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코모로의 대외관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코모로 국기.svg|width=100%]] || || [[중국|{{{#ffff00 '''중국'''}}}]] || [[코모로|{{{#fff '''코모로'''}}}]] || [목차] == 개요 == [[중국]]과 [[코모로]]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코모로는 1970년대에 프랑스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 중국과 수교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1996년 3월 19일 ~ 24일까지 중국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군사포럼에 코모로를 포함한 아프리카 국가들이 참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4108136|#]] === 21세기 === 코모로는 [[중국-아프리카 관계|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중국과는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그리고 [[일대일로]]에도 참여했고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코모로TV에 [[중국 드라마]]가 방영되는 등 중국의 영향력이 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81&aid=0003233292|#]] 그리고 중국측이 코모로 투자 및 개발을 위해 접근하고 있다.[[http://www.koreatimes.com/article/1165902|#]] 2006년에 중국 정부의 주최하에 개최된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에 코모로 대표가 참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191168|#]] 2018년 9월 3일에 개최된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 정상회의에 코모로측도 참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277&aid=0004307273|#]] 2022년 1월 3일에 왕이 외교부장이 에티오피아, 케냐, 코모로 3국을 방문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3&aid=0003663836|#]] 1월 4일부터 아프리카 3국을 방문하기 시작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5&aid=0001496790|#1]][[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902866|#2]][[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32&aid=0003120960|#3]] 1월 7일에 왕이 외교부장이 코모로를 방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5830779|#]] == 관련 문서 == * [[중국/외교]] / [[중국-아프리카 관계]] * [[코모로/외교]] * [[일대일로]]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동아프리카 국가]] [[분류:중국의 대국관계]][[분류:코모로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