어렵게 [[공부]]함을 이르는 말이다. == 해설 == 고대부터 가정형편이 매우 어려운 사람들은 이렇게 일과 공부를 병행하면서 벼슬길에 올라 어렵사리 성공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보상심리]]가 생겨서 [[개구리 올챙이 시절 모른다|과거 올챙이적 시절을 완전히 잊어버리고]] 완전한 개구리로서 행세하는 사람들도 많다. 생산활동을 대체로 낮에만 할 수 있던 전근대와는 달리 현대 사회로 넘어오면서 낮에 학교를 다니고 밤에 아르바이트를 하는 주독야경(晝讀夜耕) 또한 많아졌다. 주경야독의 유의어로 [[형설지공]]이 있으며, 주경야독, 주독야경을 모두 아우르는 [[고학]](苦學)이란 말도 있다. == 사례 == === 실제 === * [[버락 오바마]] : [[미국]]의 前 대통령. * [[시진핑]] : [[중국]]의 現 주석. * [[노무현]] : [[대한민국]]의 前 대통령. 낮에는 막노동을 하며 밤에는 고시 공부를 하여 [[고졸]]임에도 불구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당대 사법시험 합격생들 중에서 유일한 고졸 출신이다. 나머지는 죄다 [[SKY(대학교)|SKY]] 등 최상위 명문대 출신들만 있었다.] * [[김동연]] : 대한민국 전 [[경제부총리]], 現 [[경기도지사]]. 상고를 나와 그다지 이름이 높지도 않은 대학의 야간 법대를 다녔다. 자수성가하여 경제부총리까지 되었고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에 극적으로 당선되며 [[제21대 대통령 선거]] 야권 후보로까지 급부상하였다. * [[정홍원]] : 대한민국의 前 국무총리. 본래 [[진주교육대학교|진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초등교사 길을 걷고 있었으나 만족하지 못하고 다시 새로운 꿈을 갖게 되었다. 낮에는 초등교사로 근무했고 밤에는 대학교를 다니며 [[성균관대학교]] 야간 법대 졸업 직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임용되었다. * [[장승수]] : 대한민국의 現 변호사. 낮에는 노가다를 뛰었고 밤에는 수능 공부를 하여 [[서울대학교]]에 합격했고 이후에도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며 사법시험에 합격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 [[스즈키 나오미치]] : 일본 정치계의 떠오르는 영건. 대학 갈 돈이 없어 공무원을 하면서 야학을 했다. === 창작물 === * [[취사병 전설이 되다]] - 최성복 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