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주준(삼국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삼국지(정사)|정사]]와 [[삼국지연의|연의]]를 제외한 다른 창작물에 등장하는 [[주준(삼국지)|주준]]을 다루는 문서. == 게임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주준(삼국지 시리즈)]] 문서 참조. == 만화 == ===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 [[파일:전략 주준.png]] 여기에서는[* 사실상의 원작인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의 영향일 지도 모른다.] 공을 탐내는 전형적인 부패한 신하로 그려져서 정사와는 전혀 다르게 묘사되었다. 특히 의용군에 불과했던 [[유비]]를 인정하고 대우해줬던 원작 삼국지연의와는 전혀 다르게 여기서는 처음에는 무시하다가 병력이 딸리자 자기 공을 위해서 철저히 이용하고 버리는 [[찌질이]] 내지 [[인간말종]]으로 묘사된다.[* 원작 만화에서는 사과도 하지 않고 태도를 바꿔서 장비가 변덕쟁이라고 욕을 했지만 애니판에서는 자신이 영천에서 갑질한 것을 사과했다.]대체 뭐가 밉보였는지 알 수 없으나, 이런 묘사는 정사는 물론 연의 기준으로 봐도 명백한 [[고인드립]]이다.[* 어쩌면 [[일본]]이 [[중국]]을 깔보기 위해서 왜곡한 것일 수도 있다.][* 국내 발매된 삼국지에서도 상당수 이런 모습으로 나온다. 그나마 [[이각]], [[곽사]]에게 핍박 당하는 헌제를 지키며 최후까지 조정에 충성을 하는 충신 이미지는 지켜진다. 그래도 판본에 따라선 원본 연의에서 그랬던 것처럼 황건적 토벌 후 거기장군에 봉해질 때 영제에게 유비와 손견의 공이 크다고 상주하는 등 의로운 모습을 보일 때도 있다.] 뭔가 연의기준 유비 삼형제와 만난 동탁하고 캐릭터가 바뀐 게 아닌가 싶을정도, 특히 자신들을 상대도 안 해주고 막사로 들어간 주준을 보며 [[장비]]가 화를 내며 고함을 지르자 거기 놀라기까지 한다.[* 만화책에서는 살짝 쫄지만, 애니판에서는 막사 안으로 도망쳐버린다.] 어디에도 강직한 노장의 이미지는 찾아볼 수가 없다. [[황보숭]]이나 [[노식]]이 나름대로 대우 받는 것에 비하면 눈물이 날 정도로 푸대접을 받는데 이상하게도 이 시대의 여러 작품들에선 모두 주준이 이런 모습으로 등장한다. 오히려 이렇게 의용군을 철저히 무시하는 모습을 보면 황보숭, 노식과 같은 한 황조를 떠받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충신이 아니라 비슷한 창작 일화가 연의에서 그려진 [[동탁]]과 비슷한 소인배로 그려진다. === [[삼국전투기]] === 황건의 난과 동시에 짤린 줄 알았으나 에필로그에서 황건의 난을 다뤄주면서 막판에 가서야 등장했다. 황건적 토벌의 공신 3인이 모두 [[삼대장]]으로 패러디 되었고 주준은 그 중 [[볼사리노]]로 등장한다. 삼대장이 함께 황건의 난 상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기도 했다. === [[삼국지톡]] === [[파일:주준.png]] 직접적인 등장없이 카톡 대화로만 나온다. [[손견]], [[유비]]와 연합한 황건적 토벌작전이 성공적으로 끝나자 보고하러간다며 환하게 웃는 셀카를 올린다. 말투가 곱다. 열심히 싸워준 유비에게 벼슬을 주고자 하였으나, 십상시의 농간으로 불발되었는데 정발판에서는 주준이 이를 원통해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삼국지 가후전]] === 요코야마 삼국지의 영향인지 부정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직접적으로 등장하진 않지만 [[십상시]]들은 주준을 '우리를 잘 따르는 간사한 소인배'라고 하며, 가후의 스승으로 재창작된 [[염충]]은 주준을 눈치는 빠르지만 제 몸 지키기밖에 모르는 개밥그릇이라고 평한다. 달리 말하자면 십상시들은 개라는 것이다. == 기타 == === [[와이파이 삼국지]] === 성우는 [[김용(성우)|김용]]. 등장 시기는 [[황건적의 난]] ~ [[삼보의 난]]이다. [[와이파이 삼국지]]에서의 오리지널 컨셉은 생각하는 장군.[* 성우 본인이 밝혔다. 출처는 [[더빙의 신]]X[[와이파이 삼국지]]콜라보레이션 편이다.] 행적은 연의를 따라가고, "~라고 생각하네, "~라는 생각이 드네", ~네 등의 독특한 말투를 가지고 있다. [각주] [[분류:인물별 창작물/삼국시대(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