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대십국 왕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10B0B 0%, #7e0d0d 20%, #7e0d0d 80%, #610B0B); color: #ece5b6" '''후량 제3대 황제[br]{{{+1 말황제 | 末皇帝}}}'''}}} || ||<|2> '''출생''' ||[[888년]] [[10월 20일]] || ||[[당나라|당]] [[안후이성|송주]] [[쑤저우시(안후이성)|탕산현]][br](現 [[안후이성]] [[쑤저우시(안후이성)|쑤저우시]] 탕산현) || ||<|2> '''즉위''' ||[[913년]] [[3월 27일]] || ||[[후량]] [[허난성|변주]] [[카이펑시|개봉부]] 황궁[br](現 [[허난성]] [[카이펑시]]) || ||<|2> '''사망''' ||[[923년]] [[11월 18일]] (향년 35세) || ||[[후량]] [[허난성|변주]] [[카이펑시|개봉부]] 황궁[br](現 [[허난성]] [[카이펑시]]) || || '''능묘''' ||미상|| ||<|2> '''재위기간''' ||'''{{{#ece5b6 제3대 황제}}}''' || ||[[913년]] [[3월 27일]] ~ [[923년]] [[11월 18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주(성씨)|주(朱)]] || || '''휘''' ||우정(友貞) → 굉(鍠) → 진(瑱) || || '''부모''' ||부황 [[주전충|태조]][br]모후 원정태후 || || '''형제자매''' ||7남 5녀 중 4남 || || '''배우자''' ||황후 장씨 || || '''자녀''' ||3녀 || || '''작호''' ||균왕(均王) || || '''제호''' ||'''말황제(末皇帝)''' || || '''작위''' ||균왕(均王) || || '''연호''' ||건화(乾化, [[913년]] ~ [[915년]])[* [[주우규]]의 봉력 연호를 폐기하고 건화 연호를 계속 사용하였다.][br][[정명]](貞明, [[916년]] ~ [[921년]])[br][[용덕(연호)|용덕]](龍德, [[921년]] ~ [[923년]]) || || '''절일''' ||명성절(明聖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후량]](後梁)의 제3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 멸망군주이므로 묘호와 시호는 없으며, 제호인 말제로 불린다. == 생애 == 후량의 초대 황제인 [[주전충]]의 3남이며, 아버지 주전충이 즉위하자 균왕에 봉해졌다. 군사를 일으켜 [[주우규]]를 쫓아내고 황제로 즉위했다. 이때 이름을 굉(鍠)으로 개명하고[* 중국 황제는 [[피휘]] 때문에 제위에 오르면 생소한 한자로 이름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연호를 건화(乾化)[* 주전충이 사용했던 건화 연호를 계속 사용한 것에 가깝다.]로 정하였다. 이후 이름을 진(瑱)으로 개명하였고 [[이존욱]]과 전쟁을 치렀다. 용덕에서 전쟁을 치르던 도중 [[왕언장]]이 전쟁에서 이존욱에게 패하고 사망하자 변경이 함락되었으며, 말제는 이존욱을 이길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부하 황보린(皇甫麟)을 불러내 자신을 죽이라 명하였고, 그렇게 건국루에서 사실상의 자살로 생을 마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오대사)] [include(틀:신오대사)] [[분류:오대십국시대/황제]][[분류:888년 출생]][[분류:923년 사망]][[분류:망국의 군주]][[분류:쑤저우시(안후이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