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산업통상자원부장관)] || '''{{{#fff 역임한 지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박근혜 정부의 국무위원)] ||<-5> {{{+1 [[대한민국 정부|[[파일:기획재정부 MI(2008-2016).svg|width=30]]]] [[대한민국|{{{#043762 '''대한민국'''}}}]] [[기획재정부|{{{#043762 '''기획재정부'''}}}]] [[차관|{{{#043762 '''제1차관'''}}}]]}}} || ||<-5> [[박근혜 정부|{{{#ffffff '''박근혜 정부'''}}}]] || || 6대[br][[추경호]] || → || '''7대[br]주형환''' || → || 8대[br][[최상목]]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03764 20%, #003764 80%, #003764)" '''[[산업통상자원부장관|{{{#fff 대한민국 제2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br]{{{#fff {{{+1 주형환}}} [br] 周亨煥 | Joo Hyung-hwa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형환 장관.jpg|width=100%]]}}} || ||<|2> '''출생''' ||[[1961년]] [[3월 8일]] ([age(1961-03-08)]세) || ||[[서울특별시]] || ||<|4> '''재임기간''' ||제7대 기획재정부 제1차관 || ||[[2014년]] [[7월 25일]] ~ [[2016년]] [[1월 12일]] || ||제2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2016년]] [[1월 13일]] ~ [[2017년]] [[7월 21일]] || || '''배우자''' ||이은영 || || '''자녀''' ||슬하 1남 1녀 || || '''학력''' ||[[덕수고등학교|덕수상업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경영대학|서울대학교 경영대학]] {{{-2 (경영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경영학 / [[석사]])}}}[br][[일리노이 대학교|일리노이 대학교 대학원]] {{{-2 (경영학 / [[석사]] · [[박사]])}}} || || '''경력''' ||제26회 [[행정고시]] 합격[br]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 조정2과장[br]재정경제부장관 비서관[br][[기획재정부]] 성장기반정책관[br]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장[br]기획재정부 차관보[br][[대통령비서실]] 경제금융비서관[br][[기획재정부차관|기획재정부 제1차관]][br]제2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기획재정부]] 제1차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추진단장 등을 역임했던 전 [[공무원]]. == 약력 == * 제26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학부/경영대학|경영대학]] 졸업, [[경영학]] [[학사]] * [[경제기획원]] 대외경제조정실 국제경제과 공정거래실 제도운영과 [[사무관]] * [[일리노이 대학교]] (Urbana-Champaign) 회계학 석사 * [[일리노이 대학교]] (Urbana-Champaign) 경영학 박사 * [[경제기획원]] 대외경제조정실 통상조정1과 사무관 * [[세계은행]] 자문관 *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 조정2과장 * 재정경제부 장관비서관 ([[국민의 정부]]) *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 은행제도과장 *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실 정책기획행정관 * 미주개발은행 기술혁신담당 수석자문관 *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 미래기획단 부단장 *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장 *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추진단장 * 기획재정부 차관보 * [[대통령실]]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실 경제금융비서관 * 제7대 [[기획재정부차관|기획재정부 제1차관]] * 제2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초빙교수 *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초빙교수 * [[세종대학교]] 석좌교수 == 생애 == 1961년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덕수고등학교|덕수상고]](68회)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나와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경영학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 [[행정고시]] 26회로 공직에 입문해 [[재정경제원]] 총무과, 재경부 경제정책국 조정2과장, 재경부장관 비서관 등을 거쳤다. 금융정책국 은행제도 과장,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실을 거쳤으며 [[기획재정부]]에서 제1차관, 차관보와 대외경제국장, 그리고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추진단장,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재직 시절 2년간의 수출 마이너스 행진을 끊고 재임중 플러스로 반전시킨 바가 있다. [[4차산업혁명]]시대의 신산업 전폭 지원과 "전면 소통을 통한 애로 해소"를 강조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중동시장을 공략하여 장관급 산업 협의체를 신설하고, 7대 신성장동력 산업의 투자와 협력을 강화했다. [[https://m.etnews.com/20170405000276|#]]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35686612710256&mediaCodeNo=257|#]]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154393|#]] 한국인 최초로 [[세계경제포럼]] (World Economic Forum, [[다보스포럼]]) 4차 산업위원회 집행이사를 역임하고, 2017년 '생산의 미래' 세션에서 직접 기조 발표를 했다, [[https://m.segye.com/view/20170120002875/|#]] 자유무역과 4차 산업혁명 대응과 관련된 논의에 적극 참여하고 [[https://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2838/|#]] 이사회에서 지정토론자로 나선 주 전 장관은“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을 전 산업, 특히 제조업 전반으로 확산해 생산성 혁신을 이끌어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규제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대체(job displacement)’ 문제 등 제약 요인을 극복해야 한다”고 밝혔다.