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남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99 23%, #fff 23%, #fff 77%, #F9D537 77%)" '''{{{#003399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3399 {{{+1 주기용}}}[br]朱基瑢[*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51250|정운조 독립유공자 공훈록]]에는 朱基'''{{{+1 容}}}'''으로, [[http://db.history.go.kr/id/hdsr_003_0030_0040_0030|한민족독립운동사 3권]]에는 朱基'''{{{+1 溶}}}'''으로, [[http://db.history.go.kr/id/im_109_30633|1967년 간행 사진으로 본 국회20년 -부록- 역대국회의원약력]]에는 朱基'''{{{+1 鎔}}}''' 등으로 각각 다르게 표기되어 있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기용.jpg|width=100%]]}}} || || '''호''' ||동광(東光) || || '''본관''' ||[[신안 주씨]](新安 朱氏)[* 웅천파. 신안 주씨 30세 기(基) 항렬.] || ||<|2> '''출생''' ||[[1897년]] [[3월 12일]] || ||[[경상남도]] [[웅천군]] 읍내면 백일리[br](現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북부동(창원)|북부동]] [[https://jinhaeculture.modoo.at/?link=4l4q7xpb|백일마을]][* [[주(성씨)#s-1.1|신안 주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주기철]] 목사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1966년]] [[5월 8일]] (향년 69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서울)|신촌동]] [[세브란스병원]] || || '''학력''' ||[[오산고등학교(서울)|정주 오산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세이소쿠 영어학교 {{{-2 ([[졸업]])}}}[br][[도쿄고등사범학교]] 이과 제1부 {{{-2 ([[수학과]] / [[졸업]])}}}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다. [[본관]]은 [[신안 주씨|신안]](新安), 호는 동광(東光)이다. [[종교]]는 [[기독교]]이다. [[독립유공자]] [[주기철]] [[목사]]가 그의 사촌 동생이며, 독립유공자 [[이승훈(1864)|이승훈]] 목사는 그의 장인이다. == 생애 == [[1897년]] [[3월 12일]] [[경상남도]] [[웅천군]] 읍내면 백일리(現 [[창원시]] [[진해구]] [[북부동(창원)|북부동]] [[https://jinhaeculture.modoo.at/?link=4l4q7xpb|백일마을]][* [[주(성씨)#s-1.1|신안 주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주기철]] 목사도 이 마을 출신이다.])에서 부농이었던 아버지 주현관(朱炫觀)과 어머니 [[배(성씨)|경주 배씨]](慶州 裵氏)[* 배석홍(裵錫洪)의 딸이다.] 사이에서 4형제 중 셋째 아들로 [[http://db.history.go.kr/id/im_109_02003|태어났다]]. [[오산고등학교(서울)|정주 오산고등보통학교]], [[일본]] 세이소쿠(正則)영어학교, 1927년 [[도쿄고등사범학교]] 이과제1부 [[수학과]]를 졸업하였다. 오산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1918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 경상남도 사립학교교원시험에 [[http://db.history.go.kr/id/gb_1918_10_05_a18490_0370|합격해]] 곧 창원군 웅동면(現 창원시 진해구 웅동) 계광학교(啓光學校)에 교원으로 채용되었고, 학생들에게 망국의 슬픔과 독립의 귀중함을 강조하면서 민족의식을 고취했다. 그러던 1919년 4월 3일 창원군 웅동면 마천리(現 창원시 진해구 [[마천동(창원)|마천동]])에 있던 웅동면사무소 앞에서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51250|정운조]](鄭雲朝)·[[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230|문석주]](文碩柱) 등과 함께 약 3천여 명의 군중을 이끌고 조선독립만세를 불렀다. 이후 [[일본 제국 경찰]]에 체포되어 마산형무소에서 1년 6개월간 복역했다. 출옥 후에는 [[일본]]으로 유학했고, 세이소쿠영어학교와 도쿄고등사범학교 이과제1부 수학과를 졸업한 뒤 귀국해 1927년 4월 모교인 오산고등보통학교에 교사로 채용돼 교무주임을 역임했다. 이듬해인 1928년 [[배화여자고등학교|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 교유(敎諭)로 자리를 옮겼고, 1933년 9월에는 오산고등보통학교 교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942년 일제에 의해 강제로 사임당했다. [[8.15 광복]] 후 다시 정주 오산중학교 [[교장]]직을 맡았고, [[조선민주당]]에 입당해 간부로 활약했으나 [[소련군]] 특무부에 체포돼 투옥되었다. 이후 [[1946년]] 월남하여 진해읍장을 지냈고, 조선민주당에도 관여했다. 이후 [[중앙청]] 문교부 보통교육국장, 창원군 교육회 이사, 대한교육연합회 사무국장 등을 역임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창원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헌 국회]] 임기 동안에 문교사회위원회 위원장을 겸했다. 이후 [[오산고등학교(서울)|서울 오산 중·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다가 [[1966년]] [[5월 8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서울)|신촌동]] [[세브란스병원]]에서 [[노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605110023910301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6-05-11&officeId=00023&pageNo=3&printNo=13859&publishType=00010|별세하였다]]. == [[제헌 국회]] 활동 == * 1948년 7월 20일 감표의원으로 뽑혔다.[* [[백관수]],[[신성균]],[[김도연(1894)|김도연]],[[주기용]],[[이종린(1883)|이종린]]] * 1948년 8월 16일 남한 풍수해에 대해 보고하였다. * 1948년 9월 30일 한글전용법안 제1독회를 하였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창원군(행정구역)|창원군]] 을[* 제20선거구] || [include(틀:무소속)] || '''15,684표 (39.28%)''' || '''당선 (1위)''' || '''초선''' ||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 [[창원시/인물]]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진해구 출신 인물]][[분류:신안 주씨]][[분류:1897년 출생]][[분류:1966년 사망]][[분류:오산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쓰쿠바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