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현악기]][[분류:중국의 문화]][[분류:대만의 문화]][[분류:중화민국의 문화]] [include(틀:아시아의 현악기)]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목차] [clearfix] == 개요 == [[중화권]]의 찰현악기. 원어로는 [[坠]][[胡]](zhùihú)라고 한다. == 상세 == [[허난성]]의 전통 민속극에서 주로 쓰이는 악기이다. 발현악기인 [[싼시엔]]과는 활의 유무만 따져도 될 정도로 매우 흡사하게 생겼는데, 실제로도 양 악기 간에 모종의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특징은 [[일본]]의 악기인 [[샤미센]]과 [[코큐]] 간 관계에서도 발견된다.] 또한 다른 [[호금]] 계열 악기들과 같이 프렛이 없다. 1920년대에는 개량형인 [[레이친]]이 개발되었다. === 레이친 === 원어로는 [[雷]][[琴]]이라고 하며, 1920년대에 [[톈진]]의 음악가 왕디엔위(王殿玉, Wáng Diànyù)가 개발하였다. 원형인 주이후와 마찬가지로 프렛이 없으며, 뱀 가죽과 강철 소재의 울림통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