[[https://www.etoday.co.kr/news/view/1444652/|#]] 공인회계사이고 일리노이대학 대학 박사과정 재학시 Best Teaching Award를 받았다. 저서로는 <산업을 혁신하고 통상으로 개척하며 에너지를 탈바꿈하자!>가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RovQNLdvMs)]}}} || || {{{#FFFFFF '''▲ 30년마다 탁월한 경제정책 편 한국, 또 다른 30년 위한 정책 추진할 때 (주형환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곽수종의 경제프리즘]]'''}}} || === 평가 === * [[경제기획원]], [[재정경제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재정정책, 금융, 대외경제, 통상, 에너지 등의 분야를 두루 거쳐 실물과 금융을 함께 다루어본 몇 안되는 관료이자 '금융·대외 분야에 밝은 경제통'으로 알려져 있다.[[https://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10104000222/|#]] * 주 전 장관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하마평에 오르자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주 후보자가 대외경제국을 이끌었을 때가 기재부의 대외경제국이 최전성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각종 악재로 수출이 지지부진하지만 주 후보자가 산업부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m.sedaily.com/NewsView/1HLQ2S03KQ#cb|#]] *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장 시절에는 국가 성장동력을 짜는 데 핵심 역할을 했으며, 양자·다자간 협상전략 수립 과정에서 부처의 이견을 조율하는 데 능력을 발휘했다는 평가다. 대외경제 현안을 다루는 대외경제장관회의도 사실상 주 전 장관이 만들어낸 작품이다. [[https://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10104000222/|#]] * "조직 장악력과 꼼꼼한 일처리로 정평이 난 주 차관이 수출 주무 부처의 장관을 맡게 됐다"며 "내년에는 수출부진을 만회할 대책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며 또 다른 관계자도 기대를 비췄다. [[https://www.in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6019|#]].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재직시 2년간의 수출 마이너스 행진을 끊고 재임중 플러스로 반전시킨 바가 있다. [[https://www.mk.co.kr/economy/view/2017/119717/|#]] "전면 소통 통해 애로 해소"를 약속하고 업계와 수시로 만남의 장을 가졌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60204000101|#]] [[http://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35849|#]] 원칙에 충실하되 사고가 유연하고 개방적이면서 이해관계자 집단에 흔들리지 않고 뚝심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1512211548012220423|#]] * 뛰어난 경제 관료답게 '보고서 읽기의 달인'이라는 평도 있다. 기재부 국제금융국의 한 과장은 "리츠를 도입할 당시 과장임에도 풀 텍스트를 읽고 중요한 부분은 꼭 체크를 해놓는 것을 보고 혀를 내둘렀다"며 "차관으로 일하면서도 이런 부지런함은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https://m.sedaily.com/NewsView/1HLQ2S03KQ#cb|#]]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대안 제시와 대화와 타협을 통해 다양한 정부부처와 이해관계자 집단의 이해가 걸린 갈등 사안을 조정하는 역량이 탁월하다는 평이 있다.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1512212305175#c2b|#]] * 보수와 진보 정부([[노무현]] 정부 청와대 정책실 행정관 국장) 관계없이 요직을 두루 거쳐 실력으로 인정 받았다.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1512212305175#c2b|#]] * 기획력과 추진력을 모두 겸비한 정통 경제관료로, 추진력과 함께 창의적인 정책 아이디어가 풍부해 '아이디어 뱅크'로 알려져 있다. [[http://m.joseilbo.com/news/view.htm?newsid=228269/|#]] * '불도저' '일벌레’라는 별명도 있지만 업무에 있어선 확실한 결과를 낸다는 게 선후배의 평가다. # == 여담 == * 통상과 경제금융 전문가로 국제감각이 뛰어나고, 영어에 능통하다. 주요 면담에서 시간을 줄이려고 "통역을 빼고 영어로 직접 협상"을 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https://www.yna.co.kr/view/AKR20160229140200003|#]]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7250265|#]] [[세계은행]]과 미주개발은행 등 두차례 국제기구에 파견 근무하였으며, 해외 인맥이 많고 [[G20]] 무역장관회의와 [[WTO]] 장관회의 등 국제회의에서 활약했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41256/|#]] * '불도저', '일벌레’, '보고서 읽기의 달인' 등의 별명이 있다. [[https://m.sedaily.com/NewsView/1HLQ2S03KQ|#]] * 과거 미국 미주개발은행(IDB)에서 근무할 당시 뛰어난 업무추진력으로 모레노 총재의 총애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중남미 비즈니스 서밋'과 같은 기발한 아이디어로 IDB에 활력도 불어넣었다는 평이다. 모레노 IDB총재는 "방한때마다 주형환 기재부 1차관을 찾는다"고 한다.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1503290652A&category=AA006&sns=y|#]] * '흙수저' 출신으로 [[덕수상고]]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에 입학했다. [[경기도지사]] [[김동연]], [[김동수]] 전 [[공정거래위원장]]과 [[덕수상고]] 동문이다. [[분류:1961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기획재정부 차관]][[분류:산업통상자원부 장관]][[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2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