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주홍 글자|미국 소설]]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소설 주홍글씨, rd1=주홍 글자, other2='주홍글씨'란 제목이 한국에서 굳어진 이유, rd2=주홍 글자, paragraph2=2.1)] 미국의 소설가 [[너새니얼 호손]]의 걸작 소설. 영화로도 여러 차례 만들어졌으며, 데미 무어가 주연으로 출연한 1994년의 영화가 가장 최근의 것이다. [[1994년]]의 영화는 많은 점에서 원작과 다르며, 결말 또한 희망적이다. === 이 작품에서 유래한 관용어 === 대한민국에서 어떤 죄나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 평생동안 따라다니는 정도를 넘어, 죽은 이후에도 [[잊힐 권리]]조차 박탈당하는 꼬리표 같은 것을 일컫는 관용어로 굳어졌다. [[전과(범죄)|전과]], [[낙인]]과 같은 뜻. 서양에는 없는 관용어다. 주홍색(스칼렛/버밀리언) 자체는 헤롯 2세가 입었던 '보랏빛 주홍색 옷'에 근거하여 간통죄를 상징하는 색깔로도 쓰인다. 다만 대부분은 예수와 순교자의 피(희생)의 의미로 더 많이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에선 죄악을 저지른 사람의 일종의 꼬리표로 취급하고 평생 달고 살아야 하고 더 나아가 죽은 후에도 잊힐 권리조차 박탈당하고 조롱당해야만 하는 부정적인 의미로서 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이 뜻의 기원이 된 소설 '주홍 글자'에서는 부정적인 의미에서 주인공의 노력으로 인해 점차 긍정적인 의미로 변한다. == [[변혁]] 감독의 영화 == 소설가 [[김영하]]의 원작 소설 둘[* <거울에 대한 명상>과 <사진관 살인사건>]을 [[매시업]]하여 [[변혁]] 감독이 제작 및 감독한 영화. [[이은주(배우)|이은주]], [[한석규]], [[성현아]], [[엄지원]] 등이 출연했으며 [[2004년]]에 개봉된 영화의 흥행은 143만 명으로 손익분기점은 간신히 넘겼다.[* 다만 영화에 대한 평은 그다지 좋지 않다. ]그리고, 이 영화는 이은주가 마지막으로 출연한 유작이기도 하다. == [[스페이스 에이]]의 데뷔곡 == 1997년에 발매된 혼성그룹 스페이스A의 1집 수록곡이다. '사랑하면 안됐어 만나서도 안됐어 모두의 반대를 다 알수록 간절해질뿐', '난 달게 받겠어 어떤 벌이 내게 내려진대도' 같은 가사에서 나타나듯 사회적으로 금지된 사랑을 다루고 있으며 1.의 소설이 작사의 모티브가 된 것으로 보인다. == [[MBC]]의 [[아침 드라마]] [[주홍글씨(드라마)|주홍글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홍글씨(드라마))] ~~아침극답게~~ [[막장 드라마]]. [[2010년]] [[8월 9일]]부터 [[2011년]] [[4월 1일]]까지 방영. == 신용카드 관련 용어 == 신용카드 신청자의 스테이더스와 관계 없이 말도 안되게 낮은 한도가 나온 것을 가리키는 용어. 과거 해당 금융기관에서 연체가 있었던 적이 있거나 직장이 없이 평잔이나 거래실적으로 발급하는 경우 일부 카드사[* 특히 전업카드사가 아닌 겸영은행 쪽. 원래 전업카드사가 아닌 겸영은행은 한도가 짜다는 소문이 있다.]에서 주홍글씨가 나오기도 한다. == 드라마 [[7인의 탈출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유튜브]] 채널명 == 드라마 [[7인의 탈출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 [[유튜브]] 채널명으로 [[양진모(7인의 탈출)|양진모]]가 수하 [[주용주]]와 [[홍만두]]의 성씨를 따 만든 사이버렉카 채널명이다. 첫 번째의 의미와 너무나 잘 어울린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2004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