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주대환}}}[br]周大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대환.jpg|width=100%]]}}} || ||<|2> '''출생''' ||[[1954년]] [[6월 1일]] ([age(1954-06-01)]세) ||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 [[http://www.r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671|#]]] || || '''학력''' ||[[성호초등학교]] {{{-2 (졸업)}}}[br]마산중학교 {{{-2 (졸업 / 19회)}}}[br][[마산고등학교]] {{{-2 (졸업 / 32회)}}}[br][[서울대학교 인문대학|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2 ([[종교학]] 73 / [[학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경력''' ||한국노동당 창당준비위원장[br][[개혁신당(1995년)|개혁신당]] 창원을 지구당 위원장[br][[민주노동당]] [[권영길]] 창원을 국회의원후보 선거대책본부장[br][[민주노동당]] 정책위의장[br]청년연합 36.5 자문위원[br]사회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br][[바른미래당]] 당무감사위원회 위원장[br]플랫폼 자유와 공화 공동의장 || || {{{#fff '''외부 링크'''}}} ||[[https://www.facebook.com/boar54|페이스북]][br][[https://new-left.tistory.com/|블로그]][* 2013년 이후로 갱신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정치인]]이다. == 생애 == 1954년 6월 1일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에서 고등학교 교사였던 아버지의 1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잦은 근무지 이동으로 칠북초등학교, [[가야초등학교(함안)|함안 가야초등학교]], [[회원초등학교]] 등 3곳의 학교를 전전했으며, 아버지가 [[칠원고등학교|칠원농업고등학교]](現 [[칠원고등학교]])에서 [[창신고등학교]]로 전근가면서 초등학교 4학년 때 최종적으로 [[성호초등학교]]에 전학했다. 성호초등학교, 마산중학교(19회), [[마산고등학교]](32회), 1985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s-4.13|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철학과 종교학 전공]][* 現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73학번)를 졸업하였다. 1973년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 입학한 이후 학생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하였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 1979년 [[부마민주항쟁]] 등으로 구속되었다.[* 출처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961|미디어스 기사]]] [[노회찬]] 등과 함께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 활동을 했다. 이 과정에서 1991년 9월 29일 '[[https://archives.kdemo.or.kr/isad/view/00413458|회사의 노동자 정당 건설 전략에 재고를 요청함]]'(통칭 '신노선')이라는 문건을 발표했는데, 이 문건은 [[인민노련]]이 지하조직운동을 청산하고 합법적 노동자계급 정당 건설로 방향을 전환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92년 [[노회찬]] 등과 함께 가칭 한국사회주의노동자당(약칭 한국노동당) 창당을 추진하면서 창당준비위원장을 맡았다.[* 출처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68912]].] 한국노동당 창준위는 김문수, 이우재가 주도하던 [[민중당(1990년)|민중당]]에 합류하여 통합민중당이 되었으나 1992년 총선에서 참패하면서 자동해산되었다. 1995년 노회찬과 함께 [[개혁신당(1995년)|개혁신당]]에 입당해서 창원 을 지역위원장을 맡았다. 2000년 [[민주노동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마산갑 지역위원장을 맡았다. 2002년 5월 [[사회당(1998년)|사회당]] [[최혁]] 부대표와 비밀리에 통합 협상을 진행중이었음을 밝혔다. 이 협상안은 민주노동당 중앙에 보고되었으나 상부로부터 묵살당했다고 한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75212|기사]] 2002년 8월 [[김호일]]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하여 치러진 [[2002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선거구)|마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김정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4월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선거구)|마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김정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6월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 [[의장]]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정책위의장 선거 토론회 도중, [[경기동부]] 계열 이용대 후보에게 북한에 대한 입장표명을 요구하여 당내에서 논쟁이 일어났다.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83455|관련 기사]] 2006년 민주노동당 당대표 후보로 출마했으나 [[문성현(정치인)|문성현]] 후보에게 밀려 낙선했다.[* 문성현은 원래 심상정과 함께 활동하던 [[PD(정파)]] 출신이지만, 이 선거에서는 마땅한 당대표 후보가 없던 [[NL(정파)|NL]]계열의 몰표를 받고 당선되었다. 