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 주증녀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fffff,#191919><-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DD200> {{{+1 '''{{{#000000 역대}}}''' [[대종상|[[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width=120]]]]}}} || ||<#FFFFFF,#191919><:><-5> [[파일:daejongawards.png|width=50]] || ||<#EDD200><-5><:> {{{#000000 '''우수국산영화상 여우주연상'''}}} || ||<:> 신설 ||<:> {{{+1 → }}} ||<:> ''' ([[1958년]]) ''' ||<:> {{{+1 → }}} ||<:> '''([[1959년]]) ''' || ||<:> - ||<:> {{{+1 → }}} ||<:> '''주증녀''' ||<:> {{{+1 → }}} ||<:> [[최은희(배우)|최은희]][br](어느 여대생의 고백) || ---- ||
<#002266><-5><:> {{{+1 '''{{{#white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ffffff,#191919><-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002266><-5><:> [[청룡영화상/여우주연상|{{{#white '''여우주연상'''}}}]] || ||<:> '''제4회[br]([[1966년]])''' ||<:> {{{+1 → }}} ||<:> '''제5회[br]([[1967년]])''' ||<:> {{{+1 → }}} ||<:> '''제6회[br]([[1969년]])''' || ||<:> [[문정숙]][br]([[시장(영화)|시장]]) ||<:> {{{+1 → }}} ||<:> '''주증녀[br]([[산불(영화)|산불]])'''||<:> {{{+1 → }}} ||<:> [[남정임]][br](분녀) || ||<#002266><-5><:> || }}} || ||<-2> '''{{{+2 주증녀}}}[br]朱曾女'''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552037106118.jpg|width=100%]]}}} || ||<|2> '''출생''' ||[[1926년]] [[2월 11일]] || ||[[함경남도]] [[영흥군]] (現 [[금야군]]) || ||<|2> '''사망''' ||[[1980년]] [[9월 18일]] (향년 54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반포동]][* [[1988년]] [[1월 1일]] [[서초구]]에 이관되었다.] [[서울성모병원]] || || '''학력''' ||함남공립고등여학교 {{{-2 (졸업)}}} || || '''데뷔''' ||[[1949년]] 영화 《조국의 어머니》|| [목차] [clearfix] == 개요 == [[함경남도]] [[영흥군]] 출신의 [[여배우]]. [[최은희(배우)|최은희]], [[조미령(1929)|조미령]]과 더불어 해방 직후 최초의 스타급 연예인이다.[* 최은희의 경우 해방 직후 [[1950년대]]는 물론이고 [[1960년대]]에도 엄청난 흥행 능력을 보여준 장기형 스타이다. 반면 [[김지미]], [[엄앵란]]의 경우 [[1950년대]] 중후반에 데뷔해 해방 직후의 스타라고 보기는 힘들다. [[최은희(배우)|최은희]], [[김지미]], [[엄앵란]] 다음 세대가 [[윤정희(1944)|윤정희]], [[문희]], [[남정임]]으로 구성된 [[1세대 여배우 트로이카|1세대 트로이카]].] == 활동 == 처음에는 극단 출신의 [[여배우]]였으나[* [[유치진]]이 쓴 [[무영탑]]으로 데뷔했다.] [[1949년]] 영화 조국의 어머니로 데뷔하고 [[1950년]] 여인애사와 흥부와 놀부로 스타덤에 올랐다.[* [[1950년]]에 영화가 5편 상영되었는데 그 중에서 2편에 출연할 정도로 활발하게 활동을 했다. [[1975년]] [[경향신문]]에서 해방 이후 연도별 최고 인기 배우를 선정했는데 주증녀는 [[1950년]]을 대표하는 연예인이 되었다. 참고로 이 기사에서 [[1947년]]을 대표하는 연예인은 [[최은희(배우)|최은희]], [[1965년]]을 대표하는 연예인은 [[신성일]], [[1966년]]을 대표하는 연예인은 [[윤정희(1944)|윤정희]], [[1973년]]을 대표하는 연예인은 [[최불암]] 등 왕년의 연예인이 수록된 것을 보면 꽤나 공신력 있는 평가라 볼 수 있다. ~~[[문희]]가 없는걸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은 듯 하다.~~] 그러나 [[6.25 전쟁]]으로 꽃다운 젊은 시절을 다 까먹고 정전 이후 얼마 안되어 [[30대]]를 맞이하게 되어 [[1960년대]] 영화의 전성기 시절에 주로 어머니역을 맡았다. [[1957년]]에 여배우 인기 순위에서 [[조미령(1929)|조미령]]에 뒤이은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최은희(배우)|최은희]]] 예쁜 외모를 가지고도 꽃다운 나이에 터진 6.25 전쟁 때문에 아가씨 역을 잘 맡지는 못했고, 주로 어머니역을 맡았다. [[1958년]] 작 [[별아 내 가슴에]], [[1960년]] 작의 [[하녀]], [[1965년]] 작의 갯마을에서 어머니 역으로 출연하였다. 고작 30대 초반에 어머니 역할만을 맡게 된다는 사실에 괴리감이 느껴질 수 있는데, 당시에는 여성의 결혼 연령이 거의 20대 극초반이었고 빠르면 10대 후반도 있었다. 25살이 넘으면 노처녀 취급을 받았고 20대 후반에 초등학교 들어가는 아이가 있어도 전혀 이상하게 여기지 않았던 시절이다. 배우 층도 매우 얕았는데, 특히 여배우는 결혼하면 대부분 은퇴해버렸기 때문에 젊은 배우가 노인 분장을 하는 일이 노인이 나이에 맞게 노역을 하는 것보다 훨씬 많았다. 다만 동년배 여배우인 [[최은희(배우)|최은희]]와 [[문정숙]]은 소녀~청년 여성 역할을 많이 맡기도 했다.[* 심지어 [[로맨스 빠빠]]에서는 동갑내기 [[최은희(배우)|최은희]]가 '''그녀의 딸'''로 나오기도 했다.] [[1980년]] [[9월 18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반포동]][* [[1988년]] [[1월 1일]] [[서초구]]에 이관되었다.] [[서울성모병원]]에서 [[뇌졸중]]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0091800209207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9-18&officeId=00020&pageNo=7&printNo=18141&publishType=00020|별세했다]]. 향년 54세. [[분류:한국 여배우]][[분류:실향민]][[분류:금야군 출신 인물]][[분류:1926년 출생]][[분류:1949년 데뷔]][[분류:1980년 사망]][[분류:뇌혈관질환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