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인도네시아의 대외관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100%]] || || [[중국|{{{#ffff00 '''중국'''}}}]] ||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과 [[인도네시아]]와의 관계. 인도네시아는 건국 당시부터 [[제3세계]] [[비동맹운동]]의 맹주중의 하나로서 냉전시절에 어느편에 속하지 않고 중립외교를 표방했다. 21세기 들어서도 마찬가지며 역내 경제대국인 중국, 태평양 지역의 패권국인 미국과도 모두 우호적 관계를 맺고 있다. 남중국해를 둘러싸고 중국과 마찰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꽤우호적이며, 미국과 중국은 인도네시아를 각각 자기네 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https://www.nytimes.com/2023/02/01/world/asia/indonesia-china-united-states.html|#]]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중국과 인도네시아는 1950년에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서구 자본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연합전선을 펼쳤으나, 중국이 [[인도네시아 공산당]]에 무기, 재정, 그리고 전술적 지원을 제공하면서 관계가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공산당의 쿠데타를 진압한 수하르토 정권은 중국을 맹비난했고 결국 양국의 외교관계는 단절되었다. 인도네시아가 민주화 되면서 두 나라의 관계는 급속도로 진전되는데, 이는 호주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사이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에서 인도네시아 측이 중국에 SOS를 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 문서에서도 언급된 반 화교 폭동 [[인도네시아 화교 학살]] 당시, 중국은 처음에는 그 사건과 관련하여 [[아몰랑|아무런 언급조차 하지 않다가]] 국내외의 압력에 결국 우려를 표명했으나 '''화교라는 표현조차 잘 사용하지 않고 중국에 뿌리를 둔 인도네시아인'''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으며, 화교 문제가 전적으로 인도네시아 내부의 국내정치 문제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인도네시아가 과거부터 중국 공산당 - 화교의 커넥션을 심각한 안보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 21세기 === 이후 동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중국은 인도네시아를 적극 지원했으며, 2004년 쓰나미 때도 가장 먼저 인도네시아를 도운 국가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인도네시아는 중국을 좋은 이웃으로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적 차원에서 인도네시아는 여전히 남중국해에서의 세력확대 행보를 우려하고 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는 남중국해를 북나투나 해로 부르기로 정하면서 중국의 진출을 견제하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3&aid=0007634059|#]] 인도네시아에서도 반중정서가 빠르게 퍼지고 있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915106|#]] 인도네시아는 중국과 어업권분쟁지역에서 대규모 군사훈련을 실시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279958|#]] 2018년 해양수상부의 푸지아투티 장관이 중국을 포함한 불법조업 어선에 대해 무관용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사실이 국내언론을 통해 전해지기도 했다. 중국이 이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는 듯. [[https://news.joins.com/article/22953615|중앙일보 보도]] 중국 어선에서 인도네시아 선원들이 일하는데 비인권적인 행태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https://youtu.be/zBTr_p0RIuw|[단독공개] 죽도록 일 시키고, 아파서 숨지면 바다에 수장..중국 어선에서 인도네시아 선원들이 당한 끔찍한 노예 노동의 실태]] MBC 보도 이후 이 사건이 인도네시아 내에서도 알려지면서 반중 감정이 터져나왔고, 결국 인도네시아 정부는 주인도네시아 중국대사를 초치했으며, [[https://www.thejakartapost.com/news/2020/05/07/indonesian-sailors-deaths-on-chinese-fishing-vessel-raise-questions-about-working-conditions.html|#]] 이후 인도네시아 외교부는 중국 정부에 양국이 중국 선박에서 벌어진 인권 말살 행위에 대한 공동 조사를 벌일 것을 촉구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81&aid=0003089332|죽으면 바다에 수장되는 중국 선박…인도네시아 정부 비판]] 아프라카 해역에서 조업 중인 또 다른 중국어선에서 인도네시아인 선원을 학대한 사건이 벌어졌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5&aid=0001322316|“동료, 고문당해 죽었다” 인니 선원들 中어선서 SOS [영상] ]] 관련자들을 체포하였다.[[https://www.channelnewsasia.com/news/asia/indonesia-arrests-more-sailor-torture-killing-12966224|#]] 인도네시아 의회에서 중국이 제공하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백신이 [[할랄]] 인증을 받아야 하고 백신 제공국가가 다변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국제적으로 중국산 백신 신뢰도가 떨어지는 만큼 백신 할랄 인증 드립은 가격 후려치기 차원에서 언급하는 것에 가깝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69&aid=0000533148|#]] 인도네시아 어부가 중국산 수중드론(!)을 발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117879|#]] 인도네시아측이 중국에 코로나19 백신 지원을 요청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438430|#]] 왕이 외교부장은 인도네시아아의 루훗 빈사르 판자이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과 만나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했고 정치·경제·인문·해상 분야에서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440577|#]] 중국측이 북나투나해에서 석유 시추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202003000083?section=news&site=header_newsflash|#]]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에 동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89026?sid=104|#]] 2023년 2월 22일, 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중국과 인도네시아 양국의 경제협력을 제안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73570?sid=104|#]] 8월 18일 중국과의 합작으로 건설된 자카르타 ~ 반둥 간 고속철도가 개통 예정이다. [[KCIC]] 참조. == 관련 문서 == * [[중국/외교]] / [[중국-아세안 관계]] * [[인도네시아/외교]]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경제]] * [[인도네시아/경제]]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분류:중국의 대국관계]][[분류:인도네시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