이후 사실상 [[바지사장]]으로 전락한다.] 2008년 3월 24일, [[심상정]] 비대위의 종북주의 청산 주장을 NL계열이 거부하면서 평등파가 집단적으로 민주노동당을 탈당하는 분당 사태가 벌어지자 주대환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출처 [[http://www.redian.org/archive/20243]]] 다만 다른 [[평등파]]들과는 달리 [[진보신당]]에 합류하지는 않았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선거구)|마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이주영(정치인)|이주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1월 27일 [[민주통합당]]에 입당했다.[* 출처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7025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때 [[창원시 성산구(선거구)|창원시 성산구]]([[권영길]] 의원 지역구)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경선을 치뤘지만 탈락했다. 대선경선 당시 [[손학규]] 캠프에 소속된 경력도 있다.[* 당시 '경제민주화'가 화두로 떠오르자 손학규 캠프는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 출신의 좌파운동가들을 대거 영입해서 대단히 진보적인 정책공약을 만들었다. 지금도 회자되는 '저녁이 있는 삶'이란 구호도 이들이 만든 것이다.] 이후 새정치민주연합이 될 때까지 당적을 유지하다가 2015년 [[사회민주당(2017년)|사회민주당]]을 창당하기 위해 탈당하였다. 하지만 이후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으로 합류했고 이후 [[바른정당]]과 합당한 후에는 [[바른미래당]]에 있었다. 이후 2019년 6월부터 플랫폼 자유와 공화 공동의장을 맡았다. [[2019년]] [[6월 28일]] 혁신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http://bareunmirae.kr/kr/news/briefing.php?bgu=view&idx=15012|#]], 14일 만인 [[7월 11일]] 전격 사퇴하였다.[[https://www.yna.co.kr/view/AKR20190711104800001|#]] [[손학규]] 대표의 지명으로 임용되었는데, [[바른미래당]] 혁신위원회에서 바른정당계와 안철수계의 연합으로 당권파의 반대를 '''5대 4'''[* [[바른미래당]] [[최고위원]]회 구성이랑 같다. 최고위원회는 [[바른정당]]계 4(하태경, 권은희, 이준석, 오신환), [[안철수]]계 1(김수민)와 당권파(손학규, 문병호, 주승용, 채이배)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로 꺾고 [[손학규]] 대표체제의 퇴진을 묻는 [[여론조사]]를 실시하기로 의결하였기 때문이다. 주대환 혁신위원장은 반대표를 던졌으나 안건 통과를 막지 못했다. 이후 [[미래통합당]] [[김소연(정치인)|김소연]] 후보를 지지하고 선거운동을 도왔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2 || [[2002년 재보궐선거#s-2|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6대 국회의원|국회의원]]) ||<|3>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선거구)|마산 갑]] ||<|2> [include(틀:민주노동당)] || 3,141 (6.92%) || 낙선 (4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9,773 (10.66%) || 낙선 (3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무소속)] || 8,436 (12.81%) || 낙선 (2위)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중의당)] || 1988 || 창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88 - 1990 || 정당 해산 || || [include(틀:한국노동당)][br]([include(틀:무소속)]) || 1991 - 1992 ||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1992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2 - 1995 || 정당 해산 || || [include(틀:개혁신당)] || 1995 || 창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995 - 1997 || 합당[* [[민주당(1991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7 || 탈당[* [[국민승리21]]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건설국민승리21)] || 1997 - 1999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9 - 2000 || 정당 해산[* [[민주노동당]] 창당 목적.]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000 - 2008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2012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 - 2013 || 입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5 || 탈당[* [[사회민주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사회민주당(2015년))][br]([include(틀:무소속)]) || 2015 - 2016 ||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무소속)] || 2016 || 탈당[*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창당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018 - 2020 || 합당[*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현재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저서 == * 시민을 위한 한국현대사(2017년) * 좌파논어(2014년) * 대한민국을 사색하다([[2008년]]) * 진보정당은 비판적지지를 넘어설 수 있는가?([[2002년]]) * 자랑스런 나라는 정직한 사람이 만든다 ([[1996년]]) * 진보정치의 논리([[1995년]]) * 87, 88년 정치위기와 노동운동([[1989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함안군 출신 인물]][[분류:1954년 출생]][[분류:민주노동당 출신]][[분류:성호초등학교 출신]][[분류:마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