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15]] {{{#white '''[[브라질|{{{#white 브라질 연방 공화국}}}]]의 도시[br]{{{+1 João Pessoa}}}'''[br]주앙페소아}}} || ||<-3> [include(틀:지도,장소=João Pessoa,너비=100%,높이=100%)] || ||<-2> '''{{{#white 지역}}}''' || [[파라이바]] || ||<-2> '''{{{#white 면적}}}''' || 210km² || ||<-2> '''{{{#white 인구}}}''' || 825,796 명 || ||<-2> '''{{{#white 도시권 인구}}}''' || 1,290,223 명 || ||<-2> '''{{{#white 인구밀도}}}''' || 3,931.5명/km² || ||<-2> '''{{{#white 시간대}}}''' ||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12|UTC-3]] (BRT) || [[파일:Joao Pessoa city.jpg|width=54%]] == 개요 == 파라이바 주의 주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다. 이름은 20세기 초 브라질의 정치인인 주앙 페소아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에피타시우 페소아]] 대통령의 조카이자 [[제툴리우 바르가스]]가 쿠데타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 주앙 페소아 암살 사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 역사 == 1585년 8월 5일 포르투갈 정착민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당시 이름은 헤알 지노사 세뇨라 다스네비스(Real de Nossa Senhora das Neves)였다. 1588년,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를 기리고자 필리페이아 지노사 세뇨라 다스네비스(Filipeia de Nossa Senhora das Neves)로 변경했다.[* 당시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동군연합]]이었고 펠리페 2세는 포르투갈 국왕 펠리피 1세까지 겸했다.] 1634년, 네덜란드의 침략으로 프레데릭스타트(Fredrikstad)로 이름이 바꼈다. 1654년, 네덜란드가 쫓겨나고 파라이바 시(Cidade da Parahyba)로 다시 변경되었다. 1930년 9월, 파라이바 전 주지사이자 같은 해 7월에 암살되었던 주앙 페소아를 기리고자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환경 == 열대습윤 기후를 보이며 연평균 기온은 약 27도이다. 연평균 강수량는 1,900mm이며 4월에서 7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내린다. 브라질의 최동단에 위치해 있으며 평균 고도는 40m이다. 녹지가 매우 넓어 주민 1인당 7㎡라는 수치를 보이며, 주도나 수도 역할을 하는 도시 중에선 [[파리(프랑스)|파리]]에 이어 세계 2위에 해당한다. 주앙페소아는 24k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주요 해변으로는 약 8km 길이의 탐바우(Tambaú)가 있다. 인종 구성으로는 혼혈 47.7%, 백인 47.0%, 흑인 4%, 아시아인 0.8%, 원주민 0.3% 등으로 구성된다. == 경제 == 주앙 페소아는 파라이바 주에서 가장 큰 경제력을 가진 도시로, 파라이바 주 GDP의 30.7%를 차지한다. 관광업과 상업이 주요 산업이다. 식품, 자동차, 음료, 시멘트, 콘크리트, 가죽, 금속 가공, 가구, 광학, 종이, 화학, 섬유, 컴퓨터 기술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 복합 산업 단지가 위치해있다. == 기타 == 2017년 유네스코로부터 "브라질 공예의 도시"로 선정되었다. '태양의 문'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데 아메리카 대륙 최동단에 위치해있기 때문이다. 지니계수는 0.630으로 북동부 지역 주도 중에선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다.[* 매우 심각한 수치이다. 브라질 평균인 0.53을 훌쩍 넘으며 보통 0.6이 넘어가면 소득격차가 심각할 정도로 높다라고 구분된다.] [[분류:브라질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