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 외교부]][[분류:한중관계]][[분류: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분류:칭다오시]][[분류:1994년 설립]] [include(틀: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 ||<-3>
[[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50px]][br] {{{+2 {{{#ffffff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br]{{{#ffffff 大韩民国驻青岛总领事馆}}} || ||<-3> {{{#ffffff '''지도'''}}}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Korean Consulate General in Qingdao, 너비=100%, 높이=100%)]}}} || || '''소재지''' ||<-2>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No. 88 Chunyang Road, [[청양구|Chengyang District]], [[칭다오|Qingdao]], [[산둥성|Shandong]] || || '''국가'''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 || '''총영사''' ||<-2> 김경한(金敬翰) || || '''상급기관''' ||<-2> [[파일:외교부 MI.svg|width=30]][[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 || '''개설일''' ||<-2> [[1994년]] [[9월 12일]] || || '''업무시간''' ||<-2> 월 ~ 금 : 09:00 ~ 17:30 || || '''전화''' ||<-2> +86 532 8897 60010[br](긴급) +86 186 6026 5087 || || '''홈페이지''' ||<-2> [[https://overseas.mofa.go.kr/cn-qingdao-ko/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칭다오시]]에 설치된 대한민국의 외교공관이다. == 역사 == [[1946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화베이]] 한교선무단 칭다오 분단을 창설한 것이 [[칭다오]]에 설립된 한국 영사공관의 시초이다. 이후 한국주화대표단 화북판사처 칭다오사무소로 개편되었으나 [[1948년]] 폐쇄하게 되었다. [[1992년]] 한중수교 직후 [[칭다오]], [[상하이]] 등지에 총영사관 개설이 합의되었으며 그 결과 [[1994년]] [[9월 14일]] 왕조호텔(王朝大酒店)에 주칭다오 총영사관이 개관하게 되었다. [[2001년]] 한중상무센터(韩中贸易中心)에 이전하였으나, 여전히 다른 건물의 일부를 빌려 세들어 사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2006년]] [[4월 28일]] 라오산구 홍콩동로 101(香港东路101号)로 이전함에 따라 자체건물에 들어가게 되었다. [[칭다오시]] 시내[* 시남구, 시북구, 라오산구]에 거주하는 한국 교민이 감소함에 따라 영사관도 [[2015년]] [[11월 23일]] 한인 인구가 많은 청양구의 현재 공관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칭다오 지하철]] 1호선을 이용해 농업대학역에서 하차하고 트램으로 환승하면 바로 도착할 수 있다. == 업무 == 주중대사관과 업무는 같으나 무관부가 없다. 오직 [[산둥성]]만을 관할한다. 중국에서 하나의 성만을 관할하는 재외공관은 주칭다오 총영사관이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