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Zhu_Zhi-Yu.jpg|width=300]] || |||| '''朱之瑜''' || || '''별칭''' || '''주순수(朱舜水)''' || || '''출생''' || [[1600년|만력 28년]] [[10월 12일]](1600년 [[11월 17일]]) || || '''출생지''' || [[명나라]] [[절강성]] 여요[* 현 [[닝보시]] 위야오시] || || '''사망''' || [[1682년|덴나 2년]] [[4월 17일]](1682년 [[5월 24일]]) || || '''사망지''' || [[일본]] [[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으로 이주한 [[명나라]]의 유신(遺臣). 명말청초의 과도기 속에서 [[정성공]]과 함께한 일이 있다. [[1659년]] 일본 [[나가사키]]에 체류했는데 당시 [[네덜란드인]], [[중국인]]의 일본 체류기간은 40년으로 한정되었으나 [[야나가와]] 번의 학자 안도 세이안의 노력으로 영주권을 얻었다. [[미토시#s-2|미토 번]] 번주 [[도쿠가와 미츠쿠니]]의 초청으로 에도에서 유학을 강의하고 미토 대성전(大聖殿)의 주요 시설을 설계하였다. ==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는다. == [[안중근 의사 유묵]]으로도 유명한 "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는다.)"라는 구절의 원작자이다. 이 말은 원래 주지유가 쓴 《답야절문(答野節問)》에 "三日不讀, 口生荊棘; 三日不彈 手生荊棘" (3일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고 3일간 가야금을 타지 않으면 손에 가시가 돋는다)라는 사언구로 수록되어 있다. 이것이 《추구(推句)》[* 사자소학, [[명심보감]]과 같은 초학자용 한문 교재이다. 오언(五言)으로 된 좋은 대구(對句)들만을 발췌한 저술인데 저자나 연대는 미상이다.]에 오언구로 변형되어 수록된 것을 인용한 것이다. == 같이보기 == * [[미토 고몬]] * [[안중근]] [[분류:명나라의 유학자]][[분류:에도 시대의 유학자]][[분류:중국계 일본인]][[분류:일본으로 귀화한 인물]][[분류:닝보시 출신 인물]][[분류:1600년 출생]][[분류:168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