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한국-홍콩 관계)] [include(틀: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 ||<-3>
[[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50px]][br] {{{+2 {{{#ffffff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br]{{{#ffffff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Hong Kong[br]Consulado Geral da República da Coreia em Hong Kong[br]大韓民國駐香港總領事館}}} || ||<-3> {{{#ffffff '''지도'''}}}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너비=100%, 높이=100%)]}}} || || '''소재지''' ||<-2>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7]] 5/6F, Far East Finance Centre, 16 Harcourt Road, [[홍콩|Hong Kong]][* 애드미럴티(金鐘)에 위치해 있다. ~~금색 건물이다.~~] || || '''국가''' ||<-2>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총영사''' ||<-2> 유형철 || || '''상급기관''' ||<-2> [[파일:외교부 MI.svg|width=30]][[주영국 대한민국 대사관]](1949.05.01~1997.06.30)[br][[파일:외교부 MI.svg|width=30]][[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1997.07.01~) || || '''개설일''' ||<-2> [[1949년]] [[5월 1일]] || || '''업무시간''' ||<-2> 월 ~ 금 : 09:00 ~ 17:30, 점심시간 : 12:00 ~ 13:30 || || '''영사업무시간''' ||<-2> 월 ~ 금 : 09:00 ~ 16:30, 점심시간 : 12:00 ~ 13:30 || || '''전화''' ||<-2> +852 2529 4141[br](긴급) +852 9731 0092 || || '''홈페이지''' ||<-2> [[http://overseas.mofa.go.kr/hk-ko/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에 설치된 대한민국의 외교공관으로, [[홍콩특별행정구]]과 [[마카오특별행정구]]를 관할한다. == 역사 == 1949년 한-영 재수교 직후 영사관이 개설되었으며[* 현재의 상급 기관인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보다도 먼저 개설되었다.] 곧 총영사관으로 승격되었다. 초대 총영사로 이정방 총영사가 부임했다. 1997년 [[홍콩 반환]]과 함께 주중대사관 산하로 들어가게 되었다.[* 영사관의 관할국가가 바뀐 유일무이한 사례이다.] 1999년 마카오 반환 이후부터는 마카오도 함께 관할한다. == 업무 == 대사관이 아니다 보니 정무적인 부분보다는 경제 통상쪽 위주로 업무가 돌아간다. 홍콩, 마카오로 가는 관광객의 수가 매우 많아 총영사관이지만 웬만한 대사관 수준으로 업무가 생긴다. 영사 업무도 진행하지만 여권 발급은 2~3주(일반적으로 3주)가 소요된다. 일련의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와 관련, 잊을 만하면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관련 공지가 올라온다. [[분류:대한민국 외교부]][[분류:홍콩]][[분류:마카오]][[분류: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분류:1949년 설립]][[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